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2 Download: 0

이주노동자 자녀 대상 읽기 쓰기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연구

Title
이주노동자 자녀 대상 읽기 쓰기 교재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연구
Other Titles
A Needs Analysis on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Reading and Writing Korean for Migrants Worker's Children
Authors
지진숙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급증하는 이주노동자 자녀(이하 학습자)를 위한 학습 목적 읽기 쓰기 교재 개발을 위해 학습자와 교사가 교재에 대해 무엇을 요구하는지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주노동자 자녀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몽골학생과 몽골학생 교수 경험이 있는 전⁃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을 통해 학습자와 교사들의 한국어에 대한 일반적 상황, 한국어 읽기 쓰기 태도, 한국어 읽기 쓰기 교재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분석했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들은 한국학교에 진학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한국어를 배우고 있었다. 한국어 학습을 하면서 어렵게 느끼는 기능은 말하기와 쓰기였고 소그룹과 짝 활동 등 여럿이 함께 하는 교실활동을 선호하였다. 학습자들은 한국어 읽기 쓰기 학습에 대해 높은 동기를 지녔지만 실제 학습에서의 흥미와 자신감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이 평소에 자주 접하는 읽기 자료는 동화와 인터넷 자료였으며 더 공부해 보고 싶은 읽기 쓰기 자료는 소설과 한국 교과서를 선택했다. 교재에서 다루는 주제로는 일상생활과 관련된 주제에 관심이 많았다. 학습자들은 현재 한국어 교재 안의 읽기와 쓰기 활동 중에서는 전략을 요구하는 활동에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현재 사용하는 교재가 한국어 읽기 쓰기를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했으며 새로운 한국어 읽기 쓰기 교재에 바라는 점 역시 읽기 쓰기실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었다. 학습자의 연령에 따라 몇 가지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우선 인지능력이 우수한 15~18세 집단이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에 비해 한국어 읽기, 쓰기를 하면서 흥미가 떨어지고 자신감과 적극성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7~11세 집단은 한국어 읽기 활동 중 ‘단어 읽고 뜻을 이해하는 활동’과 ‘글 읽고 요약하는 활동’을 가장 어려워했으며, 15~18세 집단은 한국어 쓰기 활동 중에서 ‘다른 목적의 글로 바꿔 쓰기’에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드러났다. 7~11세 집단과 15~18세 집단은 교재의 내용을 가장 재미없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15~18세 집단은 특히 다른 집단에 비해 교재에 재미있는 시각적 자료가 많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기간에 따라서도 몇 가지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12개월 이상의 집단은 한국어 읽기가 앞으로 공부하는데 가장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였다. 숙달도가 낮은 6개월 미만의 집단은 한국어 쓰기에 자신감이 많이 없었지만 한국어 쓰기가 중요하다고 인식하면서 가장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다. 한국어 읽기 쓰기 활동 항목에서는 6개월 미만의 집단은 ‘글 읽고 요약하는 읽기 활동’에서 어려움을 겪고 12개월 이상의 집단은 ‘다른 목적의 글로 바꿔 쓰는 활동’에서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드러났다. 6개월 미만의 집단은 현재 사용 교재의 내용이 어렵다고 느끼고 있었고 12개월 이상의 집단은 교재의 시각적 자료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교재를 통한 읽기 쓰기 실력의 향상에 대해서는 6개월 미만의 집단이 효용성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학습자들의 한국어 읽기 쓰기 태도에 대해서 학습자들이 높은 동기를 지녔지만 실제 수업에서는 자신 없어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학습자들이 한국어 읽기에 비해 쓰기에 더 자신 없어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학습자들이 실제 어려움을 느끼는 기능도 쓰기와 어휘라고 하였다. 교사들의 교재활용 여부에서 현재 사용하는 교재를 재구성하여 사용한다는 의견과 보충교재를 선택하여 사용한다는 의견이 동일하게 나왔다. 또한 교사들은 교재에 학습자의 흥미를 고려하는 다양한 활동이 별로 없으며 시각적 자료도 학습자들의 흥미를 끌지 못한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주노동자를 위한 읽기 쓰기 교재 개발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이주노동자 자녀를 위한 한국어 읽기 쓰기 교재는 그 대상이 아동과 청소년인만큼 무엇보다 그들의 흥미를 고려해서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한국학교 진학이라는 학습 목적에 맞게 개발되어야 한다. 학습 활동을 필요한 문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읽기 쓰기가 통합된 교재를 만들되, 읽기, 쓰기 활동은 학습자들의 고등 수준의 인지 능력을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방향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교재 개발 시 학습자의 정서적인 면을 감안하여 문화적인 부분 또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의 한 축을 이루는 이주노동자 자녀 대상 한국어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들을 위한 교재 개발 연구를 처음으로 시도하고 기초자료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가 향후에 이루어질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어 읽기 쓰기 교재 개발이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the learners' and teacher's require from the teaching material for the increasing migrants workers' children to develop reading and writing. For this, the Mongol students who account for most of the migrants workers' children and the present-former teachers who have taught Mongol students have been question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students' and teachers' general state of Korean, attitude of reading and writing Korean and the recognition and demand for Korean teaching material for writing and reading have been analyzed and the result is as shown. First of all, Most learners have learned Korean with a purpose to enter a Korean school. The difficult sections of their having learned Korean were speaking and writing and they have preferred the small groups' and the partners' activities in class. Though the learners have a lot of motive, they lack interest and confidence in actual lessons. The reading material that they have often contacted with is fairy tales and internet datum and the reading and writing materials that they want to learn more is novels and Korean textbooks. In learning materials, the theme that they have much interested in is having relation to daily life. It is shown that students had a hard time with activities that was required strategy in the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in the learning material. They thought that the current teaching materials did help develop ability of reading and writing Korean, and what they wanted from new learning materials for reading and writing korean was the same. Second, according to the learner's age,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several items. First of all, those who were age 15~18 with high cognitive ability had lower interest than other groups, and they also were lacking in confidence and activeness while reading and writing. Among activity of reading Korean, they thought that the easiest part was ‘activity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after reading a word’, and the 7~11 years old group had the hardest time in doing ‘activity of summarizing contents after reading’. The 15~18 years old group had the hardest time in doing ‘reading and writing letters’ and ‘rewriting for composition of different object’ activities, while they thought that the easiest part was ‘activity of summarizing contents after reading’. the 7~11 years old group and the 15~18 years old group thought contents of the learning materials were the dullest, and especially the 15~18 years old group, compared with other groups, thought that teaching materials was short of interesting optical datum. Third, There were some meaningful differences in some items depending on students' learning period of Korean. Those who have learned Korean for more than 12 months thought reading activity would be the most helpful to study in the time to come. The lower skilled group who have learned Korean for less than 6 months had little confidence in writing Korean, but they were aware of importance of activity of writing Korean. And so they have attended the lessons most actively. Among the Korean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students that have learned for less than 6 months have a hard time in ‘summarizing contents after reading ’ and those who have learned Korean for more than 12 months have a great difficulty in ‘rewriting for composition of different object’. The learning students for under 6 months felt that current learning materials was difficult, and the learning students for more than 12 months were the most satisfied with the optical materials in learning materials. In respect of ability improvement of reading and writing through the learning materials, the learning students for under 6 months felt most effective. Finally, the teachers thought the students had a lot of motive to attitude of reading and writing Korean, but they felt the students had little confidence in actual class. Especially they believed that students were less confident in writing than in reading Korean, and actually functions that the students had trouble to do were writing and vocabulary. In respect of the practical use of learning materials by the teachers, there were identical opinions of reconstructing the learning materials and applying it, and choosing supplement teaching materials and applying it. Moreover, teachers thought there were no various activities that attracted the students' interest in teaching materials, and the optical materials also did not interest the learners. With being based on this result of analysis, the following suggestion can be obtained to develop reading and writing learning materials for migrants workers' children. Most of all, the learning materials of reading and writing Korean for migrants workers' children must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ir interest because those who were educated were children and teenagers. Second, it must be developed to suit object of entering a Korean school. Third, learning materials must be made up of integrated reading and writing to improve ability of literary language that is required for learning activities, and it must consist of contents that can induct them into displaying high cognition ability. Last of all, in consideration of affective sides, it is natural that cultural aspects is considered when it is developed.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Korean language instruction for migrants workers' children who make up part of the multi-culture society in Korea, attempting study of teaching materials development for the first time, and presenting basic material. I hope th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to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reading and writing Korean that will be used by migrants workers' children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