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8 Download: 0

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한 지리과 수행평가에 관한 연구

Title
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한 지리과 수행평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Geography Education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uthors
류혜연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s to develop instruments for performance assessment,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in order to apply to geography classes and explore educational suggestion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and relations among strong intelligence tasks, preference-based tasks, randomly given tasks. The research identified students' strong intelligence areas by utilizing 'Multiple Intelligence Test'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made students try to deal with tasks out of his or her own strong intelligence areas, of his or her preference, and tasks randomly given by teachers, and evaluated the whole process and results. They were cross-marked by two teachers and the average score was standardized and converted to T score. Intra 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for an analysis of inter-rater reliability. Repeated measure ANOVA used in order to analyze compare averages of strong intelligence tasks, preference-based tasks, and randomly given ones, and Bonferroni method was applied for post-hoc. In addition, a simple free-essay style questionnaire was handed out to discover further details behind the statistical findings, and on the basis of the answers, a semi-structured group counseling was provided. The researcher then collected and analyzed the data. The result of Multiple Intelligence Test shows the tendency that the strong Intelligence is mainly distributed in the areas of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each student has various Intelligence profile. The results of performance assessment showed that the mean score of preference-based task was higher than that of randomly given tasks and strong Intelligence tasks, with no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strong Intelligence tasks and randomly given tasks, strong Intelligence and preference tasks seen. The reason that the highest score and good quality results are produced in preference-based tasks is because students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the tasks which reflected their own interests and talents.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dividualized strategies which make the most use of students' strong intelligence, allow students to choose what to learn, and provide preferred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did not project Intrapersonal Intelligence performance tasks and did not deal with multiple strong Intelligence areas of a student. However, it is meaningful in that, unlike other previous studies, this study presented a rubric designed for each Intelligence area which had been developed by the author,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the its result, and the relationships of performance results among students' strong Intelligence tasks, preference-based tasks, and randomly given tasks were investigated through experimental research. Even though it is not easy to attempt to apply various educational ideas to crowded exam-oriented school classroom, it seems to be necessary to explore applicable ideas to everyday class and investigate them through experiment. Now that the class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is found helpful to help students pleasantly get involved in class and improve their learning, further studies needs to be continued to make the findings more widely reflected in geography teaching and learning.;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한 수행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지리 교과에 적용해 보고, 학생들의 강점지능 과제, 선호 과제, 무작위 과제의 수행 결과 간의 관계 파악 및 분석을 통해 그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해보는 데 있다.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하여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7개 지능 영역별 수행과제 및 평가를 위한 루브릭(rubric)을 개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서울시에 위치한 공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중․고생을 위한 다중지능검사지’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강점지능을 파악하였으며, 검사 결과를 토대로 각 학생들에게 자신의 강점지능 영역에 해당하는 수행과제, 본인이 희망해서 선택한 선호 과제, 교사가 임의로 부과한 무작위 과제를 해결해 보도록 한 후 그 수행 과정 및 결과를 평가하였다. 평가는 교사 2인의 교차 채점으로 이루어졌고, 그 평균 수치를 표준점수화 하여 T점수로 변환하였다.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두 평가자 간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한 급내 상관 분석(ICC : intra class correlation)을 실시하였으며, 강점지능 과제, 선호 과제, 무작위 과제의 평가 결과 간의 평균 비교를 위한 반복측정 분산 분석(Reapeated Measure ANOVA) 및 Bonferroni방법에 의한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과제 수행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내용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사실의 규명을 위해 평가 종료 후 자유기술 형태의 간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 내용을 토대로 일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그룹면담을 진행하여 질적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학생들의 다중지능검사 결과는 강점지능이 신체-운동 영역과 대인관계 영역에 밀집되어 분포하는 경향이 있었지만, 각 학생들마다 다양한 지능프로파일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학생들에게 부과한 수행과제의 평가 결과는 무작위 과제와 강점과제에 비해 선호 과제의 평균 점수가 더 높았으며, 강점지능 과제와 무작위 과제 간 그리고 강점지능 과제와 선호 과제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선호 과제에서 수준 높은 수행 결과물들이 많이 산출된 것은 학생들이 자신의 흥미와 소질을 바탕으로 스스로 선택한 과제에 대해 애착과 도전의식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기 때문이다. 이는 교수-학습 및 평가에 있어 학생들의 강점 지능의 활용과 함께 융통성 있는 학습 선택권을 부여하고 선호하는 학습 환경을 제공해 주는 개별화 전략이 필요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드너가 제시한 8개 지능영역 중 자기이해 지능을 수행과제로 구안하지 못하였으며, 복수의 강점지능을 가진 학생들의 처리 문제 등 실험 진행과정에서도 한계점이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의 다중지능 관련 선행연구와 달리 연구자가 직접 개발한 각 지능 영역별 루브릭을 제시하였고 이에 근거한 평가 결과를 토대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특히 학생들의 강점지능 과제와 선호 과제, 무작위 과제의 수행 결과 간의 관계를 실험 연구를 통하여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입시 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지는 다인수 학급의 학교 현장에서 다양한 교육적 아이디어를 시도하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렇기 때문에 교실에서의 실천을 가능하게 하는 대안을 찾아보고 실험을 통해 규명하는 일이 더욱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다중지능이론을 활용한 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즐겁게 수업에 임하면서 학습 효과도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충분히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사례들을 발전시켜 지리과 교수-학습의 다양한 측면에 반영될 수 있도록 관련 연구들이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