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양하나-
dc.creator양하나-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07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2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077-
dc.description.abstract대안학교와 일반학교는 서로 다른 학교문화와 환경을 지녔지만 대립되는 관계가 아닌 상보적인 관계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대안학교 특성화 중학교와 일반 중학교 음악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ㆍ비언어적 활동을 분석 하여 음악수업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을 위해 플랜더스(1970)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법’에 기초하여 현경실(2000)이 제작한 ‘한국 음악수업 분석법’과 최은식(2001)의 ‘비언어적 수업행동 평가지’를 토대로 ‘교사-학생 언어적ㆍ비언어적 활동 분석표’를 제작하였다. ‘교사-학생 언어적ㆍ비언어적 활동 분석표’는 크게 언어적, 비언어적 활동으로 구분되었다. 교사의 언어적 교수 활동은 ‘지시적 발언’과 ‘비지시적 발언’으로 나누고, 학생의 언어적 활동은 ‘능동적 발언’과 ‘수동적 발언’으로 나누어 각각 ‘활동유형별’로 구분하였다. 교사의 비언어적 교수활동은 ‘모델링’과 ‘반주’로 나누고, 학생의 비언어적 활동은 ‘실제음악활동’으로 나누어, 각각 ‘활동유형별’로 구분하였다. 그 외의 활동은 ‘기타’로 나타내었다. 연구를 위해 대안학교 특성화 중학교 3곳을 방문하여 총 4시간의 음악수업을 비디오와 MP3로 녹화 및 녹음하였다. 또 일반 중학교 3곳을 방문하여 총 4시간의 음악수업을 비디오와 MP3로 녹화 및 녹음한 후 총 8시간의 수업을 ‘교사-학생 언어적ㆍ비언어적 활동 분석표’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내용은, 첫째, 대안학교 특성화 중학교와 일반 중학교 음악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사용한 언어적 활동과 비언어적 활동의 ‘활동유형별’ 비율을 알아보고 비교하는 것이다. 둘째, 도출된 ‘활동유형별’ 비율을 통해 ‘학생 발언비’와 ‘수업의 비지시비’에 해당하는 ‘각종지수’의 비율을 알아보고 비교하는 것이다. 대안학교 특성화 중학교는 음악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비언어적 활동 비율과 학생의 언어적 참여 비율이 높았다. 교사의 언어활동 중에는 비지시적인 언어 사용 비율이 높았으며, 학생은 수업에서 능동적 언어를 사용하는 비율이 높았다. 하지만 수업에서 자료를 준비하거나 혼동, 침묵 등 무의미하게 흘러가는 시간의 비율이 높았으므로 조직적이고 계획적인 수업운영이 요구된다. 일반 중학교는 음악수업에서 교사의 언어적 활동 비율이 높았다. 교사의 언어적 활동 중 지시적인 언어 사용 비율이 높았으며, 학생은 수업에서 수동적 언어사용 비율이 높았으므로 수업문화의 개선이 요구된다. ‘각종지수’ 중 ‘학생 발언비’는 대안학교 특성화 중학교 모든 수업에서 일반 중학교 보다 높게 나타났다. ‘각종지수’ 중 ‘수업의 비지시비’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Although regular public schools and alternative school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ir school culture, they can still hold complementary relationship rather than contrastive.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new future direction of music class by analyzing verbalㆍnon- verbal activiti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regular public middle schools and the specialized alternative schools. Based on Flanders'(1970) ‘Flanders Interaction Analysis Category System’, and utilizing Hyun Kyung-Sil's(2000) ‘Korean Category System for Music (KCSM)’ and Choi Eun-Sik's(2001) ‘A Measure of Non-Verbal Music Teaching Behaviors(AMNMTB)’, here I made ‘Analysis tables for verbalㆍnon-verbal activiti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alysis tables for verbalㆍnonverbal activiti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re divided into two, which are ‘verbal activities’ and ‘non-verbal activities’. Teachers' verbal instructions are categorized into ‘directive utterance’ and ‘non-directive utterance’. Students ‘verbal activities’ are categorized into ‘activeㆍspontaneous utterance’ and ‘passive utterance’, which include ‘types of activities’ respectively. Teachers non-verbal instructions are categorized into ‘modeling’ and ‘accompaniment’, and students non-verbal activities are divided into ‘actual music performances’ category, which is also classified to ‘types of activities’. The rest is included in ‘others’ section. For this study, I visited 3 specialized alternative middle schools and recorded total 4 hours of music classes in video tape and MP3. I also visited 3 regular public middle schools and recorded total 4 hours of music classes in video tape and MP3. Based on these materials, I produced ‘Analysis tables for verbalㆍnon-verbal activiti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irst of all, the analysis on this study exhibits the comparison of verbalㆍnon- verbal activitie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regular public middle schools and the specialized alternative schools. Secondly, based on the ratios of ‘types of activities’ in each school, I analyze and compare each ratio of ‘respective figures’ in ‘students utterance ratio’ and ‘directㆍindirect ratio'. For the specialized alternative middle schools, the result shows that their non-verbal activities ratio is relatively high, teachers use more non-directive expression than directive expression, and students participate in the class actively. Systematic and planned class management is required not to waste time preparing teaching materials and other disturbance such as students' confusion and silence. For regular public middle schools, the result shows that their verbal activities ratio is relatively high, and teachers use more directive expression than non-directive expression. Students tend to use passive language in class. Therefore, culture in class needs to be improved ‘Student utterance ratio’ is higher in every music class in alternative middle schools than regular public middle schools. ‘Indirectㆍdirect ratio’ between two schools does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3 D. 용어의 정의 = 4 E. 선행연구 = 5 Ⅱ. 이론적 배경 = 8 A. 대안학교 특성화 중학교 = 8 B. 수업관찰 = 12 C. 수업 분석 방법 = 14 Ⅲ. 연구방법 = 20 A. 연구대상 = 20 B. 연구 방법 및 절차 = 20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 31 A. 대안학교 특성화 중학교와 일반중학교 수업 분석 = 31 B. 대안학교 특성화 중학교와 일반중학교 수업 비교 = 50 Ⅴ. 결론 및 제언 = 66 A. 결론 = 66 B. 제언 = 68 참고문헌 = 69 부록 = 71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27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대안학교 특성화 중학교와 일반 중학교 음악수업 비교-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교사와 학생의 언어적ㆍ비언어적 활동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n music class between the regular public middle school and the specialized alternative middle school : Focused on verbalㆍnon-verbal activities of both teacher and students.-
dc.creator.othernameYang, Ha Na-
dc.format.pageix, 7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