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언숙-
dc.creator이언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0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3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70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36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국내 남성과 결혼한 여성 결혼 이민자들이 한국어 수업을 통해서 배우고자 하는 문화 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여성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선행 연구를 통해 여성 결혼 이민자의 문화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면서 주당 2시간 내외의 한국어 교육을 받고 있는 여성 결혼 이민자와 그의 남편, 그리고 6개월 이상 여성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을 진행하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면접법과 설문지법을 통해 한국어 수업 내에서 원하는 문화 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현재 여성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발간된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초급과 중급, <관심?사랑?화합으로, 하나가 된 우리>의 초급과 중급 교재 속에 담긴 문화 요소를 빈도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요구와 비교, 여성 결혼 이민자의 한국어 교육 내 문화 교육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요구 분석 결과, 먼저 여성 결혼 이민자는 한국인으로 구성된 가정 내에서는 한국의 문화를 동화의 입장에서 수용하고 있었고, 개인의 사회적 성장 내에서는 통합의 입장을 보여 주어 동화와 통합이 혼재되는 양상을 보여 주었다. 한국어 수업을 통해 배우고자 하는 문화 요소로는 한국어의 특징과 식생활 문화, 생활 예절, 법과 제도, 관용 표현이 나와 여성 결혼 이민자들이 언어문화와 생활 문화에서 정보문화나 정신문화에 비해 높은 필요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남편의 설문 결과와 거의 동일하나 문화 요소 중 법과 제도에서는 여성 결혼 이민자가 남편에 비해 높은 필요도를 보여 주었다. 한국어 수업과 별도로 문화 수업이 개설될 경우, 문화 수업 시간에 배우고 싶은 문화 요소는 한국어 수업 시간에 배우고 싶어 하는 문화 요소와 거의 일치하는 결과가 나왔으며 이는 문화 수업이 한국어 수업과 함께 이루어질 경우, 여성 결혼 이민자의 문화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짐으로 해석될 수 있다. 남편의 경우, 배우자 국가의 문화 수업에 대한 참여 여부에 대한 질문에 대해 예상보다 높은 결과가 나와 배우자 국가의 문화 수업 개설이 가능함을 알 수 있고, 원하는 문화 요소로는 생활 예절, 부인의 모국어의 특징과 한국어와의 차이, 식생활 문화, 교육 등의 순으로 나왔다. 이를 바탕으로 여성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교재 분석을 통해 여성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육 내 문화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았다. <여성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초급과 중급은 그나마 나은 반영 비율을 보여 주었으나 <관심?사랑?화합으로, 하나가 된 우리> 초급과 중급의 경우, 그 빈도나 비율이 매우 낮아 많은 아쉬움을 주었다. 문화 요소로는 주로 생활 문화가 담겨 있어서 어느 정도는 여성 결혼 이민자의 문화 교육에 대한 요구가 반영되어 있다고 볼 수는 있으나 언어문화에 대한 부분이 약하고, 법과 제도의 문화 요소 중 법에 대한 부분도 비중이 약하다고 볼 수 있다. 이 두 내용은 여성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교재가 정규 한국어 기관에서 말하는 초급 단계에서 사용하는 교재이기 때문에 학습자의 언어 능력을 고려한 결과로 보여진다. 그러나 여성 결혼 이민자는 초급 상태에서도 앞서 언급한 문화 내용을 공부하기 원하므로 교사는 수업을 통해서 알려 줄 필요가 있다. 이에 여성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 교육은 한국어 교육과 연계되어 별도의 문화 수업을 통해 전개해 나갈 필요가 있으며 문화 수업에서는 여성 결혼 이민자의 한국어 능력보다는 문화적 내용을 전달한다는 측면에서 수업이 진행되어야 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how the direction for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ed migrant women by analyzing the needs for culture education that migrant women who married with Korean men want to learn from Korean language class. The basic direction of the study wa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preceding studies, and the subjects were married migrant women, who liv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attend Korean class for approximately two hours a week, and their spouses. Also, other subjects were Korean teachers who have taught married migrant women for more than six months. Interview and questionnaire were used to comprehend which cultural factors they want to learn or teach in Korean language class. In addition, <Korean for Married Migrant Women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s> and <We as One Combined by Careness and Love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s> were analyzed to comprehend the actual state of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ed migrant women by comparing the cultural factors appeared in those books to learner's needs using frequency analysis. The need analysis found that married migrant women tend to be assimilated to Korean culture in the family consisted of Koreans while they tend to integrate themselves with Korean culture in terms of personal social growth. This fact indicates that assimilation and integration co-existed in their attitude for culture acceptance. The cultural factors that they want to learn from Korean language class are revealed features of Korean language, dietary habits of Korean, proprieties, laws and social systems, proverbs and usages, which means that their needs for language and everyday life culture are more than that for moral(spiritual) and informational culture. The results appeared almost the same as their spouses', but married migrant women need to learn laws and social systems among the cultural factors more than their spouses. If Korean culture class is offered apart from Korean language class, the cultural factors that they want to learn from Korean culture class were in accord with what they want to learn from Korean language class. Therefore, their satisfaction for Korean culture class will become higher if Korean culture class is done side by side with Korean language class. In the case of spouses', the results on whether they participate in culture class related to their spouses's country were much higher than expectation, which indicates offering the culture class for married migrant women's country is revealed possible. Also, they wanted to learn proprieties the most, among cultural factors, and then features of their wife's mother tongue and its differences from Korean, dietary habits and education in that order. On the basis of above results, current actual states of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arried migrant women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extbooks for them. In result, <Korean for Married Migrant Women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s> reflects only small cultural contents, and <We as One Combined by Careness and Love for Beginners and Intermediates> rarely reflects them. As everyday-life culture, among cultural factors, was mainly included in those books, it can be said that the needs for culture educa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were reflected in some sense, but those books allocated just small proportion for language culture and, among cultural factors, even laws of laws and social systems were rarely reflected. Accordingly, it is concluded that both books are written with consideration of learner's language competence since both books can be used for beginner level in formal Korean education organization. Still, Korean teachers need to instruct cultural factors mentioned above as married migrant women want to learn them even when in state of beginner's level. In conclusion, culture education for married migrant women need to be performed through additional culture class in cooperaton with Korean language class, and the class should be preceded in the aspect in order to convey cultural contents rather than being concentrated on lerner's language compet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선행 연구 = 3 1.3. 연구 과제 = 6 2. 이론적 배경 = 7 2.1. 여성 결혼 이민자의 문화 적응 = 7 2.1.1. 여성 결혼 이민자 현황 = 7 2.1.2. 여성 결혼 이민자의 문화 적응 = 9 2.2. 문화 교육 = 13 2.2.1. 문화의 의미 = 13 2.2.2. 문화 교육의 필요성 = 15 2.2.3. 문화 교육의 목표 = 17 2.2.4. 여성 결혼 이민자의 문화 교육 = 19 3. 요구 분석 = 23 3.1. 1차 조사 = 24 3.1.1. 여성 결혼 이민자 면접 = 24 3.1.2. 교사 면접 = 28 3.1.3. 여성 결혼 이민자와 교사 면접 결과 = 29 3.1.3.1. 문화 적응의 의미 = 29 3.1.3.2. 문화 적응의 어려움 = 33 3.1.3.3. 문화 내용 = 36 3.1.4. 남편 면접 = 37 3.1.4.1. 남편 면접 결과 = 38 3.2. 2차 조사 = 41 3.2.1. 연구 대상과 조사 방법 = 41 3.2.2. 분석 방법 = 45 3.2.3.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45 3.2.3.1. 여성 결혼 이민자 = 45 3.2.3.2. 남편 = 48 3.2.4. 문화 요소에 대한 필요도 분석 = 49 3.2.5. 한국어 수업 시간에 배우고자 하는 문화 요소 분석 = 56 3.2.6. 여성 결혼 이민자 별도의 문화 수업에 대한 요구 분석 = 58 3.2.7. 남편의 배우자 국가에 대한 문화 수업에 대한 요구 분석 = 59 3.2.8. 설문 분석 결과 = 61 4. 교재 속 문화 요소 분석 = 65 4.1. 분석 대상 교재 = 65 4.2. 분석 방법 = 66 4.3. 분석 결과 = 66 4.4. 비교 결과 = 72 5. 결론 및 제언 = 74 5.1. 연구 결과의 요약 = 74 5.2. 여성 결혼 이민자의 한국어 교육 내 문화 교육 제안 = 75 5.3.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 제안 = 77 참고문헌 = 80 <부록 1> 여성 결혼 이민자용 설문지 = 84 <부록 2> 남편용 설문지 = 88 ABSTRACT = 9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0741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여성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문화 교육 요구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ulture Education Need Analysis for Married Migrant Women-
dc.creator.othernameLee, Eonsuk-
dc.format.pageix,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