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교사의 질문수준이 중학생의 사회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Title
교사의 질문수준이 중학생의 사회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Teacher's Questioning Level on Academic Achievement in Social Studies
Authors
신지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효과적인 질문의 특성을 밝히고자 연구된 연구물은 질문의 수준, 위치, 빈도, 휴지기간 등의 변인을 중심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지만, 질문에 대한 연구에서 가장 핵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주제는 질문의 수준과 관련된 것이다. 이 분야에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질문수준에 대한 분류체계는 지식, 이해, 적용, 분석, 종합, 평가라는 6단계의 블룸(Bloom, B.S.)식 분류방식을 기초로 하여 뱅크스(Banks, J.A.)가 제작한 질문기법이다. 즉, 다른 수준의 사고과정에 기반을 둔 수준별 질문기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사의 질문 수준이 사회과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서 Bloom식 분류방법을 기초로 하여 차경수(2002)가 제시한 지식, 이해, 응용, 분석, 종합, 평가의 질문별 사회과 적용 사례를 참고하여 질문문항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뱅크스(Banks, J.A.)가 제안한 지식과 이해의 하위인지 질문과 응용, 분석, 종합, 평가의 상위인지 질문의 분류를 바탕으로 사회과에서 이광성(1997)이 제시한 수준별 질문기법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중학교 3학년 사회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위인지 질문과 상위인지 질문을 만들었다. 이후 개발한 질문 문항을 울산시 소재 H 남자 중학교에서 중학교 3학년 학생 148명을 상위인지 질문집단(74명)과 하위인지 질문집단(74)명으로 나누어 어떤 집단이 사회과 학업성취도에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각 집단을 다시 학습능력 상, 하 집단으로 구분하여 각 집단별로 학업성취도 신장의 효과에 대하여 검증해 보았다. 실험 결과, 수업 중 상위인지 질문을 실시한 집단이 하위인지 질문을 실시한 집단에 비해 사회과 학업 성취도에 있어서 다소 향상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학습능력집단별로 분석해본 결과, 상위인지 질문은 학업능력이 낮은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학생들에게 더 많은 학업 성취도 향상을 가져왔으며, 하위인지 질문은 학업능력이 높은 학생들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학생들에게 좀 더 많은 학업성취도 향상을 가져왔다. 결론적으로, 단순한 지식만을 확인하는 하위인지 질문에 비해 상위인지 질문은 학생들에게 특정한 사실의 회상부터 지식의 이해, 분석, 종합, 적용, 평가에 이르는 폭넓은 활동을 촉진시켜줄 수 있기 때문에 사고력의 연합과 증대를 통해 사고력의 확장을 가져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교수-학습기법에 있어서 획일적으로 교사가 요구하는 학습목표에 학생을 적응시키려는 일반적인 교수방법보다는 학습자의 학업능력에 맞는 적절한 처치가 필요하다는 시사점도 얻을 수 있었다.;Although diverse variables including quality, position and frequency are studied in the studies which put their focus on the characters for effective questions, the main topic is always in regard with the quality of question. The most widely accepted taxonomy about the quality of question is that of Banks(Banks J. A), who has made the question-technique by levels and the model is based on the taxonomy of Blooms' six categories : knowledge, comprehension, application,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That is, we generally use the question-technique based on the different thinking processes. The questions used in this experiment are closely related with those of Cha Kyung-Soo(2002), who applied the six categories of Bloom to social studies. And the author has produced both low-cognition and upper-cognition questions which could be used in the third class of middle schools, and which are based on the taxonomy of Lee Kwang-Sung(1997); He classified low-level questions and upper-level questions which Banks originally proposed. That is, the former includes knowledge and comprehension and the latter includes the other variables: application, analysis, synthesis, and evaluation. After that, the questions were offered the third class students of middle school where the author taught. The method was like this; Firstly, all the students were taught with the same contents and the same techniques, and secondly, the author classified them into two groups, one Controlled Class(72 students) and the other Experiment Class(72 students). The low-cognition questions were given to the former and the upper-cognition questions were given to the latter. And then the author investigated how much does it effec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s. In a result, the students who have received upper-cognition questions showed the higher achievements in the classes of social studies. In conclusion, the model of Bloom presupposes that the higher level means the higher or more complex thinking, so that the upper-cognition questions would encourage students' cognitions from comprehension to evaluation, which results in increasing thinking power. Therefore it is natural they enjoy better academic achievem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