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자경-
dc.creator이자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5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78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7865-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ests of science literacy evaluate science literacy with accuracy or not.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I measured the science literac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TBSL(Test of Basic Scientific Literacy) and SLT(Scientific Literacy Test), and analyzed how accurate each test sheet of science literacy determines the existence of it in various field of science literacy.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99 middle school and 195 high school students. In processing test results, independent-samples T-test was conducted with SPSS 12.0. The result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 in format and number of questionnaire between TBSL and SLT. TBSL consists of 80 true-false questions and SLT does 70 multiple-choice ones. Second, differences of science literacy by gender in middle school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by TBSL was higher than standard score, therefore could be analyzed that the students had the science literacy. However, the SLT result in attitude toward science, severely lower than the result by Manhart's study, could lead to the analysis that the students are lack of the science literacy. Third, In high school the students in science art had higher score of science literacy than those in liberal art, and their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by TBSL was higher than standard score, therefore could be analyzed that the students had the science literacy. Comparing the SLT result with the result by Manhart;s study, however, indicated that the students of liberal art were deficient in the science literacy for science knowledge, and so were all students of both art in science literacy for attitude toward science. Fourth, science literacies of female students in high school were higher than those in middle school.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BSL and was not in SLT. The result by TBSL was higher than standard score, therefore could be analyzed that the students had the science literacy. But compared with the result by Mr. Manhart, the result of SLT meant that the female students had science literacy in science knowledge and did not have one in attitude toward science. In conclusion, by this research I found out that TBSL and SLT could analyze the existence of the science literacy different, and believe th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can help to develop a methodology or tool to measure the science literacy with more accuracy.;과학적 소양은 과학 기술 사회인 현대 사회에서 일상생활을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수단이며, 과학적 소양을 양성하는 것은 세계 각국의 과학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과학적 소양의 중요성으로 과학적 소양을 측정하는 연구는 많이 수행되었지만 과학적 소양 검사가 과학적 소양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과학적 소양 검사 도구, TBSL(Test of Basic Scientific Literacy)과 SLT(Scientific Literacy Test)를 사용하여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을 측정하고, 과학적 소양의 영역별로 검사지에 따라 과학적 소양의 유무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중학생 199명과 고등학생 195명을 대상으로 과학적 소양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검사지 자체를 비교하였으며 두 가지 검사지로 측정된 과학적 소양 검사 결과를 SPSS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TBSL과 SLT는 문항 형식과 문항 수에서 차이를 보인다. TBSL의 문항은 진위형이며 SLT의 문항은 선다형이다. TBSL은 총 8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과학 지식 영역 문항이 과학 태도 영역 문항보다 많다. SLT는 총 70문항으로 과학 지식 영역 문항과 과학 태도 영역 문항이 비슷한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중학생의 과학적 소양은 TBSL과 SLT로 측정한 검사 결과는 TBSL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SLT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TBSL과 SLT의 결과 모두 남녀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TBSL로 측정한 검사 결과는 Laugksch와 Spargo(1996b)가 제시한 기준 점수 보다 높아 과학적 소양이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지만, SLT로 측정한 검사 결과는 과학 태도 영역에서 Manhart(1998)의 연구 결과보다 현저하게 낮아 과학 태도 영역의 과학적 소양이 부족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고등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은 TBSL과 SLT로 측정한 검사 결과 모두 자연 계열 학생들이 인문 계열 학생들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그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TBSL로 측정한 검사 결과는 모든 영역의 과학적 소양 점수가 Laugksch와 Spargo(1996b)가 제시한 기준 점수보다 높아 과학적 소양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SLT로 측정한 검사 결과는 모든 영역에서 과학적 소양이 있다고 해석할 수 없다. 과학 지식 영역에서 SLT의 검사 결과는 인문 계열 학생들의 점수가 Manhart(1998)의 연구 결과보다 낮아 과학적 소양이 있다고 해석할 수 없으며, 과학 태도 영역에서도 모든 계열 학생들의 점수가 Manhart(1998)의 연구 결과보다 현저하게 낮아 과학적 소양이 있다고 해석할 수 없다. 넷째, 여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은 TBSL과 SLT로 측정한 검사 결과 모두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 점수가 중학생의 점수보다 높았다. TBSL은 모든 영역에서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SLT는 모든 영역에서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TBSL로 측정한 여학생의 과학적 소양은 Laugksch와 Spargo (1996b)가 제시한 기준 점수보다 높아 과학적 소양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으며, SLT로 측정한 여학생의 과학적 소양은 과학 지식 영역의 경우에는 Manhart(1998)의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과학적 소양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과학 태도 영역에서는 과학적 소양 점수가 Manhart(1998)의 연구 결과보다 현저하게 낮아 과학적 소양이 있다고 해석할 수 없다. 이처럼 TBSL과 SLT로 과학적 소양을 측정했을 때 과학적 소양의 유무는 다르게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과학적 소양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검사 도구를 수정, 보완, 개발하는 연구와 기존의 검사 도구의 과학적 소양 기준 점수를 재정립하는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과학적 소양 = 4 1. 과학적 소양의 개념 = 4 2. 과학적 소양의 필요성 = 6 B. 과학적 소양 평가 도구 = 7 1. Miller(1983)가 개발한 검사도구 = 7 2. Test of Basic Scientific Literacy(TBSL) = 8 3. Scientific Literacy Test(SLT) = 9 C. STS 교육 = 9 1. STS 교육운동의 등장배경 = 9 2. STS 교육의 의미 = 10 3. STS 교육의 목적 = 11 4. STS 교육 프로그램 = 11 가. Science and Technology in Society(SATIS) = 11 나. Chemistry : The Salters' Approach = 12 다. Unified Science : Problem Solving i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 12 라. Modular- Science/Technology/Society = 13 마. Science Syllabus for Middle and Junior High Schools: Block J: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 13 바. Science Plus Technology, Society 1, 2 & 3 = 13 사. Iowa Chautauqua Program = 14 아. Chemistry in the Comminuty(ChemCom), Biology : A Community Context(BiolCom) = 14 D. 선행연구 = 15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18 A. 연구 대상 = 18 B. 연구 절차 = 18 1. 문헌 연구 및 선행 연구 고찰, 검사 도구 선정 및 번역 = 18 2. 예비 검사 = 19 3. 본 검사 = 20 4. 통계 처리 및 결과 분석 = 21 C. 검사 도구 = 21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4 A. 과학적 소양 검사지의 영역별 문항수 비교 = 24 B. 과학적 소양 검사 결과 비교 = 25 1. 중학생의 과학적 소양 검사 결과 = 26 가. TBSL로 검사한 중학생의 과학적 소양 검사 결과 = 26 나. SLT로 검사한 중학생의 과학적 소양 검사 결과 = 29 다. TBSL과 SLT로 검사한 중학생의 과학적 소양 검사 결과 비교 = 33 2.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 검사 결과 = 35 가. TBSL로 검사한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 검사 결과 = 35 나. SLT로 검사한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 검사 결과 = 40 다. TBSL과 SLT로 검사한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 검사 결과 비교 = 52 3. 여학생의 과학적 소양 검사 결과 = 55 가. TBSL로 검사한 여학생의 과학적 소양 검사 결과 = 55 나. SLT로 검사한 여학생의 과학적 소양 검사 결과 = 58 다. TBSL과 SLT로 검사한 여학생의 과학적 소양 검사 결과 비교 = 67 Ⅴ. 결론 및 제언 = 70 참고문헌 = 72 부록 = 76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25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검사지에 따른 중,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cientific literacy of secondary and high school students by Tests-
dc.creator.othernameLee, Ja Kyoung-
dc.format.pagexi,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