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효진-
dc.creator이효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6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0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1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061-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는 현재 7차 도덕과교육에서의 '평화를 위한 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기초를 다지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즉 도덕과교육에서 평화교육이 실천되기 위해서 어떠한 교육내용들이 어떠한 교육적 분위기 속에서, 어떠한 목표를 지향하여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실제적인 프로그램을 통하여 밝히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자는 평화교육의 목적을 갈등과 편견이 만연하고, 폭력의 현실을 평화 지향의 교육을 추구함으로써 학생들에게 평화를 사랑하는 마음을 길러주고 그런 세상을 살아가도록 해야 하는 것으로 보고, 평화를 향한 유기적 관계를 세 가지 차원으로 제시한다. 자신의 차원에서는 긍정적 자아개념을 확립하고 자신의 가치를 깨우치며, 책임감을 함양하여 깊은 성찰에까지 이르게 하는 차원으로, 타인의 차원에서는 타인의 존엄성과 가치에 대한 긍정, 개방적인 의사소통, 상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능력, 화해와 용서의 능력, 신뢰, 관계에서의 책임성 등으로 구성하였다. 사회적 관계에서는 관용, 참여, 개인선과 공동선의 조화 등으로 구성하였다. 평화를 만들어 가는 이러한 요소가 평화교육의 궁극적인 목표가 될 수 있으며, 이는 우리 삶의 다양한 차원에서 유기적으로 평화적 능력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학교에서의 평화교육은 학교의 반평화적 상황을 극복함으로써 학교에서의 삶 자체를 평화가 지향하는 평등, 비폭력, 민주주의가 실현되는 평화적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교육적 노력을 추구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에서 자신의 가능성을 열고 존중하는 마음으로 타인을 존중하고, 나눔과 섬김을 배우면서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자세를 갖추도록 해야함을 강조하였고, 자신이 속한 세계를 평화로운 곳으로 만들어 가기 위해 다양한 사회 속에서 공감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인간성을 형성하는 평화교육을 주장하였다. 이 주장을 위한 이론적 논의는 데이비드 힉스(David Hicks)가 제시한 지식, 태도, 기술의 영역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목표를 근거로 하여 제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주요 영역 및 개념을 제시하였다. 지식 차원의 목표는 해결해야 할 문제 중심의 내용으로, 도덕과 교육 접근 과정의 인지적 영역과의 연관성을 보였으며, 태도 차원에서는 평화교육에서 양육되어야 할 태도와 가치의 내면화를 통해 실천의 동기유발을 가능하게 하는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는 행동적 영역과 관련되며, 존중과 열린 마음, 정의와 헌신의 태도를 함양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기술의 영역에서는 평화형성을 위해 필요한 것으로, 실천적 접근과의 연계 속에서 비판적인 사고를 통한 의사소통을 실제 경험해보고, 공감과 협력적 실천을 통하여 다양성을 이해하며, 갈등의 유연한 해결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인, 가정, 학교 등을 비롯한 다양한 인간관계 속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것과 타인을 이해하고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능력, 공정한 눈으로 사회를 바라볼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평화교육의 과제를 도덕교육 안에서 실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고, 이를 위해 평화로운 의사소통, 평화로운 시선, 평화로운 공동체를 목표로 삼아 실제 도덕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업 개관과 수업지도안을 제시하였다. 평화로운 의사소통에서는 갈등해결 프로그램과 역지사지의 의사소통을 학습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제시하였고, 평화로운 시선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은 인권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차이와 차별을 구별하고, 다름을 인정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개인적 차원 뿐 아니라 공동체적 차원에서 만들어 갈 수 있는 평화로운 공동체에서는 가장 사회적으로 문제시 되고 있는 학교 폭력에 대한 문제 해결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는 도덕교육과 평화교육을 융합하여 학교에서 평화적 감수성을 함양하여 실천할 수 있는 접근 가능한 대안적 수업모델로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The aim of this study is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practice of the 'Education for Peace'which is shown in the moral education of the present 7th Education system. Namely, the cor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practice the peace education with what kind of education contents, within which educational environment, and aiming what kind of goal through the practical programs. The researcher indicates the aim of the peace education is to enhance the students love of peace and to make the students live in a peaceful environment by pursuing the peace-oriented education in the world full of conflict, prejudice, and violence, and the researcher suggests 3 dimensions of systematic connections towards peace : the dimension of oneself, others, and social relationship. The dimension of 'oneself' is consisted of establishing positive self-consciousness, realizing the value of oneself, and reaching to the deep self-reflection by developing the sense of responsibility, and the dimension of'others'is consisted of the affirmation of the dignity and the value of others, open communication, the ability of maintaining mutual relations, the ability of reconciliation and forgiveness, the aspect of confidence, and the responsibility in relations. Lastly, the dimension of'social relationship'contains generosity, participation, and the harmony of individuality and collectivity. Those peace-making constituents shown in the 3 dimensions could be the ultimate goal of peace education, and the constituents also can produce the peaceful power systematically in various dimensions of life. On the basis of the previously stated constituents, the definition of the peace education in school is to pursuit educational efforts, which spread peaceful atmosphere, seeking after equality, nonviolence, and the students' realization of democracy. For this, the researcher insists that teenagers should respect others as they respect theirselves with open possibilities in their lives and have the attitude of living together with others learning sharing and serving. At the same time, the researcher sets focus on students' sympathizing with various social relations and the peace education to form the consideration for others to make the world a peaceful place in which everybody is living. The theoretical argument for the insistence above is concretely presented on the basis of the categories of Knowledge, Attitude, and Skills which were indicated by David Hicks, and with the theoretical argument, the researcher presents the core categories and concepts for program development. The goal of the category of Knowledge is to show the connection with the recognition part in the approaching process of the ethics lessons, focusing on the problems that should be solved. In the category of attitude, the researcher sets the goal that makes the practical motivation possible through internalization of attitude and value that are supposed to be fostered from peace education. This is related to the field of action, and this also centers the cultivation of the attitude of respect, open mind, justice, and devotion. The goals of the category of Skills are experiencing the real communication through critical thinking in relation with practical approaching, understanding the variety through sympathy and co-operational practice, and pursuing the pertinent settlement of conflict. Accepting that, in the moral education, the tasks of the peace education which include the ability of peacefully settling down conflicts, the ability of communication understanding others, and raising the ability for students? watching their society with positive points of view could possibly be fulfilled. For this, the researcher brings up the curriculums and syllabuses that could be applied to actual moral education pursuing peaceful communication, peaceful sight, and peaceful community. The researcher shows the conflict settlement program and learning program of 'in a shoe on the other foot' communication in the part of peaceful communication. The researcher also suggests the method to distinguish difference from distinction and to learn how to approve differences, focusing on human right program. In the peaceful community that could be established by individuals as well as groups, the researcher presents the solution program for school violence problem which is now being a serious social issue. Blending with moral education and the peace education, this will be suggested as the alternative lesson model that could be used in the actual lessons in schools with the developed peaceful sensibil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4 Ⅱ. 평화교육의 이론적 고찰 = 7 A. 평화의 개념 = 7 B. 평화교육의 본질과 특성 = 9 C. 평화교육의 흐름 = 19 Ⅲ. 도덕교육과 평화교육 = 23 A. 도덕교육 실천을 위한 평화교육의 접근 = 23 B. 7차 도덕 교과에 대한 평화교육적 분석 = 28 C. 도덕 교육 안에서의 평화교육 요소 = 41 Ⅳ. 중등도덕과 교육에서의 평화교육 적용 = 43 A. 수업개관 = 43 B. 수업지도안 = 44 Ⅴ. 결론 및 제언 = 57 참고문헌 = 59 부록 = 62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659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등 도덕과 교육에서의 평화교육 프로그램 적용-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Applying the Educational Program for Peace to Moral Education in Middle Schools-
dc.creator.othernameLee, Hyo Jin-
dc.format.pagevi,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