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혜진-
dc.creator박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3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02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13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027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current operational state of role plays conducted during indoor free choice activity hours at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further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m. It also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o vitalize young children's role play in the right direction by comparing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in differences. For tho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hat is the current operational state of role plays conducted during indoor free choice activity hours at kindergartens? 1-1. What is the environment like for role plays conducted during indoor free choice activity hours? What kind of difference is there according to the types of kindergartens? 1-2. What methods are used to operate role plays conducted during indoor free choice activity hours? What kind of difference is there according to the types of kindergartens? 2. What are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operation of role plays during indoor free choice activity hours at kindergartens? 2-1. What are their perceptions of the current operational state of role plays conducted during indoor free choice activity hours? 2-2. What are their perceptions of their roles and educational effects regarding role plays conducted during indoor free choice activity hours? 2-3. What are their perceptions of the difficulties and improvements regarding the operation of role plays conducted during indoor free choice activity hours? The subjects include 256 teachers working for public or private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fulfill the research purposes, the investigator used a questionnaire including questions about the general backgrounds of the teachers and their educational agencies, the current operational state of role play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m. The gathered data were analyzed in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multiple-response analysis and χ² test. The research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current operational state of role plays at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as as follows: first, the space for role play was mostly the classroom from the environmental perspective. The kindergartens turned out to have the most materials about playing house. There were differences as to whether there was a space for role play and how they would select and purchase role play materials according to the types of kindergartens; the public kindergartens were more likely to provide a space for role play and bestow more choices to the teachers in selecting and purchasing role play materials than the private kindergartens. And many of the kindergartens first considered topics of daily life when trying to replace old role play materials or adding new ones. And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ch operational methods as how to plan role play activities and whether to have assistant teach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kindergartens. Many of the private kindergartens said they drew up activity plans for children by combining topics and interesting activities under given situations. Meanwhile, the public kindergartens applied natural instructions without setting activity plans and showed a lower tendency to have assistant teachers than their private counterparts. And the teachers engaged in preparations such as activity plans and props for role play more than personal participation in role play. Then the teachers' perceptions of role plays conducted during indoor free choice activity hours were examined; first, they thought that while there were plenty of hours appointed to role play during indoor free choice activity hours, there were no enough role play materials provided. Most of the teachers replied that there was a need for storage units for role play materials and activity plans. According to their responses, the ideal cycle to replace or add role play materials was once a month or once every two weeks. And the current topics of daily life were the most ideal criteria to replace or add role play materials, being followed by young children's interest. Secondly, the teachers said that planning activities associated with topics of daily life was the most important role of teachers in terms of teachers' roles and educational effects. They also placed importance on preparing a variety of props for diverse plays and taking active part in play by capturing the moment to encourage young children's play and educate them in the descending order. They also saw the most educational value of role play in development of sociality,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and enhancement of emotional stability. And thirdly, as for the difficulties and improvement measures involved with instruction of role play, the teachers cited lack of play materials and teachers' understanding of play as the causes for absence of diverse role plays. The biggest number of them confessed that it's difficult to engage in quality interactions with children with no help from assistant teachers. They also had difficulties with storage of play materials, expansion of play, and interactions. And they had various ideas to vitalize role play such as in-service training to learn how to observe young children's play and interact with them, expansion of play materials, and the aggressive determination and efforts to run role plays from the head masters and teachers.;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및 경기지역 공․사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유치원의 실내 자유 선택 활동시간에 이루어지는 역할놀이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에 관해 알아보고, 공․사립유치원의 차이를 비교해 봄으로써 유아들의 역할놀이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실내 자유 선택 활동시간에 이루어지는 역할놀이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1-1. 실내 자유 선택 활동시간에 이루어지는 역할놀이 환경은 어떠한가? 이는 유치원 설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실내 자유 선택 활동시간에 이루어지는 역할놀이 운영방법은 어떠한가? 이는 유치원 설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유치원 실내 자유 선택 활동시간에 이루어지는 역할놀이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실내 자유 선택 활동시간에 이루어지는 역할놀이 운영실태에 대한 교사 의 인식은 어떠한가? 1-2. 실내 자유 선택 활동시간에 이루어지는 역할놀이 시 교사의 역할 및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3. 실내 자유 선택 활동시간에 이루어지는 역할놀이 운영의 어려움과 개선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및 경기지역 공․사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256명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교육기관과 교사의 일반적 배경을 묻는 질문을 포함하여 역할놀이 운영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묻는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수립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다중 응답 분석, χ2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서울 및 경기지역의 역할놀이의 운영 실태는 첫째, 환경적인 면에서 역할놀이를 위한 공간은 대부분 교실 내에 마련되었고, 유치원에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는 역할놀이 자료는 소꿉놀이 관련 자료로 나타났다. 유치원 설립유형에 따른 환경은 역할놀이 공간의 설치 유무와 역할놀이 자료 선정 및 구입에 있어서 차이를 나타냈는데 공립 유치원이 역할놀이 공간의 설치 정도가 높았고, 역할놀이 자료 선정 및 구입에 있어서는 교사에게 결정권이 더 주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많은 유치원에서 역할놀이 자료의 교체 및 첨가 시 진행되는 생활주제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영 방법 면에서 보면 역할놀이 활동을 계획하는 방법과 보조교사의 유무에 있어서 유치원 설립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립 유치원은 상황에 따라 주제와 흥미로운 활동을 병행하여 활동계획안을 작성한다는 곳이 많았고, 공립 유치원은 활동계획안을 작성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지도한다는 곳이 많았으며 사립 유치원에 비해 보조교사가 있는 비율이 낮았다. 또한 역할놀이를 위해 주로 하는 교사의 역할은 활동계획과 소품을 마련하는 준비의 역할이 놀이에 직접 개입하는 역할보다 많이 나타났다. 유치원 실내 자유 선택 활동 시간에 이루어지는 역할놀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첫째, 운영실태 면에서 역할놀이를 할 수 있는 실내 자유 선택 활동시간이 충분히 제공되는 반면 충분한 역할놀이 자료는 제공하지 못한다고 인식하였다. 역할놀이 자료 보관 장소의 필요성과 활동 계획의 필요성은 대부분의 응답자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교사들이 생각하는 역할놀이 자료의 이상적인 교체 및 첨가 주기는 한 달에 한번과 격주의 한번으로 나타났으며, 역할놀이 자료의 이상적인 교체 및 첨가 기준은 진행되는 생활주제와 유아의 흥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역할 및 교육적 효과 면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교사의 역할은 생활주제와 연계될 수 있도록 활동을 계획하고, 다양한 놀이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품을 준비하며, 놀이를 격려하고 교육할 수 있는 순간을 포착하여 적극적으로 놀이에 참여하는 순으로 나타났으며 교사들은 사회성 발달과 의사소통능력의 발달, 정서적 안정감 증진에 역할놀이의 교육적 가치가 많이 있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할놀이를 지도하는데 느끼는 어려운 점과 개선방법 면에서 교사들은 놀잇감 부족과 교사들의 놀이에 대한 이해 부족을 다양한 역할놀이가 이루어지지 않는 원인으로 인식하였고, 역할놀이 운영 시 어려운 점으로 보조인력이 없어 질적 상호작용이 어렵다고 인식한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놀잇감 보관의 어려움과 놀이 확장 방법 및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놀이의 활성화를 위한 방법으로 교사 연수를 통해 유아 놀이 관찰 및 상호작용 방법 습득하고 놀잇감을 확충하며 역할놀이 운영에 대한 원장과 교사들의 적극적 의지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II. 이론적 배경 = 5 A. 역할놀이의 중요성 = 5 B. 역할놀이 환경과 운영방법 = 7 C. 역할놀이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역할 = 12 III. 연구방법 = 16 A. 연구대상 = 16 B. 연구도구 = 18 C. 연구절차 = 20 D. 자료분석 = 21 IV. 연구결과 및 해석 = 22 A. 역할놀이 운영실태 = 22 B. 역할놀이에 대한 교사 인식 = 36 V. 논의 및 결론 = 48 A. 요약 및 논의 = 48 B. 결론 및 제언 = 54 참고문헌 = 57 부록 = 61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4032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유치원 실내 자유 선택 활동시간에 이루어지는 역할놀이 운영실태와 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Current Operational State of Role Plays during Indoor Free Choice Activity Hours at Kindergartens and the Teachers' Perceptions of them-
dc.creator.othernamePark, Hay Jin-
dc.format.pagevi,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