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선영-
dc.creator박선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4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0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7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007-
dc.description.abstract이 연구의 목적은 7· 8· 9· 10학년의 음악 교사들을 대상으로 창작 교육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뒤, 창작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효율적 지도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통한 이론적 배경으로써 창의성의 교육적 효과, 창작의 음악 교육적 의의, 음악과 교육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음악 수업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창작교육 현황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차분석(Chi-Square Analysis) 결과 창작교육이 잘 이뤄지고 있지 않은 원인은 시간 부족과 학생들의 관심부족이 가장 큰 요인이었으며, 이는 현재 교육 여건상 입시위주의 교육 때문이다. 둘째,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 결과 고등학교 보다는 중학교에서 창작 교육이 잘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는 중학교가 상대적으로 입시에 대한 부담이 적으며, 주당 수업 시수가 더 많기 때문이다. 셋째, 요인분석(Factor Analysis) 결과 교사들의 인식과 음악교과서의 창작 내용 반영도가 창작수업에 영향을 주는 가장 큰 요인이라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에 의한 창작수업의 활성화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창의력이 발휘되는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인식 변화가 요구되어진다. 입시위주의 교육이 아닌 창의력 발휘에 초점을 맞춘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교사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적이고, 교사들의 긍정적인 태도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실제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창작 영역 내용이 체계적이며, 학생의 흥미를 높일 수 있는 교재가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창의적인 음악 활동을 위한 교사의 재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현실적으로 단기간에 괄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기는 어렵지만, 창작 수업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단계적이고 지속적인 노력들을 해야 한다. 이 연구가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창작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며, 나아가 창작교육의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기를 바란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rvey and to study the current status of music teachers' methods incorporated in creative music education. The teachers surveyed for this research taught 7-10th grade levels. Problems relating to the creative music education were detected and effective directions for improvement and development will be proposed for suggestion. An initial study was done by referring to many reference literatur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and the effectiveness of creative music learn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urvey concerning the creative music learning status of the teachers affiliated with students in grades 7-10 we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 of Chi-Squar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reasons for a failure in creative music learning were the lack of time and interest among the students.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these students are focused only in rigorous academics, thereby, leaving very little time for any extra-curricular subjects not required during the college entrance exams. Secondly, the result of the Variance Analysis indicated that creative music learning was more actively conducted in the junior high school level, as apposed to the high school level. The pressure for college entrance exam is far less in the junior high school level, and the hours per week in junior high school exceeded that of the high school's. Thirdl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teachers' awareness in actually incorporating the creative aspect of the textbook in real class room situation seemed the most pertinent reason. Several suggestions may be proposed for an effective and active creative music learning in the school's music class. Firstly, a need for a change in the teacher's preconceived thoughts seemed most urgent. Unlike the music education which is directed mainly towards bringing high college acceptance rates, focusing on bringing out the individual student's creative aspect must be considered. Teachers must partake in re-mapping the students' learning attitude and realistic means of development must exist simultaneously. Secondly, textbooks with thorough and strategic directions on how to enhance the interest of the students and the realm of creative teaching methods must be developed. Lastly, the teachers must be re-trained in order to have the ability to realize and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 creative music learning. Although this cannot be achieved overnight and requires continuous efforts and strategic planning must take place for a successful and effective learning. I hope this research will give new and innovative directions for teachers who endeavor to bring a more effective and appropriate creative music learning metho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3 C. 연구의 제한점 = 4 II. 이론적 배경 = 5 A. 창의성의 교육적 효과 = 5 B. 창작의 음악 교육적 의의 = 10 C. 음악과 교육과정의 창작영역 = 16 III. 연구 방법 = 20 A.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 20 B. 연구도구 = 21 C. 분석도구 및 방법 = 22 IV. 연구 결과 및 해석 = 24 V. 결론 및 제언 = 65 참고문헌 = 67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8454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ㆍ고등학교음악교사들을 통해 살펴본 창작교육 실태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tical study on music teacher's creative music education in current junior high and high school levels-
dc.creator.othernamePark, Sun Young-
dc.format.pagevi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