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65 Download: 0

제7차 교육과정과 초·중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Title
제7차 교육과정과 초·중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연계성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Articulation betwee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the case of Danso Education
Authors
류하나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As the seventh national music curricula place emphasis on national classical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 amount of that education gets larger in music textbooks. A problem here is that the weight of the education grows in quantity on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rticulation between the curricula and textbooks, to check problems with the revised 2007 music curricula, and ultimately to explore the ways of providing quality national classical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 meaning of curriculum and shifts in music curriculum were discussed to lay out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the study. And what improvements were made in the revised music curricula was explained, and spiral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national instrumental music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Danso instrument were described. In the main body, whether the Danso instrument segment of the textbooks was in line with the content system of the instrumental music segment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curricula was investigated, and the seventh music curricula were compared with the revised ones to find out whether the latter was devised to take national classical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o another level. Besides, three teachers were interviewed in writing to find out what reform measures they suggested to step up the development of national classical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venth music curricula and textbooks, it's found that the curricula didn't evolve in terms of content system with grade. There was little shift in the content of the textbooks irrespective of grade. Even though the textbooks were in line with the curricula in some part, the textbooks didn't provide learning objectives, 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on in a coherent manner. When the revised 2007 curricula were analyzed, the curricula didn't suggest what to teach in each grade in the categories of instrumental music, composition and appreciation. In the area of signing, however, the curricula drew a line between Western and national classical traditional music, and dealt with what to teach in each grade. According to the interview with three teachers in writing, national classical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as more prevailing in elementary schools than in secondary schools, and secondary schools were in desperate need of teachers who majored in national classical traditional music. The content system of the current elementary curricula wa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Given the problems, there are some suggestions: First, the current elementary curricula should remain intact, but the secondary curricula should be revamped to provide more enriched education for students with grade. Second, there should be closer connection between the curricula and textbooks, and the coherence of learning objectives, learning activities and evaluation should be guaranteed in the textbooks. Third, level-based, differentiated instruction should be introduced in music education. Because of the private education, the competence level of students in music education is differential. Fourth, music teachers who could respectively teach national classical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music should separately be nurtured. Fifth, the oughtness of music education should be explained to secure more budget for that to put school music instruction on the right track.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paving the way for the improvement of national classical traditional music education.;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은 국악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에 의해 교과서의 국악 학습내용도 증가하였으나, 양적인 발전만을 이루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자는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연계성을 가지고 구성되어 있는 것인지 알아보고, 또한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살펴보아, 문제점을 파악하여 학교에서 국악교육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교육과정의 의미와, 음악과 교육과정의 변천,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중점 사항과 나선형 교육과정, 국악 기악 학습의 중요성, 단소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론에서는 초⋅중등학교의 교육과정 기악영역 내용 체계와 교과서의 단소 학습내용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가 국악교육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현장의 국악교육 상황과 현장에서 국악교육 발전을 위해 제시하는 현실적인 방안을 알아보기 위해, 현직교사 3인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가 학년에 따라 심화·발전되는 내용 체계를 구성하고 있지 못하여, 학년이 올라가는데도 불구하고 교과서의 학습내용이 반복적으로 제시되고 있었다. 그리고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내용 체계 중 한 두 개의 항목에만 몰려서 교과서의 학습내용이 구성되고 있었다. 또한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연계성을 가지고 있더라도 교과서의 학습목표, 활동, 평가가 통일성 있게 제시되지 않고 있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4개 영역 중 기악, 창작, 감상의 세 영역은 각 학년에 따른 구체적인 학습내용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었다. 반면 가창영역은 서양음악과 국악 학습내용을 분리하고 각 학년에 따른 구체적인 학습내용을 제시하고 있었다. 현직교사 3인을 대상으로 서면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중등학교 보다 초등학교에서 국악교육이 활성화되어 있는 사실과, 중등학교의 국악전공교사 확보가 시급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 교육과정 내용 체계가 초등학교 과정에서는 적합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바람직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초등학교 과정에서는 그대로 유지하되, 중학교 과정에서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심화⋅발전되도록 개발하여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연계성과 더불어, 교과서의 학습목표와 활동, 평가도 통일성 있게 구성해야 한다. 셋째, 음악교과는 사교육으로 인한 학생들의 수준 차이가 심하므로, 음악교과에 수준별 수업을 도입해야 한다. 넷째, 국악교사와 서양음악교사를 나누어서 선발해야 한다. 다섯째, 음악교과의 당위성을 주장하여, 학교에서 음악수업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음악교육 예산확보에 힘써야 한다. 본 연구가 학교에서 국악교육의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나의 기초 자료로 쓰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