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1 Download: 0

구어 이야기 담화에서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조사 ‘은/는’, ‘이/가’ 사용

Title
구어 이야기 담화에서 한국어 중급 학습자의 조사 ‘은/는’, ‘이/가’ 사용
Other Titles
A Study on the Korean Particles 'Eun/Neun' and 'I/Ga' Used by Intermediate Level Korean-Speaking Foreigners in Their Korean Narrative Discourses
Authors
정보영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구본관
Abstract
본고는 담화 화용적 요인에 따라 중급 한국어 학습자들이 생산한 조사 ‘은/는', '이/가'의 기능적 분포를 보임으로써 학습자들이 조사 '은/는', '이/가'를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기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고에서는 자연스러운 구어 이야기 담화에서 학습자들이 발화의 첫 출발점에서 지시 대상을 언급할 때 사용한 명사구를 분석 대상으로 담화 환경과 이야기 구조 그리고 등장 인물들의 화용적 특성이 이들 조사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본고의 목적과 연구의 배경을 기술하였다. 목표어를 기준으로 형태에만 초점을 맞춘 학습자 언어의 연구는 학습자 언어의 의사소통적 기능과 실제 쓰임에 대한 정보를 주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하고 담화 환경이나 담화 구조와 같은 의미적, 화용적 요인들을 학습자 언어에서 고려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에 따라 조사 ‘은/는', '이/가'와 관련하여 기존의 한국어 교육에서 이루어진 오류 분석 연구와 학습자 언어에 대한 기능적인 접근법에 의한 명사구 습득 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본고의 분석과 논의의 기반으로서 언어 사용을 인지 과정으로 파악한 기능주의적 담화 화용적 언어학에서의 연구들과 국어학에서 한국어 ‘은/는', '이/가'의 의미와 기능을 논의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연구 방법과 절차에 대해 기술하였다. 실험 대상은 일본어, 영어, 중국어를 모어로 하는 한국어 중급 학습자이며 한국어 구어 담화에서 모어 화자와의 비교를 위해 한국어 모어 화자도 포함하였다. 자료 수집은 그림 이야기책을 보고 다시 이야기하는 활동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전사된 자료는 담화 환경과 이야기 구조 그리고 등장 인물의 화용적 특성, 화제 연속성에 따라 그 분포를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실험 결과를 보고 및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동일하거나 부분적으로 동일한 기능적 분포를 보였으며 언어권에 따라 담화의 구조와 지시 대사의 화용적 특성과 상호 작용하는 정도가 다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화제 연속성을 측정하여 담화의 연속적인 흐름 속에서 각 화자 집단이 두 조사를 다른 방식으로 사용한다는 것을 보였는데 학습자들은 목표어의 형태는 이미 습득하였지만 이 형태들을‘언제· 더·자주·선택하는가의 문제에 있어서는 목표어 화자와 다른 사용 양상을 나타내었다. 5장에서는 결과를 요약하고 후속 연구의 필요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학습자 언어 연구에 있어 담화 환경이나 담화 구조지시 대상의 화용적 특성과 같은 의미적, 화용적 요인들이 학습자의 문법 사용과 어떠한 상호작용을 하는지 연구하는 것은 학습자들이 현재 어떠한 의사소통적 기능으로 언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들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한국어를 습득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본고는 언어 사용의 측면에서 학습자 언어를 이해하고 언어 능력 신장을 돕는데 필요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functional distribution of the Korean particles 'eun/neun' and 'i/ga' produced by the intermediate level Korean-speaking foreigners depending on the discourse pragmatic factors and thereby, discuss how they use the particl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analyzed how their selection of the particles were being affected by the nominal phrases - which were used by them when mentioning about the referents at the starting point of their utterance in a natural oral narrative discourse - as well as by their discourse context, discourse structure and characters' pragmatic features. The first chapter introduces purpose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n particular, the researcher emphasized that any study on learner's language focusing only on the forms of a target language would not produce any information about communicative functions and uses of learner's language, and thereby, argued that it would be essential to consider such semantic and pragmatic factors as discourse context and structure in learner's language. In this vein, the researcher reviewed some preceding studies that had analyzed the errors committed by the conven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uses of the particle 'eun/neun' and 'i/ga' or that had used a functional approach to learner's languages, particularly NP acquisitions. The second chapter as basis of analysis and discussions reviews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functional discourse pragmatic linguistics focusing on the cognitive process of language uses and those Korean linguistic studies on meanings and functions of the Korean particles 'eun/neun' and 'i/ga'. The third chapter discusses methods and procedure of the study. The subjects were sampled from Japanese, English or Chinese speaking people who were commanding Korean at an intermediate level. In order to compare them with native speakers in the Korean oral discourse, the Korean natives were included in the sample. Data were collected for their story-telling about picture story books they had read, and thereby, were transcribed. Then, the data were analyzed for the functional distribution of the particles depending on discourse context, discourse structure, characters' pragmatic features and topic continuity. The fourth chapter analyzes the results of the tes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functional distribution of the particles used by foreigner sample was same all or partially as that of the particles used by their Korean counterparts, and that discourse structures, pragmatic features and interactions differed depending on sub-samples. In addition, when topic continuity was measured, it was found that each sub-sample were using the two particles in a continuous discourse in a different way. Specifically, the learners had already acquired the forms of the target language, but their 'timing' and 'frequency' of using the forms were different from native speakers'. The fifth chapter summarizes the study and emphasizes the need for subsequent researches on this subject. This study which reviewed the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uses of grammar and such semantic factors as discourse context, discourse structure and pragmatic features of referents aimed to provide som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communicative functions or words used by learners and the process whereby they acquire Korean language. In this sense,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it has provided some useful information to better understand learner's language in the aspect of language uses and help them improve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