View : 541 Download: 0

제7차 초등학교 교과서의 생물자원 관련 학습목표 및 내용 분석

Title
제7차 초등학교 교과서의 생물자원 관련 학습목표 및 내용 분석
Other Titles
The Analysis of Educational Objective and content of Biological Resource on 7th Elementary School Textbook of Korea
Authors
박명옥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사회에서 생물자원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대하는데 반해 우리나라 학생들의 생물자원에 대한 교육은 체계적으로 이뤄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생물자원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해, 초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생물자원 관련 학습 목표 및 내용을 분석하여 체계적인 생물자원 관련 환경학습 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7차 초등학교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생물자원 관련 학습목표 및 내용을 환경교육 학습목표 분석틀을 사용하여 교과별, 학년별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생물자원 관련 학습목표의 영역을 분석한 결과, ‘정보 및 지식 69개(52.7%)’, ‘가치 및 태도 22개(19.1%)’, ‘기능 25개(16.8%)’, ‘행동 및 참여 15개(11.5%)’영역 순으로 나타나 ‘인지적 영역’에 매우 치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초등학교 생물자원 관련 학습내용은 과학, 실과, 사회, 슬기로운 생활, 도덕, 국어 교과에 제시되어 있다. 둘째, 교과별로 제시된 생물자원 관련 학습목표의 수를 분석한 결과, 실과 교과가 36개(27.5%)로 가장 많고, 슬기로운 생활 26개(19.8%), 사회 23개(17.6%), 과학 21개(16.0%), 국어 16(12.2%), 도덕 9개(6.9%) 순으로 나타났다. 학습목표의 영역이 교과별로 차이가 났는데, 과학 및 국어 교과는 ‘정보 및 지식’ 영역을, 사회 교과는 ‘기능’ 영역을, 슬기로운 생활과 도덕 교과는 ‘가치 및 태도’ 영역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년별 생물자원 관련 학습목표의 수를 분석한 결과, 6학년이 40개(30.5%)로 가장 많고, 5학년 36개(27.5%), 3학년 16개(12.2%), 2학년 15개(11.5%), 1학년 14개(10.7%), 4학년 10개(7.6%) 순으로 나타나 초등학교에서의 생물자원 관련 학습은 전 학년에 걸쳐 학습할 수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학년별로 제시된 학습목표의 영역은 1~3학년은 ‘가치 및 태도’ 영역이 고학년에 비해 비중 있게 제시되어 있고, 4~6학년은 저학년에 비해 ‘정보 및 지식’ 영역이 비중 있게 언급되어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교육과정을 활용하여 생물자원 관련 학습 교재를 개발할 경우, 학년에 따라 강조되어야 할 학습목표가 달라져야 할 것이다. 넷째, 초등학교 교과서에 제시된 생물자원 관련 내용을 하위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생물자원의 활용방법 및 예시’ 영역이 67개(51.1%), ‘생물자원의 소중함에 대한 인식’ 영역이 30개(22.9%), ‘생물자원의 다양성 및 멸종’영역이 29개(22.1%), ‘생물자원의 보호 및 실천행동’영역이 5개(3.8%) 순으로 나타났다. 생물자원 관련 학습내용을 교과별로 분석한 결과, ‘생물자원의 활용방법 및 예시’ 영역은 ‘과학’, ‘실과’, ‘사회’, ‘국어’ 교과에서 주로 제시되고, ‘생물자원의 소중함에 대한 인식’ 영역은 ‘슬기로운 생활’ 교과에서, ‘생물자원의 다양성 및 멸종’영역은 ‘슬기로운 생활’과 ‘과학’ 교과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생물자원의 보호 및 실천행동’영역은 모든 교과에서 거의 언급되지 않고 있다. 다섯째, 학년별로 제시된 생물자원 관련 학습내용 분석 결과, ‘생물자원의 활용 방법 및 예시’ 영역은 5학년과 6학년에서, ‘생물자원의 소중함에 대한 인식’ 영역은 1학년~3학년에서, ‘생물자원의 다양성 및 멸종’ 영역은 6학년에서 제시되어 있다. ‘생물자원의 보호 및 실천행동’영역은 1~5학년까지 각 1개(0.8%)로 소수가 제시되어있다. 초등학교 환경교육에서는 ‘행동 및 실천’ 영역을 강조하는 있어 차후 학습교재 개발 시 교과별, 학년별로 이 영역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여섯째, 초등학교 생물자원 관련 학습목표 및 내용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생물자원 관련 학습교재의 개발은 교육과정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하여 구성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즉, 저학년(1, 2학년)에서는 ‘가치 및 태도’ 영역을 중심으로 슬기로운 생활, 도덕 교과를 통해서, 중학년(3, 4학년)에서는 ‘정보 및 지식’ 영역은 과학과 실과, 사회, 국어 교과를 통해서, ‘기능’ 영역은 과학과 사회교과를 통해서, 고학년(5, 6학년)에서는 ‘정보 및 지식’ 영역은 과학과 실과, 사회, 국어 교과를 통해서, ‘행동 및 실천’ 영역은 실과 교과를 활용하고, ‘기능’ 영역은 과학과 사회교과를 활용하여 구성한다면 교육적 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The modern society has a growing importance of biological resource. But,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is lack of understanding about biological resourc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educational objective and contents related to biological resource in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objectives of the teacher's guidebooks i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basic research material to promote understanding of biological resources. For the purpose of this analysis,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es are as follows: (1) The domain of environment objective in relation to biological resource in the elementary curriculum is analyzed in order of 'Information & Knowledge(52.7%)', 'Value & Attitude(19.1%)', 'Skill(16.8%)', 'Action & Participation(11.5%)'.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ttach importance to cognitive domain. The content of biological resource indicates 'Practical course', 'Wise life', 'Social studies', 'Science', 'Korean', 'Moral education'. (2) Classified by subject,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biological resource is analyzed in order of 'Practical course(27.5%)', 'Wise life(19.8%)', 'Social studies(17.6%)', 'Science(16.0%)', 'Korean(12.2%)', 'Moral education(6.9%)'. And through analysis by learning objectives's, we know that ‘Korean' and 'Science' is laid emphasis on 'Information & Knowledge', 'Social studies' is laid emphasis on 'Skill', 'Wise life' and 'Moral education' is laid emphasis on 'Action & Participation'. We can take advantage of presented dispersively text book content about biological resource. (3) Classified by grade,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biological resource is analyzed in order of 'sixth grade(30.5%)', 'fifth grade(27.5%)', 'Third grade(12.2%)', 'Second grade(11.5%)', 'First grade(10.7%)', 'Fourth grade(7.6%)'. So we know all grade can educate about biological resource. And a first~third grade indicated 'Value & Attitude', a fourth~sixth grade indicated 'Information & Knowledge'. Therefore, in case of development of biological educational teaching materials using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emphasized educational objective is differ from grade to grade. (4) Classified by content‘s domain, the educational objective and content of biological resource is analyzed domain in order of 'Using of biological resource(51.1%)', 'Understanding of biological resource’s importance(22.9%)', 'Diversity and extermination of biological(22.1%)', 'Conservation behavior of biological resource(3.8%)'. Classified by subject, the educational content of biological resource is analyzed 'Using of biological resource' indicate 'Science', 'Practical course', 'Social studies', 'Korean', 'Understanding of biological resource’s importance' indicate 'Wise life', 'Diversity and extermination of biological' indicate 'Wise life' and 'Science'. But, 'Conservation behavior of biological resource' almost no indicate all subject. (5) Classified by grade, the educational content of biological resource is analyzed, 'Using of biological resource' by fifth and sixth grade, 'Understanding of biological resource’ by first~third grade, 'Diversity and extermination of biological' by sixth grade. And 'Conservation behavior of biological resource by first~fifth grade indicate only one(0.8%). It thus appears that the elementary environmental education make up for 'Conservation behavior''s domain. (6) Classified by educational objective, subject, grade, the educational content of biological resource is analyzed education of biological resource need to integrated approach. We can organize the lower classes focused on 'Value & Attitude' with 'Wise life', the middle classes focused on 'Information & Knowledge' with 'Science' and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Korean', the senior classes focused on 'Action & Participation' with 'Practical course'. The middle classes and senior classes are focused on 'Skills' with 'Science' and 'Social stud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