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수연-
dc.creator조수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02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22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025-
dc.description.abstractMusic appreciation does not mean the acquirement of actual and objective information about a musical piece. One should try to recreate the meanings inherent in the artistic piece by getting exposed to the composer's creative spirit through the performer's artistic expressions. One needs to have spiritual sympathy with the performer and composer to construct his or her own subjective meanings. You cannot say it's an activity of appreciation just to open your ears without mentally preparing to really listen to the piece. In order to appreciate a piece in true senses, you should not only listen to what the composer is trying to say, but catch the concerned clear goals, musical formats, methods of harmony connections and tone colors of the instruments used. Therefore, music appreciation learning goes beyond merely playing music and passing out information about the piece, encouraging the students to listen to all those things mentioned above, sympathize with the performer and composer actively in the process, and construct their own independent meanings out of the piece. Evaluations of the students' acquirement of objective knowledge about the piece and its composer after the class, however, totally fail to encourage the kind of appreciation learning described earlier and result in memory-oriented learning. Although it's true that putting some knowledge into the head is helpful to appreciation, it cannot be the goal of appreciation activities. The goal should be active and aggressive appreciation itself. Independent and active learner-based teaching and learning provides an orientation across all the subjects including music. The Sixth Curriculum first introduced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which focuses on the students constructing their own knowledge. Over the several revisions of the curriculum, the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gradually expanded itself and received more emphasis in the revised 2007 Music Curriculum, where the area of "Making it a part of everyday life" was added. Those changes have affected the evaluation methods and given birth to performance evaluations, which assess the learning process of knowledge construction. Emerging as a new popular evaluation method in recent years, performance evaluations adopt no conventional approaches to evaluation around the results and try to assess the entire process of learning in an ongoing and accumulative manner. One of the representative performance evaluations, portfolio evaluations make an ongoing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students' developmental processes by assessing their series of tasks and results overall. Responding to those recent trends, they have researched and developed a variety of evaluation tools. One of the important portfolio tools in appreciation is a music listening worksheet, whose proper uses can contribute to evaluations and appreciation learning. A music listening worksheet can serve as a guide to self-leading appreciation learning by showing the goals and various musical elements for the students to focus on. It should be accompanied by the activities of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which seek after active and aggressive learners, so that it can fulfill its goals in respect to self-leading appreciation learning. First developed to target young children, a music listening worksheet has been extended to be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n to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laiming more and more grounds for research. But there is an absolute shortage of researches in secondary school. Thus this study set out to develop a music listening worksheet for effective appreciation learning and evaluation targeting seventh graders. Chapter 1 reviewed the goals, contents, procedure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long with the plans. In Chapter 2, the investigator conducted literature study about music appreciation, the principles of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and portfolio evaluations and then set up the theoretical foundation upon which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plan and music listening worksheet note based on the principles of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In Chapter 3, I chose three Western pieces from the appreciation area of the nine music textbooks used by the seventh graders and developed an instruction plan of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and music listening worksheet based on the results of Chapter 2. After those developments, I analyzed the problems by asking a group of incumbent music teachers in secondary school to assess them, supplemented and revised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music listening worksheet according to their assessment, and accordingly raised the level of their perfection. Finally, Chapter 4 provided the conclusions from the literature study and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plan and music listening worksheet. The research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ince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pursues the knowledge construction by individuals according to their contexts, the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can induce the students to engage in more active and aggressive learning. Secondly, it's critical for the teachers to provide a constructivist environment in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so that the students can take active and aggressive part in the activities. Finally, a music listening worksheet presents the essential points the students should pay attention to such as the characteristics and musical elements of the piece and making it a part of everyday life as well as the cognitive information about the piece. It also guides the students through the process, helps them with their appreciation learning process, and evaluates them, thus being a guide to self-leading appreciation learning.;음악 감상은 감상곡에 대한 사실적이고 객관적인 정보의 습득이 아니다. 연주가의 예술적 표현력을 통해서 작곡자의 창조적 정신에 접함으로써 그 예술 작품이 지닌 함축된 의미를 재창조하는 것으로, 감상자가 연주가와 작곡가와의 정신적 교감을 통해 감상자만의 주관적 의미를 구성하는 활동이다. 들으려는 마음의 준비 없이 귀만 열어놓는 것은 감상이라 할 수 없다. 진정한 의미의 감상을 위해서는 작곡가가 무엇을 말하는가에 귀를 기울일 뿐 아니라 그것과 관련하여 들어야 할 뚜렷한 목표, 음악의 구성양식과 화음연결의 방식 및 악기의 음색 등을 모두 들어야 한다. 따라서 감상학습은 음악을 들려주고, 곡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데서 그치지 말고, 앞서 언급한 모든 것을 듣고 그 과정에서 연주가·작곡가와 적극적인 교감을 이루어 자신만의 주체적인 의미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나 수업이 끝난 후에 이루어지는, 감상곡과 작곡가에 대한 객관적 지식 습득 평가는 앞서 언급한 감상학습을 전혀 유도하지 못하고 암기 위주의 학습으로 귀결된다. 머리로 지식을 아는 것은 감상활동에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그것이 감상활동의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된다. 그것은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감상 그 자체가 되어야 한다.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은 비단 음악과만의 지향이 아니다. 제 6차 교육과정부터 학습자가 지식을 구성한다는 구성주의적 교수-학습관이 도입되어 교육과정의 개정을 거치면서 점차 확대되어 왔고,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은 ‘생활화’라는 영역을 추가함으로써 이를 더욱 강조하였다. 이는 새로운 방식의 평가방법에도 영향을 끼쳐, 지식 구성이 이루어지는 학습의 과정을 평가하는 수행평가를 대두시켰다. 수행평가는 최근 각광받고 있는 새로운 방식의 평가로, 결과를 평가하던 전통적 평가방법에서 벗어나 학습의 전 과정을 지속적이고 누가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수행평가의 대표적 평가방법인 포트폴리오 평가는 학생들의 발달과정을 지속적·합법적으로 평가하고자 일련의 학습 과업 수집물을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써, 역시 이러한 최근의 경향에 발맞추어 다양한 평가도구가 연구·개발 중이다. 감상영역의 중요한 포트폴리오 도구 중 하나로 감상학습지를 들 수 있다. 감상학습지는 적절한 사용에 평가와 동시에 감상학습을 도와줄 수 있다. 감상학습지는 감상을 하면서 들어야 할 목표와 다양한 음악요소를 제시함으로써 자기 주도적인 감상학습의 안내자가 될 수 있다. 자기 주도적인 감상학습을 위한 감상학습지가 제 몫을 다하려면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자관을 추구하는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활동과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감상학습지는 처음에 유아를 대상으로 개발되기 시작하여 초등학생 대상으로 확산되었고, 중·고등학생 대상으로 점차 연구의 저변이 확대되고 있으나, 아직 중등 이상에서는 연구가 턱없이 부족한 형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등 1학년(7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효과적인 감상학습 및 평가를 위한 감상학습지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내용 및 절차, 제한점을 통해 본 연구의 계획을 밝혔고, 2장에서는 음악 감상과 구성주의 교수-학습 원리,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해 문헌연구를 진행하여 구성주의 교수-학습 원리에 기초한 교수-학습 지도안과 감상학습지에 개발을 위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였다. 3장에서는 7학년 9종 교과서의 감상영역 서양 제제곡 중 3곡을 선정하여 2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지도안과 감상학습지를 개발하였다. 교수-학습 지도안과 감상학습지의 개발 후에는 현직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보완해 교수-학습 활동과 감상학습지를 수정하여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마지막 4장에서는 문헌연구와 교수-학습 지도안·감상학습지 개발 과정에서 얻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구성주의적 교수-학습관은 개인의 맥락에 따른 지식의 구성을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활동은 학습자의 보다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 둘째, 구성주의적 교수-학습 활동에서는 교사가 학습자로 하여금 교수-학습 활동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주체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주의적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감상학습지는 감상곡의 인지적 정보 외에도 곡의 특징, 음악 요소, 생활화 등 감상을 하며 들어야 할 주안점을 제시하고 그 과정을 안내함으로써 평가와 동시에 감상학습과정을 도와 자기 주도적인 감상학습의 안내자가 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절차 = 3 C.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 4 D.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음악 감상 = 6 1. 음악 감상의 정의 및 방법 = 6 2. 음악 감상교육의 필요성 = 8 3.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감상영역 = 9 B. 구성주의에 입각한 교수-학습의 원리와 형태 = 10 1. 구성주의적 교수-학습관 = 10 2.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의 기본 전제조건 및 주요 교수-학습 원리 = 11 3. 구성주의에 입각한 교사의 역할 = 14 4. 구성주의적 평가의 특성 = 16 5. 구성주의의 한계 = 16 C. 포트폴리오 평가 = 19 1. 포트폴리오 평가의 목적과 특성 = 19 2. 음악교과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 = 21 D. 선행연구 = 24 Ⅲ. 교수-학습 지도안 및 감상학습지 개발 = 28 A. 감상곡 선정 = 28 B. 교수-학습 지도안 및 감상학습지 = 31 1. 교수-학습 지도안 및 감상학습지 개발 계획 = 31 2. 비발디, ≪사계≫ 중「봄」 = 31 3. 베토벤, 교향곡 제9번 「합창」4악장 = 36 4. 슈베르트, 가곡 「마왕」 = 40 C. 현직교사 평가 = 45 D. 수정 교수-학습 활동 = 50 Ⅳ. 결론 및 논의 = 68 참고문헌 = 71 부록 = 76 Abstract = 11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782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구성주의 교수-학습 원리와 연계한 감상학습지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7학년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an Music Listening Worksheet Linked to the Principles of Constructivist Teaching and Learning : With a focus on seventh graders-
dc.creator.othernameCho, Soo Yeon-
dc.format.pageviii, 11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