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소현-
dc.creator박소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7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0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9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06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낙인,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사회적 낙인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시에 소재한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과 정신보건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회적 낙인을 측정하기 위해 Link(1989)가 개발한 Perceived stigma를 서미경(1994)이 번안한 것을 수정하여 사용하였고,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해 Gregory 등(1988)이 개발한 MSPSS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심리적 안녕감은 Ryff(1989)에 의해 개발된 PWBS(Psychological Well-Being Scale)를 Ryff 등(Ryff, Lee, & Na, 1993)이 보완하고, 이를 국내에서 김명소 등(2001)이 요인분석하여 46문항으로 선별한 척도를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총 217부의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정신장애 관련 개인 특성에 따른 사회적 낙인과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나,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낙인과 사회적 지지 하위요인, 심리적 안녕감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낙인은 가족의 지지, 친구의 지지, 중요한 타인의 지지, 심리적 안녕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심리적 안녕감은 가족의 지지, 친구의 지지, 중요한 타인의 지지와 유의한 정적관계를 보였다. 셋째, 정신장애인의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사회적 낙인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 중 친구의 지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낙인은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친구의 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이 두 변인들은 심리적 안녕감을 61.5% 설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가 갖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지각된 사회적 낙인이 낮을수록,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심리적 안녕감이 높다는 연구결과는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의 증진과 사회 적응 및 통합을 위한 정신보건 서비스 제공에 있어 지지적인 환경의 중요성을 재확인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실천적 함의를 갖는다. 사회적 지지가 정신장애인의 심리적 안녕감과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고, 특히 친구의 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므로 정신장애인에게 친구를 사귈 수 있는 지지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이로 인해 심리적 안녕감이 증진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irstly,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correlation social stigma,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erceived by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and secondly,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ocial stigma and social support on their psychological well-being. Perceived social stigma was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by Link(1989). MSPSS(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Gregory, 1988) and PWBS(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Ryff, 1993) were used to measure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respectively. SPSS WIN 12.0 was used, and the study made use of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and mental disorder-related variables of the subjects with mental disorde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perceived social stigma,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perceived social stigma and social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Finally, social stigma and friends' support were found to b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They explained the 61.5%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 are as follows.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erceived by the subjects with mental disorde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And friends' support had a relatively strong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Based on these results, perceived social support, which has a relatively high influence on the degree of psychological well-being, is useful to provide mental health services for the higher quality of life and social integration of those with mental disorders. A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upport system for those mental disorders and to provide mental health services for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문제 = 4 II. 이론적 배경 = 5 A. 정신장애인과 지역사회 정신보건 서비스 = 5 1. 정신장애와 정신장애인 = 5 2. 지역사회 정신건강과 지역사회 정신보건 서비스 = 7 B. 사회적 낙인 = 8 C. 사회적 지지 = 10 D. 심리적 안녕감 = 12 III. 연구방법 = 15 A. 연구대상 = 15 B. 연구절차 = 15 C. 측정도구 = 16 1. 사회적 낙인 척도 = 16 2. 사회적 지지 착도 = 16 3. 심리적 안녕감 척도 = 17 D. 자료분석 = 18 IV. 연구결과 = 20 A. 연구대상자의 특성 = 20 1.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20 2. 연구대상자의 정신장애 관련 개인 특성 = 22 B. 연구대상자가 지각하는 사회적 낙인,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 = 23 C.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정신장애 관련 개인 특성에 따른 사회적 낙인,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 23 D. 사회적 낙인, 사회적 지지, 심리적 안녕감 간의 상관관계 = 24 E. 사회적 낙인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25 V. 결론 및 논의 = 32 참고문헌 = 36 부록 = 41 ABSTRACT = 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494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정신장애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낙인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perceived social stigma and social support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people with mental disorders-
dc.creator.othernamePark, So Hyun-
dc.format.pageviii, 4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