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5 Download: 0

장애학생 음악통합교육에 대한 중학교 음악교사의 가치인식과 교수적 수정의 실태

Title
장애학생 음악통합교육에 대한 중학교 음악교사의 가치인식과 교수적 수정의 실태
Other Titles
The Perception and Instructiona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on Inclusive Music Education for Exceptional Students
Authors
조현영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의 장애학생 통합교육은 물리적 통합으로부터 사회적 통합, 교수적 통합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교수적 통합이란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학생이 통합수업을 통해 개인의 학업적 요구에 맞는 교육적 성취를 이루는 수준의 통합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서는 개별교사를 통한 수업 장면의 환경, 집단, 방법, 내용, 평가 방법 등에서의 수정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학생 음악통합교육에 대한 중학교 음악교사의 가치인식과, 음악수업장면에서의 교수적 수정의 실행도 및 필요도를 조사하였다. 음악통합교육에 대한 음악교사의 가치인식은 교수적 수정 실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본 연구의 중심 주제에 앞서 다루었으며, 그 내용으로는 음악통합교육의 필요성과 장애학생의 음악적 표현 가능성을 비롯한 전반적인 인식을 포함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중심 주제인 교수적 수정의 실행도와 필요도는 실제로 음악교사들이 교수적 수정의 유형 및 하위 문항별로 어떠한 교수적 수정을 어느 정도 사용하고 있으며, 어떠한 교수적 수정을 어느 정도로 필요로 하고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교수적 수정의 적절성이나 효과성 보다는 전반적인 실행도와 필요도에 중점을 두어 실태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내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128개 중학교의 음악교사 중 설문에 최종 응답한 67명이며, 설문도구는 문헌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개발한 ‘장애학생의 음악통합교육에 대한 중학교 음악교사의 가치인식과 교수적 수정의 실태조사’ 설문지이다. 신뢰도는 Cronbach-Alpha 계수가 0.6이상으로서 입증되었으며, 타당도는 관련 전문가 3인, 현장교사 3인을 통하여 검증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t-검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가치인식에 대하여, 설문대상자의 약 60%가 장애학생의 음악통합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고, 약 80%가 장애학생의 다양한 음악적 표현과 경험이 가능하다고 인식하였다. 장애학생의 최상의 학업성취를 위하여 ‘장애학생의 특성에 적합한 수업전략과 방법의 마련’에 높은 필요성을 인식하였고, 장애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교수적 수정의 영향력에 대하여 약 90%가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교수적 수정의 실행도는 ‘교수 환경의 수정’을 5점 척도 중 평균 3.08점 의 수준으로 가장 자주 실행하였고, 하위 문항 중 ‘규칙제정’을 가장 자주, ‘장비와 자료 마련’을 가장 적게 실행하였다. 반면, 가장 적게 실행하는 교수적 수정의 유형은 ‘교수 집단의 수정’으로서 5점 척도 중 평균 2.26점의 수준이며, 하위 문항 중 ‘또래교수’를 가장 자주, ‘교사 주도적 소집단’을 가장 적게 실행하였다. 셋째, 교수적 수정의 필요도는 5점 척도 중 3.83점 정도의 수준으로 ‘교수 환경의 수정’을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하위 문항 중 ‘모둠 구성원 배치’에 대해 가장 높고 ‘장비와 자료 마련’에 대해 가장 낮은 필요도를 인식하였다. 반면, 필요도가 가장 낮은 유형은 ‘교수 집단의 수정’으로서 5점 척도 중 평균 3.38점 정도의 수준이며, 하위 문항 중 ‘일대일 개인교수’에 대해 가장 높고 ‘협동학습 집단’에 대하여 가장 낮은 필요도를 인식하였다. 넷째, 교수적 수정의 유형 간 실행도와 필요도의 차이에 대하여, 평균점수의 순위 비교 결과, 실행도와 필요도의 순위가 유형별로 일치하였으며, 하위 문항 간 순위는 ‘평가 방법의 수정’에서만 서로 일치하였다. 교수적 수정의 유형 간 실행도와 필요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현장 음악교사들이 활용할 수 있는 교수적 수정의 구체적인 지식과 기술이 보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음악교사를 위한 교수적 수정의 연수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교사의 자질 향상을 위하여 중등음악교사 양성 기관의 교육과정에 장애학생 교수법 강의가 개설되거나, 음악교육 전공 수업에 장애학생 교수법이 다루어져야 한다. 셋째, 장애학생의 음악학습을 위한 교육용 소프트웨어가 다양하게 개발되어 보급되어야 한다. 넷째, 음악교사와 특수교사, 통합학급 교사간의 공동주인의식과 상호 협력을 위한 의사소통 체계가 마련되어야 한다. 다섯째, 통합수업에서 교수적 수정을 보다 적극적이고 구체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 지원이 제공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장애학생에 대한 음악과 교수적 수정의 적절성과 효과성에 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The current inclusive education for exceptional students in Korea has advanced to the level that the importance of instructional inclusion from physical and social inclusion is emphasized. Instructional inclusion refers to the level of wher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signed in regular classroom can achieve educational accomplishments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academic needs through the inclusive education. Toward this end, modification or adaptation of instructional environments, groups, methods, contents and evaluations in practical classroom settings are requir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on inclusive music education, and the level of execution and necessity of instructional adaptation for exceptional students at the scene of their music class. As the perception on the inclusive music education has important effects on the execution of adapting instruction, it was studied prior to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including the necessity of inclusive music education and the possibility of musical express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level of execution and necessity of instructional adaptation,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is about how frequently music teachers execute and how much they need adapting instruction by types and sub-questions, is focused on the actual practices rather than appropriateness or effectiveness. The subjects are 67 music teachers who answered to the questionnaire, working in 128 middle schools in Seoul where the special classes are facilitated, and the tool is a questionnaire, 'Perception and instructional adaptation of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on inclusive music education for exceptional students' which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document research. Reliability of questionnaire was proven by Cronbach-Alpha Score above 0.6, and validity was verified by 3 relevant experts and 3 site teachers.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were used to process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general perception on inclusive music education, nearly 60% of subject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inclusive music education, and around 80% recognized the possibility of various musical expressions and experiences of exceptional students. Moreover, for the highest academic achievement, necessity of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methods proper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was most highly recognized, and around 90% positively recognized the effect of instructional adapt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cond, regarding the level of execution of adapting instruction, the 'adaptation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was the most frequently executed type as average 3.08 out of the highest possible score of 5 points. Among the sub-questions, 'making rules' was most frequently, the 'provision of equipments and materials' was most rarely executed. Whereas, the 'adaptation of instructional groupings' was recognized most rarely executed type as average 2.26 out of 5 points, among the sub-questions, 'peer tutoring' was most frequently, 'teacher-leading small group' was most rarely executed. Third, regarding the level of necessity of adapting instruction, the 'adaptation of instructional environment' was the highest recognized type as average 3.83 out of 5 points. Among the sub-questions, the 'arrangement of small group members' was shown as the highest necessity, the 'provision of equipments and materials' was as the lowest. Whereas, the lowest recognized type was the 'adaptation of instructional grouping' as average 3.38 out of 5 points, among the sub-questions, the 'one to one instruction' was recognized as the most necessary, and the 'cooperative learning group' was the lowest. Fourth, regarding the difference in level of execution and necessity among the types of instructional adaptation, a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order of average points, the execution and necessity were found the same in accordance with ranking by types, but sub-questions of each type with highest or lowest execution and necessity were not certainly the same, excepted in sub-questions of evaluation methods adaptation. Statistical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execution and necessity by types of instructional adaptation was meaningful.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drawn. First, various knowledges and strategies of instructional adaptation that can be used in actual music class situations should be widely spread. To that end, training program of instructional adaptation should be arranged for middle school music teachers. Second, the education institution of training secondary music teachers should offer the lecture of teaching method on special education, or deal with the method of teaching exceptional students in compulsory courses in music education major in order to improve the capability of teachers. Third, various educational software should be developed for music learning of students with special needs and made widely available. Fourth, communication system for cooperative ownership and mutual cooperation between music teacher and special educator, and inclusive class teacher should be established. Fifth,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the use of instructional adaptation more positively and concretely in inclusive music class. Finally, follow-up research on effectiveness and appropriateness of adapting music instruction for exceptional students is recommen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