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2 Download: 0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STS 내용분석

Title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STS 내용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STS related in Educational Subjects in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 Focused on Biological Field
Authors
이은지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science and the technology became daily life to us that living in today of 21st century. As the science and the technology developed greatly, th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s that comes from life is demanded. Accordingly, the direction of science education is changing to education for preparing future society and science for all, not just a simply inheriting science knowledge. On this score, STS (Science - Technology - Society) education that deal with the mutual relation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is emphasized. Hence, it has very important meaning to seeing that how the educational contents of STS are reflecting in textbook that basic material of curriculum. However, in preexistence research, they analyzing STS contents with variety standards so that they didn't examine the STS contents that included in textbooks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with coherence. So, in this study, I want to infer the trend of STS substance in science textbooks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offer basic material for development of STS subject matter and data that can be applicated in hereafter education activity by analyzing the 55 volume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edited for 7th curriculum with STS contents of biological field in these three standards: Yager's 'Essential composition elements of STS', Piel's 'The subjects that need to be included in STS curriculum', and 'STS education activity field' that presented by SATIS program.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result of the analysis, Science 1, Science, and Biology I textbooks are deal with proper STS contents compared with the standard that recommended in foreign country. On the other hand, the rest textbooks are ascertained that has low numerical value compared to standard and it means they have insufficient of STS contents. There are deviation of reflected STS contents inclusion standard in classified in textbooks and classified by chapter, there was phenomenon that make too much of STS contents in specified chapter. Second, according to result of analysis of 'Essential composition elements of STS curriculum' that included in textbooks, they made too much of essential composition elements of STS in specified chapter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and variety type of composition elements that are included in each chapter, except the Science 3 textbook that shows evenly distributed measure in every chapter. When examined in classified by composition elements that are included in textbooks, most of all made too much of contents that are related in 'application of science' and elements of 'social problems and issues'. And it found out that elements of 'local and community relevance' and 'evaluation concerned for getting and using information' are dealt with insufficient, especially. Third, according to result of analysis of 'The subjects that need to be included in STS curriculum' that are dealt with in textbooks, category field's deviation was terrible focused on the category's frequency and diversity according to contents that classified by chapter. Examine with classified by category field, most of STS contents that are dealt with in every grade made too much of 'Effect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Fourth, according to result of analysis of STS activity field that is dealt with textbooks, there were great differences in activity field according to chapter and there was deviation in textbooks for same grade. From 9 activities, most textbooks make too much of 2 activities: 'structured discussion' and 'examine activity'. Especially in middle school curriculum, it presents 'real activity' comparatively, on the other hand, in high school curriculum, there was great growth in passive activity like 'material analysis'. Fifth, according to result of analysis of STS contents in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S contents are dealt with importantly in high schol compare to middle school by and large. But in each course, as the grade goes up, the STS contents gets decrease in frequency. In case of essential composition elements of STS, it is contained in high school curriculum by and large and 'application of science' and 'social problems and issues' were dealt with importantly. In case of STS category field, both middle school textbooks and high school textbooks made too much of 2 subjects, 'effects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human engineering', and there was no clear trend according to grade classified by subject. However, high school course textbooks dealt with 7 category field and middle school course textbooks didn't deal with any category field or a few, the category field that included in textbooks is not variety and shows deviation. 'Examine activity' and 'structured discussion' were dealt with in case of STS activity field. In middle school curriculum, discussion activity was frequent, while the examine course was frequent in high school curriculum. In addition, 'material analysis' activity was increasing as grade goes up, while 'real activity' was decreasing.;21세기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과학과 기술은 일상생활이 되어버렸다. 과학과 기술이 고도로 발달됨에 따라 생활 속에서 발생 되는 여러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었고, 이에 따라 과학 교육의 방향도 단순한 과학지식의 전수가 아닌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교육, 모든 이를 위한 과학(Science for All)으로 그 흐름이 바뀌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과학과 기술, 그리고 사회의 상호관계를 다루는 STS(과학-기술-사회) 교육이 강조되고 있으며, 따라서 교육과정의 기본 자료인 교과서에 STS 교육적인 내용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 가를 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에서는 연구자에 따라 다른 분석 기준으로 STS적인 내용을 분석하고 있어 중·고등학교의 교과서에 포함된 STS 내용을 일관성 있게 살피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해 편찬된 중·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55권을 대상으로 생물영역에 대한 STS 내용을 Yager(1984, 1989)의 ‘STS 필수 구성 요소’, Piel(1981)의 ‘STS 교육과정에 포함해야 할 주제’, SATIS 프로그램이 제시한 ‘STS 교육 활동 영역’을 기준으로 분석하여 중·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STS 내용의 경향성을 살피고, 향후 교육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STS적인 소재 및 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에 반영된 STS 내용의 분석 결과 과학1과 과학, 생물Ⅰ교과서는 외국에서 권장하고 있는 기준과 비교할 때 적정한 STS 내용을 다루고 있는 반면, 그 외 나머지 교과서에서는 기준에 비해 낮은 수치로 나타나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STS 내용이 부족하였다. 각 학년에서 교과서에 반영된 STS 내용의 포함정도가 교과서별로도 편차가 있었고, 단원별로 볼 때도 특정 단원에 편중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둘째, 교과서에 포함된 ‘STS 교육과정의 필수 구성 요소’의 분석 결과 모든 단원에서 고른 분포를 보인 과학3 교과서를 제외한 나머지 교과서는 특정 단원에 STS 필수구성 요소가 편중되어 있었으며, 단원별로 포함하고 있는 구성요소의 횟수나 종류의 다양성 측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교과서에 포함된 구성요소별로 살펴보면, 대부분 ‘과학의 응용성’이나 ‘사회적 문제’의 요소와 관련된 내용이 많이 제시되어 있었고 ‘지역사회와의 관련성’이나 ‘정보의 선택 및 이용에 대한 평가’ 요소가 특히 부족하게 다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STS 교육과정에 포함해야 할 주제’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 포함되는 주제영역은 단원별로 내용에 따라 주제의 횟수나 다양성 측면에서 편차가 심하였다. 주제영역별로 살펴보면 모든 학년에서 다루고 있는 STS 내용의 대부분이 ‘기술발달의 영향’ 주제였다. 넷째,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STS 활동영역의 분석 결과 단원에 따라 행해지는 활동영역에는 차이가 있었고 동등한 학년에서 교과서별로도 편차가 나타났다. 9가지의 활동 중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구조화된 토론’, ‘조사활동’에 치중하고 있으며, 특히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실제활동’과 같은 활동을 비교적 많이 제시하는 반면,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자료해석’과 같은 수동적인 활동이 많이 제시되었다. 다섯째, 중·고등학교 교과서의 STS 내용을 종적으로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STS 내용은 전반적으로 중학교에 비해 고등학교에서 비중 있게 다루고 있었으나, 각 과정 내에서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오히려 STS 내용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STS의 필수구성요소의 경우 전반적으로 고등학교 과정에서 많이 포함하고 있었으며, ‘과학의 응용성’과 ‘사회적 문제’ 요소가 중점적으로 다루어지고 있었다. STS 주제영역의 경우에는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 모두 ‘기술발달의 영향’ 과 ‘인간공학’ 의 주제에 많이 편중되어 있었으며 각 주제별로 학년에 따른 뚜렷한 경향성은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고등학교 과정의 교과서에서는 7가지 주제 영역을 대부분 다루고 있는 반면, 중학교 과정의 교과서에서는 아예 다루지 않는 영역이 있거나, 소수 영역을 다루고 있어 교과서에 포함된 주제영역이 다양하지 못하고 편차를 보였다. STS 활동영역의 경우에는 주로 ‘조사활동’과 ‘구조화된 토론’ 활동이 다루어지고 있었고 중학교의 경우에는 토론 활동이, 고등학교 과정에서는 조사활동이 더 많았다. 또 ‘자료해석’의 활동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 반면 ‘실제 활동’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