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임소현-
dc.creator임소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2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3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382-
dc.description.abstractRecently our country is entering the society of multi-culture rapidly because of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foreign immigrant workers. This is also proved by the objective number of staying foreigners reaching 1 million and 254 more than 1 million first in history. The demand for other cultures due to the entrance to the society of multi-culture is influencing various fields of our society and education field is not exceptional and the role of education field is becoming very important. Especially with the increase of multi-cultured family due to international marriage and foreign immigrant workers who can be called as minority culture and group, the school education needs to do complete its role to make youths who live and study with them understand and accept other cultures more positively. Self-esteem is sub-concept of self-concept and can be defined as evaluative and emotional attitude toward various qualities recognized by individual. And this becomes an important factor to desirable adjustment to environment and sound development of character for individual. Especially, positive self-esteem allowed people to accept other people better so the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and teachers were shown to be better and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was shown to be easier. Thus to figure out whether self-esteem which was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cceptance of other people and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influences the acceptance of other races and cultures or not can help youths to understand and accept the rapidly increasing multi-cultured family and foreign immigrant workers. Therefore this research is focused on exploring the influence of self-esteem of youths on the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other races and cultures required to live in multi-cultured society centered on Southeast asians like Thailand, Vietnam and Philippines, and foreign immigrant workers who comprise 56% of long-term staying worker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set according to the goal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How great is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each field of self-esteem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sex, grade, family type and monthly income? 2. How great is the difference of the demand level for international exchange between the group of high ranked 25% youths and the low ranked 255 youths in self-esteem? 3. Does each field of self-esteem of youths influence the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other races and cultures? 3-1. Does each field of self-esteem of youths influence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Southeast asians? 3-2. Does each field of self-esteem of youths influence the acceptance of Southeast asians? 3-3. Does each field of self-esteem of youths influence the acceptance of foreign immigrant workers? 4. Are the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other races and cultures different according to the sex, grade and monthly income related to youths? The population for data collection was 474 students of first and second grade of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Kyunggi provinces. To measure self-esteem, the scale modified and complemented for Korean youths by Hee-Hwa, Kim(1998) was used and to measure the acceptance level of foreign immigrant workers and Southeast asians, some of the questions developed by Sung-Tael, Lim(2002) was chosen and used. The analysis of data was carried out using SPSS WIN 12.00 program and technical statistical valu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research questions. t-test was carried out to find the difference of the demand level for international exchange according to self-esteem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of each field of self-esteem of youths and χ² test was carried to verify significance level. Also ANOVA was carried out to figure out whether there is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Southeast asians, the acceptance of Southeast asians and the acceptance of foreign immigrant workers according to each field of self-esteem. The reached conclusions based on the analyzed result from data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girl students were shown to be higher than boy students in academic ability, general self-esteem, self-esteem of physical appearance, self-esteem of physical ability but boy students were shown to be higher in the rest 4 fields, namely, teacher-related delf-esteem, friend-related self-esteem, family-related self-esteem and character-related self-esteem. This was congruent with the previous research where boy students were shown to be higher than girl students in sub self-esteem related to other people because boy students took the relationship with other people less sensitively than girl students. In the difference of self-esteem according to grade, first grade students were shown to be higher than second grade students in all fields except for teacher-related self-esteem. This was congruent with the previous research where negative self-esteem was assumed to influence high school students more than middle school students because of the pressure of college entrance exam. In the difference of self-esteem according to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was shown to be different just in academic ability and general self-esteem but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ifference related to academic ability, general self-esteem, friend-related self-esteem and self-related self-esteem. In the difference of self-esteem according to family monthly income, significant result was shown only in academic ability and general self-esteem. Second, The demand level for international exchange according to self-esteem of youths was shown not to be different. This was thought to be because the level of longing and interest related to other countries and rac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and knowledge already possessed by students. Third, the recognition and attitude(attractiveness factor, superiority factor, rationality factor, gentleness factor) toward Southeast asians according to the self-esteem of youths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ach field but in total self-esteem,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attractiveness factor and rationality factor. This was thought to be because the youths of pur country had a lot of curiosity to know closely located Southeast cultures but usually recognized the cultures as inferior sub-cultures to ours. Fourth, the difference of acceptance level of foreign immigrant workers according to self-esteem of youths was shown to be significant. Especially, the acceptance level of foreign immigrant workers according to academic ability, general self-esteem, friend-related delf-esteem and teacher-related self-esteem was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foreign immigrant workers rather than in Southeast asians was thought to be because the youths of our country has more interest and specific knowledge related to the necessity and human right of foreign immigrant workers than Southeast asians who were considered to be inferior vaguely. Fifth, in the acceptance level of Southeast asians according to the sex of youths, girl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han boy students. In the acceptance level of foreign immigrant workers, the answering tendency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questions and girl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han boy students in the necessity and mind to accept related to foreign immigrant workers and boy students usually had less wariness and the sense of discriminative treatment toward foreign immigrant workers compared to girl students. In the difference in acceptance of other races and cultures according to grade, first grade was shown to be more positive and acceptable than second grade students. This was thought to be because the correlation in that self-esteem of first grade students was also shown to be higher than second grade students existed.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offer basic material to set new goal of the education of social studies as a subject of high school of our country which is rapidly entering multi-cultured society due to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foreign immigrant workers by analyzing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self-esteem of youths on the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other races and cultures based on evidence. The author of this research expect that the follow-up researches will be continually carried out based on this research to explore the role of school education to raise youths of our country as true world citizens who can understand and accept other races and cultures much better.;최근 우리나라는 국제결혼과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급증으로 다문화 사회로 급속히 진입하고 있다. 이는 2007년 7월을 기준으로 체류외국인이 사상 처음 100만명을 돌파한 100만 254명이라는 객관적인 숫자로도 증명된다.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으로 인한 타문화에 대한 이해 요구는 우리 사회의 여러 영역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교육 분야도 예외가 될 수 없으며, 매우 중요한 교육의 역할이 되고 있다. 특히 우리 사회의 소수 문화 또는 집단이라고 할 수 있는 국제결혼으로 인한 다문화 가정과 외국인 이주노동자가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이들과 함께 생활하고 공부해야하는 청소년들에게 타문화에 대하여 보다 더 긍정적으로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도록 학교 교육이 그 역할을 다하여야 한다. 자아존중감은 자아개념의 하위 개념으로서, 개인이 지각한 자신의 여러 가지 속성에 대한 평가적·감정적 태도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개인의 바람직한 환경적응 및 건전한 성격발달과 긍정적인 자기실현에 중요한 요소가 된다. 특히 긍정적인 자아존중감은 자신과 타인을 잘 수용하기 때문에 교우나 선생님과의 관계가 좋고, 나아가 학교생활에도 적응이 쉬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타인수용이나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자아존중감이 타민족·문화에 대한 수용에도 영향을 미치는 지를 밝혀내는 것은 급증하는 다문화 가정과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대한 이해와 수용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류외국인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태국, 베트남,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인과 장기체류외국인 중 56%를 차지하는 외국인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다문화 사회를 살아가는데 갖추어야할 타민족·문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서울시, 인천시 및 경기도에 소재한 인문계 고등학교 1-2학년 4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아존중감은 김희화(1998)가 한국 청소년용으로 수정·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동남아시아 및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대한 수용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임성택 외(2002)가 개발한 일부 문항을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연구 문제에 따라 기술적 통계치를 산출하였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각 영역의 배경변인에 따른 차이와 자아존중감에 따른 국제교류 요구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t검증을 실시하였고, χ² 검증을 시행하여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 각 영역에 따라 동남아시아인에 대한 인식과 태도, 동남아시아인에 대한 수용도,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대한 수용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정리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업 및 전반적 자아존중감, 신체외모 자아존중감 및 신체능력 자아존중감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나머지 4개 영역, 즉, 교사관련 자아존중감, 친구관련 자아존중감, 가정관련 자아존중감 및 성격관련 자아존중감은 남학생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가정과 학교에서 권위자인 부모나 교사의 수용이나 격려에 여학생보다 덜 민감하고 덜 의존적인 남학생의 특성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로 해석한 선행연구와 일치한다. 학년에 따른 자아존중감의 차이는 교사관련 자아존중감을 제외하고 모든 영역에서 1학년이 2학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대학입시에 대한 압박감으로 부정적 자아존중감이 작용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는 선행연구와 일치한다. 부모의 학력에 따른 자아존중감 차이는 아버지 학력은 학업 및 전반적 자아존중감에만 차이를 보였으나, 어머니 학력은 학업 및 전반적 자아존중감, 친구관련 자아존중감 및 자아관련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긍정적 자아존중감 형성에는 아버지보다 어머니의 역할이 더 큰 것으로 해석된다. 가정의 월 소득에 따른 자아존중감 차이는 학업 및 전반적 자아존중감에서만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국제교류 요구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이미 가지고 있는 인식이나 지식의 정도에 따라 다른 나라나 민족에 대한 동경과 관심의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동남아시아인에 대한 인식 및 태도(매력성 요인, 우수성 요인, 합리성 요인, 유순성 요인) 차이는 각 영역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총체적 자아존중감에 따라서는 매력성 요인과 합리성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가까이에 접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문화에 대해 알고자 하는 호기심은 많이 가지고 있으나, 우리보다는 열등한 하위문화에 속하고 있다고 일반적으로 인지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어 진다. 넷째,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대한 수용 수준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업 및 전반적 자아존중감, 친구관련 자아존중감, 교사관련 자아존중감에 따른 외국인 이주노동자 수용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동남아시아인보다 외국인 이주노동자의 이해와 수용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것은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막연히 열등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동남아시인보다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대한 필요성이나 인권 문제 등에 더 많은 관심과 구체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동남아시아인의 수용 수준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이었으나,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대한 수용 수준은 문항에 따라 답변 경향은 상의 하였으나 외국인 이주노동자들의 필요성, 수용할 마음의 준비에 대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이었고, 남학생은 대체로 여학생보다 외국인 이주노동자에 대해 경계심이나 차별대우 의식을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학년에 따른 타민족·문화에 대한 수용 차이는 1학년 학생이 2학년 학생보다 더 긍정적이고 수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도 1학년 학생이 2학년학생보다 높게 나타난 것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청소년 개인의 자아존중감이 타민족·문화의 이해와 수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국제결혼이나 외국인 이주노동자 증가로 인해 다문화 사회로 급속도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고등학교 사회과교육의 목표를 새롭게 설정하는데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기초로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타민족·문화를 좀 더 잘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진정한 세계시민으로 육성될 수 있도록 학교교육의 역할이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 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분석 = 6 A. 자아존중감의 정의 및 영역 = 6 B. 자아존중감과 타인수용과의 관계 = 8 C. 타민족·문화에 대한 이해와 수용 = 12 Ⅲ. 연구방법 = 15 A. 연구대상 = 15 B. 측정 도구 = 17 C. 통계 처리 = 20 Ⅳ. 결과 및 논의 = 21 A. 자아존중감, 타민족ㆍ문화에 대한 이해 및 수용수준의 특징 = 21 B. 배경변인에 따른 자아존중감 = 24 C.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국제교류 요구도 = 35 D.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타민족ㆍ문화에 대한 인식 및 수용수준 = 36 E. 청소년의 배경변인에 따른 타민족ㆍ문화에 대한 수용수준 = 45 Ⅴ. 결론 및 제언 = 50 참고문헌 = 53 부록 = 56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64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자아존중감이 타민족·문화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동남아시아인 및 외국인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Acceptance of Other Races and Cultures : Focused on Southeast Asians and Foreign Immigrant Workers-
dc.creator.othernameIm, Sohyun-
dc.format.pageviii,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