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3 Download: 0

7차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여성 관련 서술 분석

Title
7차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여성 관련 서술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Women Related Descriptions from High School's Korean History Textbook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uthors
문진영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 수업의 기본 매개체라 할 수 있는 7차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여성 관련 서술을 분석, 역사교육 과정에 여성사가 어떻게 반영될 수 있는지 그 개선책을 제시하는 데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교과서의 의존율이 다른 나라보다 상당히 높기 때문에 역사 교육의 성패가 교과서를 잘 만드는 것에서 시작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므로 현행 교과서를 분석하여 개선책을 제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21세기는 3F의 시대, 즉 여성적(female)·감성적(feeling)·가상적(fiction)인 것이 지배하는 시대로 여성사에 대한 서술과 교육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이다. 또한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한다는 차원에서도 이는 필요한 것이다. 그러나 그동안 한국의 역사교육은 남성 중심의 정치 제도와 사회·경제 구조의 역사로 일관해 왔고, 여성들은 인류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고 역사에서 능동적인 능인(能人)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늘 ‘역사 밖’에 존재하며 인류 발전 과정에서 단지 ‘주변적인’ 역할을 한 존재들로 기록되어왔다. 이는 현행 7차 교육과정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본 연구의 현행 7차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의 여성 관련 서술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전히 여성에 관련한 서술은 빈약한 수준이었다. 역사학계의 보수성과 남성 중심의 사관 등에 의해 현행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 등재된 여성 인물은 단지 8명에 불과했으며 그마저도 모두 왕가의 여성이었고 이마저 그들의 구체적인 활동상에 대한 서술이 아닌 어떤 사건이 발생한 시기를 나타내기 위한 수준이었다. 둘째, 성에 대한 고정 관념에 근거한 내용과 성 차별을 반영하는 언어 표현도 여전하였다. 셋째, 여성 관련 서술은 본문 서술이 아닌 읽기 자료나 도움 글 등에 편재되어 있어 여성의 역사를 주변화하였으며, 이로 인해 여성의 역할이 사소하고 비생산적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게 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그러나 역사교육이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주체적인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사고하고 행동할 수 있는 인간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면, 이제는 달라지는 여성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역사교육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학생에게 특히 여학생들에게 역사 교육을 통해 올곧은 역사와 사회 의식을 갖도록 하고, 역사적 인과 관계를 교육함은 일정한 논리와 사유를 가능케 하는 것으로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역사 속의 여성 인물을 통해 다양한 역할 모델을 배움으로써 여성도 역사의 객체가 아닌 주체로 역사와 함께 숨쉬는 사회적 인격체라는 자긍심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곧 여성이 현재와 미래 사회의 주인공 역할을 당당히 할 수 있게 하는 지름길이 되리라 생각한다. 또한 이는 현재 여성의 삶과 미래를 위한 일일 뿐만 아니라, 남녀가 함께 대등한 위치에서 공론하며 세상을 이끌어가는 진정한 사회 형성의 토대가 될 것이다. 이를 위해 개편되는 교과서에서는 먼저 국가와 민족 중심에 입각한 역사 인식에서 벗어나 다차원적이고 다중적인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삶 자체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즉, 양성적 관점에서 역사를 재개념화하여 서로 다른 사회문화적 집단으로서 여성과 남성을 인정하고, 여성과 남성의 시각을 함께 고려한 내용을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여성사학계도 여성사 연구 성과를 교과서에 반영하려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여성사학계는 보편 교육의 기초인 학교 교육의 남성 편향성을 지적하고 비판하는 데 여전히 소홀하고, 이 또한 7차 교육과정에 이르는 동안 역사교육이 여성을 망각한 채 이루어지고 있는 이유이기도 한 것이다. 개편되는 교과서는 변화하고 있는 여성에 대한 관심과 인식을 역사교육에 적극 반영하여 남녀 학생 모두에게 양성 평등 의식과 주체적 자아 의식을 심어줄 수 있도록 했으면 한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women related descriptions from the Korean history textbook that can be perceived as the basics of history lectures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also to show how women can be reflected in the history curriculum. In the case of South Korea, the dependency of textbooks is high in relation to other countrie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current history textbook to find adequate solutions to improve history education. Since the 21st is an era governed by the 3F's(Female, Feeling, Fiction)the education of future generations incorporating a balanced view of women in history is essential and therefore an unavoidable issue that must be addressed. Also, for the fun and interest of students this is needed. Nevertheless, Korean history has been concentrated on describing male centered politics and social, economic structures. Although women have taken up half of mankind and have served as active, capable figures, women have existed ‘outside history’ and thought of as ‘marginal’ figures throughout the development of history. This is also the case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abstracts of research on women related texts from the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are as follows. First, women related texts are still poor in substance. The conservative disposition of the academic world and male centered views of the current high school textbook displays only eight female figures. Even these eight figures are women from the royal family with only their time period stated without any of their specific activities explained. Second, subjects based upon stereotypes of gender and expressions that show sexual discrimination are still used. Third, the layout of the textbooks marginalizes women for examples, Texts that have to do with women are not printed as main passages but in the margin labeling them as added info. This implants the wrong view that the works of women and their roles are not significant. However, if history education has the purpose of bringing up students with subjective recognition of history in the changing society, it is now time to put more focus on women in the curriculum. For students and especially for female students, it is important to lead them to recognize true history and perception of society through history education. Also, educating the cause and effect of history will teach logical thinking. Learning diverse women characters and taking them for role models will give pride to female students since they will get to know that women were not just an object but a subject in history. In other words, this is the way for women, present and future to become the main roles of society in dignity. Also, not only is this for the lives of present and future women but for a social foundation in which women and men can together lead the future on equal terms. The amended textbook should overcome the state and ethnic centered history and put focus on multidimensional and diverse relationships that make up human life. In short, generalizing history through the eyes of both sexes, acknowledging women and men as different social groups, and choosing text that considers both sexes is needed. Furthermore, the academic world of women's history should work to put more context of women history in the textbooks. One reason that the 7th national curriculum has failed to educate about women is because the academic world engaged in women's history have not actively criticized the male centered curriculum. The amended textbook should actively reflect the changing views and interests on women to educate all students of sexual equality and allow them to become subjective indepen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