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채호숙-
dc.creator채호숙-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9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09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9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09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아탄력성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하위요인들이 학교생활적응을 예측하는 정도와 학업적 실패내성이 자아탄력성의 학교생활적응을 중재하는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인천의 4개 초등학교 6학년 아동 459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측정도구는 Block과 Kremen(1996)이 개발하고 유성경(2002)이 번역·수정한 「자아탄력성 척도」, 김아영(1997)이 개발한 「학업적 실패내성척도」, 김아영(2002)이 개발한 「학교생활적응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네 가지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의 수준을 알아본 결과, 학업적 실패내성의 과제수준선호를 제외하고는 대체로 척도의 중간값 보다 높게 나타나 조사대상자들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아탄력성을 제외하고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학업적 실패내성의 감정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지만, 행동, 학교생활적응 전체, 교사관계, 학교규칙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실패경험 후에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반면, 여학생들은 남학생에 비해 실패 후에 부정적인 정서 반응은 더 많이 보이더라도 동시에 실패를 만회하기 위한 건설적인 행동을 더 많이 보인다는 것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전반적으로 학교생활적응을 잘하며 특히 교사관계와 학교규칙 면에서 더 잘 적응한다는 것을 나타내 주는 결과이다. 둘째, 부모의 학력, 주관적 경제수준,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부모의 학력, 경제수준은 학생들의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과는 상관이 낮게 나타난 반면,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 간에는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는 자아탄력적인 아동들이 학업적 실패내성이 높으며, 학교생활적응도 잘하는 것을 나타내주는 결과이다. 셋째,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하위요인들이 학교생활적응을 어느 정도 예측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의 행동, 학업적 실패내성의 과제수준선호 순서로 학교생활적응을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학업적 실패내성이 중재하는지 확인한 결과, 학업적 실패내성이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중재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아동의 효과적인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어 고려해야 할 것은, 학업적 실패내성 및 학교생활적응 하위요인들에 대한 성별차이를 바탕으로 남학생과 여학생 각자에 대한 접근 방법이 달라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남녀 학생별 학업적 실패내성 및 자아탄력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모색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in Ego-Resilience,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lso to verify how the subordinating factors of the Ego-Resilience and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can help to accurately predict the School Adjustment. This study also validates how much Academic Failure Tolerance relieves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Ego-Resilience. For the study, 459 elementary school children, who are the 6th-grade from 4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Incheon, were selected. "The measurement of Ego-Resilience"by Block & Kremen (1996)-translated and edited by Yoo Sung kyung(1997)- and "The measurement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by Kim A young(1997) and "The measurement of School Adjustment" by Kim A young(2002) were applied for the study. The study resulted in four categories as like the followings: The first, the study about the level of Ego-Resilience,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chool Adjustment of the students shows a higher value than the intermediate one, except for the Assignment Preference Level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That indicates a positive response of the students being investigated. According to sex distinction, there are some contrasts except for Ego-Resilience. The boys have higher feeling than girls in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but the girls have more in the overall School Adjustment,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the school regulations. The results show that boys respond positively after getting failure, meanwhile girls act in constructive manner to overcome it although they show more negative feelings at the failure, and adapt themselves well in school life. Especially girls are better than boys in relationship with their teachers and school regulations. The second, about the relationship among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their parents, the standard of living, Ego-Resilience,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chool Adjustment, the study indicates that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standard of living have a low correlation with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chool Adjustment, but it shows a high correlation with Ego-Resilience,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chool Adjustment. It can be said boys of Ego-Resilience have a high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adapt themselves well in school life. The third, after reviewing of how well the Ego-Resilience and the subordinating factors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predict the School Adjustment, the order of list is Ego-Resilience, the acts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the Assignment Preference Level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The fourth, the study how well Academic Failure Tolerance relieves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shows 48 that Academic Fa lure Tolerance relieves partly Ego-Resilience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the results, what we consider in developing efficient ways for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is to make different solutions specialized for boys nd girls under the study result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the subordinating factors of School Adjustment. And also it is required to find a program which could enhance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Ego-Resilience according to sex distinction of boys and girl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II. 이론적 배경 = 4 A. 자아탄력성 = 4 1. 자아탄력성의 개념 = 4 2. 자아탄력성적인 아동들의 특성 = 7 3. 관련 변인 = 7 B. 학업적 실패내성 = 10 1. 학업적 실패내성의 개념 = 10 2. 학업적 실패내성의 구성요인 = 11 3. 관련 변인 = 12 C. 학교생활적응 = 14 1. 학교생활적응의 개념 = 14 2. 학교생활적응의 구성요인 = 16 3. 관련 변인 = 17 III. 연구 방법 = 19 A. 연구대상 = 19 B. 연구절차 = 20 C. 측정도구 = 20 1. 자아탄력성 척도(Ego-Resilience: ER) = 20 2. 학업적 실패내성 척도(Academic Failure Tolerance: AFT) = 21 3. 학교생활적응 척도(School Adjustment: SA) = 22 D. 분석방법 = 23 IV. 연구 결과 및 해석 = 24 A.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의 수준 및 성별 차이 = 24 B. 부모의 학력,주관적 경제수준,자아탄력성,학업적 실패내성,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 26 C.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하위요인들의 학교생활적응 예측 정도 = 28 D.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적응 간 학업적 실패내성의 중재 효과 = 29 V. 결론 및 논의 = 32 A. 요약 및 결론 = 32 B.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 36 참고문헌 = 38 부록 = 42 ABSTRACT = 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028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학업적 실패내성,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School Adjustm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Chae, Ho Sook-
dc.format.pageix, 4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