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양숙희-
dc.creator양숙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0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78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7853-
dc.description.abstractKorea has been carrying out NGIS(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since 1995, and for this reason numerous GIS based systems are being developed. However, due to the lack of GIS specialists, there is insufficient work force to maintain and manage the various GIS based syst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GIS curriculum for cultivating GIS technicians in vocational high school. Previous studies of GIS education in high school have not only failed to consider the demand of the GIS industry, but also to take high school lesson hours into account.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selected stud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 as the subject of GIS education, and set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to train these students into GIS technicians that meet the standards required in the GIS industry. In this study, GIS education in USA, UK and Korea were compared for analysis. As a result, GIS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of Korea had many factors that hinder the cultivation of professional GIS work force. In order to find out the demand of the work force in the GIS industry, GIS corporations were surveyed for analysis. The result states that GIS data generation and collection, GIS data input and correction, user manual composition, system monitoring, GIS system operation, and user education were the main duties required for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 GIS technicians. The skills required to perform these duties were inquired by interviewing a GIS technician with over 5 years of experi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the development of GIS curriculum that is not only feasible in formal school, but also suitable for the requirements of GIS corporations.;우리나라는 1995년부터 국가 GIS 사업(NGIS)을 시행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GIS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템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하지만 GIS 전문 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각종 GIS 기반 시스템을 유지?관리할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GIS 초급 인력 양성을 위해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GIS 교육내용을 개발하는 데 있다. 기존의 GIS 인력 양성에 관한 연구들은 인력 양성의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으나, 일선현장의 수요조사가 면밀히 이루어지지 않아, GIS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인력을 양성해 내기에는 부족한 점이 존재했다. 또한 중등교육기관에서의 GIS 교육을 주장한 연구가 있어왔으나, 그러한 연구 역시 GIS 산업 현장의 수요를 고려하지 않았으며, 고등학교의 수업시수를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이 존재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대상을 전문계 고등학교로 정하고, 교육의 주된 목표는 일선현장에서 요구하는 업무 능력을 갖춘 GIS 초급 인력을 양성하는 것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국 NCGIA의 GIS 교육내용과 영국 Ordnance survey의 GIS 교육내용을 살펴보았다. 또, 우리나라 정규 교육기관의 GIS 관련학과에서 행해지고 있는 GIS 교육을 살펴보기 위해 인하공업전문대학의 GIS 교육과정과 현재 GIS와 관련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전문계 고등학교 지적(地籍)과의 ‘지적전산’ 과목의 교육내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전문대학의 교육과정은 실무 중심적이고 폭넓은 GIS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장점이 있었으나 너무 심도 있고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어, 전문계 고등학교의 교육내용으로 도입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그리고 전문계 고등학교의 ‘지적전산’ 과목의 교육내용은 지적(地籍) 분야의 내용과 GIS 분야의 내용이 혼재되어 있었으며, GIS 관련 내용이 작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지적(地籍), 측량, 캐드(CAD), 지적(地籍)과 관련한 행정 업무 등을 다루고 있어 GIS와 다양한 분야를 접목시키기에 유리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처럼 현행 전문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이 GIS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에 미흡하다는 점을 보완할 교육내용을 선정하기 위하여 GIS 전문 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현재 GIS 업체와 GIS 기술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점과 그들의 업무, 전문계 출신 기술자에게 요구되는 업무 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현재 GIS 기술자들은 단순 업무가 너무 많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과도한 업무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GIS 업체에서는 직원의 GIS 교육에 대한 부담과 고학력 직원의 임금과 승진에 대한 부담을 안고 있었으며, 숙련된 직원의 이직문제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이들이 전문계 출신의 GIS 전문 인력에게 요구하고 있는 직무는 주로 GIS 자료수집과 생성, GIS 데이터 입력 및 수정과 가공, 사용자 매뉴얼 작성, 시스템모니터링, GIS 시스템 운영, 사용자 교육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갖추어야 하는 능력에 대해서는 GIS 업계에서 기술직으로 5년 이상 근무한 전문가와의 면담을 통해 조사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현장의 수요에 부응하는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GIS 교육내용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CAD 실습', '프로그램 개발', '수치지도 실습', ‘컴퓨터 기초 실습’ 등과 같은 독립적인 과목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문계 고등학교의 지적(地籍)과 출신자들의 GIS 관련 업체로의 진출을 위해서는 전 학년에 걸친 대대적인 과목의 재구성이 필요하며, GIS 업체와의 긴밀한 협동 체제를 구축하여 산학협동과정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GIS 업체의 수요에 맞추어 정규 교육기관인 전문계 고등학교의 GIS 관련학과에서 GIS를 교육할 때 사용이 가능한 교육내용을 개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지적(地籍)은 GIS의 한 부분이기 때문에 GIS 학과 안에 지적(地籍) 과목이 포함되어야 하는 것이며, 지적(地籍)과 안에서 GIS를 교육한다는 것은 모순점으로 작용하므로 GIS 관련학과 출신자의 진출 분야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교과목에 대한 개편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 방법 = 4 C. GIS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선행연구 = 7 Ⅱ. 국내외 GIS 교육과정 = 10 A. 미국 NCGIA의 GIS 교육내용 = 10 B. 영국 Ordnance survey의 GIS 교육 = 12 C. 인하공업전문대학의 GIS 교육과정 = 14 D. 우리나라 전문계 고등학교의 GIS 교육과정 = 16 E. GIS 교육내용 비교 = 20 Ⅲ. GIS 업체의 업무분석과 현장수요 = 23 A. GIS 업체 현황 및 인력분석 = 23 B. 업무분석 및 현장수요조사 = 32 Ⅳ.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GIS 교육내용 개발 = 42 A. 전문계 고등학교의 GIS 교육내용 선정 = 42 B. 전문계 고등학교 GIS과의 전문교과 = 49 Ⅴ. 결론 = 55 참고문헌 = 58 부록 = 60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1279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GIS 현장 요구분석을 기반으로 한 전문계 고등학교에서의 GIS 교육내용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GIS Curriculum Development for Vocational High School Based on GIS Industry Requirement Analysis-
dc.creator.othernameYang, Sook Hee-
dc.format.pageix, 6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지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