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9 Download: 0

중학교「생식과 발생」단원에 대한 이야기 중심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Title
중학교「생식과 발생」단원에 대한 이야기 중심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Other Titles
Effect of Story-Based Learning Program on the Science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이진영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 주입식의 과학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와 필요성이 점점 감소하는 것에 대비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중학교 3학년 생물「생식과 발생」단원과 관련된 실화를 활용한 이야기 중심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하여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소재 인문계 C중학교 3학년 남녀혼성 4개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118명 중 2개 반을 통제집단, 2개 반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4차시 동안 이야기 중심 수업을 처치하였고, 통제집단에서는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처치하였다. 수업 처치 전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수업 처치 후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사후 검사를 하였다. 또한 수업 처치 직후 실험집단 학생들에게 이야기 중심 수업에 대한 반응을 묻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업의 효과 분석은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설문지 분석은 평균값과 빈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 중심 수업은 학업성취도 향상 면에서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보다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p< .05). 둘째, 이야기 중심 수업은 과학에 관련된 태도의 변화 면에서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에 비해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p> .05). 셋째, 이야기 중심 수업에 대한 반응 조사 결과, 다수의 학생들은 이야기 중심 수업의 학습 흥미도의 세부 영역인 수업방법, 수업내용, 미래수업에 대한 기대도 면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위 결과로 볼 때 이야기 중심 과학 수업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에 비해 학생들에게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줌으로써 과학 학습 성취도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수·학습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The effect of story-based learning on the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related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was investigated. Four classes of 9th grade at a coed middle school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in which story-based learning instruction was put into practice with experimental group while traditional instruction was employed with the control group. Pre- and post-test of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related attitude scores were estimated through an analysis of covariance. And immediately after the treatment,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vestigated response for story-based learning program.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by SPSS 12.0 statistic program, in which the analysis of program effects was made by ANCOVA and the analysis of questionnaires were made by mean and frequency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uld be summarized as below. First, as a result of the science achievement test, the experimental group with story-based learning program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cience achievement compared to traditional group(p< .05). Second, as a result of the science-related attitude test, it has been found that story-based learning program has not been significantly effective in changing science-related attitude more positively than the traditional group(p> .05). Third,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chieved an high average in a questionnaires of response covered area as interest in story-based learning program. Therefore, the story-based learning program is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method to improve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by increasing their interest in learning and giving them positive perception and response on science clas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