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6 Download: 0

실내 모래놀이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Title
실내 모래놀이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 of Indoor Sand Play on the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of Preschoolers
Authors
도영숙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실내 모래놀이가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실내 모래놀이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실내 모래놀이 경험 유무에 따라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에는 차이가 있는가? 2. 실내 모래놀이 경험 유무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 력에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S 유치원의 만 4, 5세 혼합연령 2개 학급 유아 51명으로 실험집단 유아 26명은 실내에 모래놀이 영역을 설치하고 자유롭게 경험하였으며 통제집단 유아 25명은 실내 모래놀이를 경험하지 않았다. 자아 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Harter & Pike(1984)에 의해 개발된 유아용 자아지각 척도인 ‘5-6세용 자아존중감 척도’를 김영숙(1997)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했으며 사회적 능력 검사는 McGinnis와 Goldstein(1990)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제작한 기술상황측정 ‘Skill Situations Measure' 를 이원영, 박찬옥, 노영희(1993)가 수정 번안한 ‘친사회적 행동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2007년 8월 29일-10월 17일(약 7주간) 실험처치를 하였으며 집단 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평균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실내 모래놀이 경험 유무에 따라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 모래놀이를 경험한 유아들의 자아존중감이 더 향상되었다. 둘째, 실내 모래놀이 경험 유무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 모래놀이를 경험한 유아들의 사회적 능력이 더 향상되었다. 셋째, 실내 모래놀이 경험 유무와 성별에 따라 유아의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 모래놀이 경험 유무와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실내 모래놀이 경험 유무와 성별에 따라 유아의 사회적 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내 모래놀이 경험 유무와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의도나 개입이 없는 자연스러운 놀이상황에서 자유롭게 모래놀이를 경험하게 한 실내 모래놀이는 성별과 관계없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door sand play on the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of preschoolers in a bid to bolster indoor sand play.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Does the experience of doing indoor sand play make any differences to the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of preschoolers? 2. Does the experience of doing indoor sand play and the gender of preschooler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1 young children in two different multiage classes for Western ages 4 and 5 in S kindergarten in the city of Suweon, Gyeonggi province. An experimental group that included 26 preschoolers was engaged in sand play without any restraints after the sands were prepared indoors. A control group that consisted of 25 young children didn't play on the indoor sands.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ir self-esteem was Kim Yeoung-suk (1997)'s revised version of Harter & Pike(1984)'s Self-Esteem Inventory for Preschoolers of Five and Four. As for evaluation of social skills, Lee Weon-yeoung, Park Chan-ok and Nho Yeoung-hee(1993)'s Prosocial Behavior Inventory was employed, which modified and adapted McGinnis and Goldstein(1990)'s Skill Situations Measure geared toward assessing the social behavior of preschooler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approximately seven weeks, from August 29 through October 17, 2007.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and ANCOVA was utilized to look for gaps among their collective averag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chool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elf-esteem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laying on the indoor sands. The young children who played on the indoor sands showed an improvement in self-esteem. Second, the preschoolers differed significantly with the experience of playing on the indoor sands. Those who had that experience made better progress in social skills. Third, the experience of playing on the indoor sands and gender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self-esteem. It indicated that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at experience and gender. Fourth, the experience of playing on the indoor sands and gender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social skills, which implied that the interaction of that experience and gender wasn't effective at their social skills. In conclusion, the indoor sand play that the preschoolers enjoyed in natural situations without any intervention by teacher had an effect on boosting the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of the preschoolers, irrespective of gend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