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3 Download: 0

일제 강점기에 대한 한·일 역사교과서 서술내용 비교 연구

Title
일제 강점기에 대한 한·일 역사교과서 서술내용 비교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Japanese Middle School's History Textbooks With a Focus on Japan's colonial rules
Authors
윤혜정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Northeast Asia Globalization is a new discourse at this point in world history which is an important perspective of history education. Strengthening history education is not only observed by our country. Japan and China are also strengthening history education as well in some Northeast Asia countries by modifying their nationalism textbooks appearing to be distorted by history. But we need to do something to correct history education; we have to be concerned about it. We have to fully understand the history of Northeast Asia and its accurate context. This requires mutual understanding which is very significant. In other words, to find and recognize each o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ical sites and shared contacts are important to teach history. South Korea and Japan are neighboring countries of historical relevance. Their relationship has been in cross confrontation with contrasting position. The history of the two countries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has a direct interest in time, a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victim and offender is a very sensitive instance. In addition, today's globalization and the practical justification for a peaceful border in relationships did not solve the inner pain of history and the present time, and be to the era of Northeast Asia at the age of historical distortion perspective is in the critical stage of the debate. Therefore, the important thing is the true age of harmony and prosperity for Northeast Asia, especially the differences in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difference for mutual understanding, reflection, compensation and the consequent need for forgiveness and harmony in order to resolve them wisely, to understand Japanese colonial rule and get a lesson that is important to create a foothold towards the future. In order to understand Japan's colonial rules, awareness on Assimilation Policy(同化政策), is one of the big features. Therefore, in the study of Assimilation Policy, it particularly mentioned that representatives of France and Japan are comparing with the colonial policy. Actually, from their colonial rule in Korea, the policy to be practiced whether the political policies and economic policies have divided it into three kinds depending on classification. The best policy is specially revealed which is about education policy and the faithful retainer policy. Secondly, First name renamed policy, the policy of forced mobilization seen in an Assimilation Policy. Finally, the enforced policies of the two countri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are reflected in its history textbook. In the textbook on the history of the colonial rule policy in both countries it seems to have different aspects of story. Japan have whether practiced its own colonial policy, or the policy of Assimilation. Although Japan is unskilled and inhuman, still they went ahead with the Assimilation Policy. Meanwhile, in Korea's history textbooks ‘Assimilation Policy' is explained differently, which means plunder, oppression, and the extermination of Koreans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 policy. In addition, Korea's history textbooks are sufficient to describe the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while Japan's history textbooks roughly explain the history of the same period as compared with Korean textbooks. And that the overall atmosphere of bilateral history textbook narrative leads to diversity. History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has lead to passionate emotions among people and the value of being nationalistic, which is a model of true nationalism to the beloved country. It has practically achieved the purpose of education to meet the educational and historical narrative of the history textbook and history education. Korea?Japan, the two countries have different understanding of history. Three countries of East Asia have to teach close to history the fact that their descendants to gr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ng and deep friendship. The future of our children are growing right now, the future of East Asia. They should at least recognize the historical facts correctly, and the objective facts objectively written history should be based on the textbook. Later, when we meet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willing to agree to a future together.;동북아·세계화가 새로운 담론이 되는 지금의 시점에서 세계사적 관점에서의 역사교육이 중요시되고 있다. 역사교육이 강화되고 있는 것은 비단 우리나라뿐만이 아니다. 일본, 중국 등 앞 다투듯 역사교육을 강화하고 있고, 그것에 그치지 않고 동북공정이나, 역사교과서의 우경화 등 역사왜곡까지 나타나고 있다. 이에 우리가 올바른 역사교육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그것은 동북아적인 맥락에서 올바른 역사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상호적인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즉, 서로간의 관계사적 접점을 찾아서 인식의 공유를 모색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은 인접국으로서 그 역사적 연관성이 높다. 그 관계는 교린과 대립 등의 상반된 입장으로 교차되어 왔다. 그 중 일제 강점기는 두 나라의 역사가 직접적으로 맞닥뜨리는 시기이자, 피해자와 가해자라는 상호간의 관계로 매우 민감한 시기이다. 또한 오늘날 국제화의 테두리 안에서 명분과 실리를 위해 평화적 관계를 맺고 있으나 그 내면에는 해결되지 않은 역사의 아픔이 존재하는 시기이자 동북아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시점에 불거지는 역사왜곡 논쟁의 시대적인 관점에서도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진정한 동북아 시대의 화합과 번영을 위해, 특히 이견과 입장차를 보이고 있는 일제 강점기에 대한 상호간의 이해와 이에 따른 반성과 보상 그리고 용서와 화합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지혜롭게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처와 반목의 원인인 일제 강점기를 이해하여 그 교훈을 얻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발판으로 만드는 것이 중요한 일이라고 생각된다. 일본의 식민지 통치 정책을 이해하기 위해 그의 큰 특징 중 하나인 동화정책(同化政策)에 주목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화정책이란 과연 무엇이며, 특히 세계 식민사상 동화정책의 대표자로 거론되는 프랑스의 그것과 일본이 그 식민지에서 행했던 동화정책을 비교하면서 동화정책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지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실제로 조선에서 식민지 통치 정책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에 대해 정치 정책과 경제 정책을 3시기 구분에 따라 살펴보았고 특히 동화정책이 가장 잘 드러난다는 황민화 정책에 대해 교육 정책과 창씨개명 정책, 강제 동원 정책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조선의 일제 강점기의 식민지 통치 정책의 시행 내용이 양국의 역사교과서에는 어떤 모습으로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에 대해 한·일 양국의 역사교과서에는 식민지 통치 정책에 대한 서술이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본은 식민지 정책의 기조를 동화정책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일본은 비인도적이고 미숙하였지만 ‘동화’라는 명백한 목표를 가지고 식민지 통치를 감행한 것이다. 반면 한국의 국사교과서는 ‘동화’와는 별개로 한민족을 수탈하고, 억압하고, 말살하려는 개개의 일제 식민지 통치 정책으로 그리고 있었다. 또한 한국의 국사교과서의 경우는 자세하고 충분히 일제 강점기를 서술하고 있는 반면 일본의 역사교과서는 우리나라에 비하면 아주 소략한 분량으로 같은 시기의 역사를 설명하고 있다. 그리고 이는 양국 역사교과서 서술의 전체적인 분위기의 차이로 이어진다. 국사교과서의 경우 일제 강점기에 대해 큰 비중을 두며 자세히 서술하고 있지만 이에는 반일 감정을 부추길 수 있다는 일방적인 서술의 경향이 강하다. 일제에 의해 지배를 받은 피해자의 입장인 우리나라의 경우 이를 일본의 주체의식과 비교하기에는 상당한 무리인 것은 사실이나 눈에 띄는 특징임에는 분명하다. 일본 역사교과서의 경우는 한국의 경우와 상반되어 오히려 내용을 축소하고 언급을 피하는 부분이 많았다. 대표적인 경우가 군위안부에 관한 내용이나, 일제의 식민지 통치 정책에 거세게 항거한 조선인에 대한 부분일 것이다. 즉 한국의 경우 일제 강점기에 대해 중요한 민족적 역사의 한 장으로 파악하고 있음을, 일본은 그것을 단순히 일본역사의 한 과정으로만 여길 뿐 반성의 대상으로는 생각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로써 일제 강점기에 관한 양국의 역사인식이 상이함을 알 수 있다. 21세기를 맞이한 역사교육은 감정에 호소하는 저항적 민족주의를 극복하고 진정한 민족주의의 모델을 제시하고, 또한 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 역사 교과서의 서술과 역사교육의 실천만이 역사교육이 나아갈 바이다. 한·일 양국은 서로 상이한 역사인식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동아시아의 삼국이 앞으로도 오래도록 깊은 우호와 선린의 관계를 유지해가려면 자라나는 후손들에게는 보다 사실에 근접한 역사를 가르쳐야 한다. 지금 자라나는 아이들이 바로 우리의 미래이며, 동아시아의 미래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적어도 같은 역사적 사실을 옳게 인식해야 하며, 객관적 사실을 객관적으로 서술한 교과서를 토대로 교육받아야 한다. 그래야 그들이 나중에 만났을 때도 서로 공감하고 기꺼이 미래를 함께 할 수 있기 때문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