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희진-
dc.contributor.author김혜진-
dc.creator김혜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26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7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266-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effect on the concept of a cooking activity and an unbalanced diet, given that names, features, needs, and cooking usages of vegetables are available through a children’s story-applied cooking activity as an alleviating program for an unbalanced vegetable diet.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ny effect of a cooking activity through a children's story as an alleviating program for an unbalanced vegetable diet in order for children to distinguish vegetables? 2. Is there any effect of a cooking activity through a children's story as an alleviating program for an unbalanced vegetable diet on children's unbalanced diet behaviors? 2-1.What are the effects on children’s unbalancedvegetable diet behaviors evaluated by parents? 2-2.What are the effects on children’s unbalancedvegetable diet behaviors observed by teacher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30 kindergarten children aged 4 in Y Elementary School associated Kindergarten in Seoul. The following methods were used to investigate a concept of a cooking activity through a children's story and effect as an alleviating program for an unbalanced vegetable diet. First of all, we selected 5 vegetable-related children’s stories and then we implemented 10 cooking activities using vegetables shown in the stories through 5 weeks during an elective class as a small group. We analyzed the data based on the checklist of an unbalanced diet and behavior developed by Choi, Myung-joo (2002). Moreover, we compared the before- and after- frequency of vegetable distinction and an unbalanced behavior, separately for children and for parents, and we also compared the before-and after- children’s unbalanced diet behaviors observed by teachers during lunchtim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big influence of a cooking activity through a children’s story as an alleviating program for an unbalanced vegetable diet over children for distinguishing vegetables. Specifically, before the activities there were vegetables known to the children such as ‘tomatoes’ (29 subjects), ‘cucumbers’ (29 subjects), ‘carrots’ (26 subjects), ‘radishes’ (23 subjects), and ‘Chinese cabbages’ (21 subjects), followed by ‘leeks’ and ‘peppers’ (19 subjects), ‘green onions’ (15 subjects), ‘cabbages’ (7 subjects), ‘spinach’ (5 subjects) and ‘celery’ (2 subjects). However, after the activities, almost all the subjects were able to distinguish the vegetables, and furthermore the number of subjects who did not know the names of vegetables and had not even seen them decreased from 22 to 0. Second, a cooking activity through a children’s story as an alleviating program for an unbalanced vegetable diet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unbalanced vegetable diet behaviors. Both behaviors evaluated by parents and those observed by teachers showed that there is an increase in balance among the vegetables, and a decrease in the expression of rejection of disliked vegetables. The changes indicate that a cooking activity through a children’s story as an alleviating program for an unbalanced vegetable diet can have a real effect of diminishing rejection, and thus alleviating children’s unbalanced diet behavior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features, need for, and cooking usages of vegetables.;본 연구의 목적은 채소 편식 완화 프로그램으로서 동화를 통한 요리활동으로 채소의 이름과 특징, 채소 섭취의 이유, 요리에서의 쓰임새 등을 경험하였을 때 요리활동 개념 및 편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채소 편식 완화 프로그램으로서 동화를 통한 요리활동이 유아의 동화 속 채소 변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2. 채소 편식 완화 프로그램으로서 동화를 통한 요리활동이 유아의 채소 편식 행동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가? 2-1. 부모가 평가한 유아의 채소에 대한 편식 행동은 어떠한가? 2-2. 교사가 관찰한 유아의 채소 편식 행동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Y초등학교병설유치원에 재원하고 있는 만 4세아 학급 유아 30명이다. 채소 편식 완화 프로그램으로서 동화를 통한 요리활동이 유아의 요리활동 개념과 편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로 채소와 관련된 동화책 5권을 선정하였고, 동화책 속의 채소를 이용한 요리활동을 5주 동안 10회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소집단으로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는 최명주(2002)가 개발한 편식하는 음식 체크리스트와 편식 행동 체크리스트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검사도구는 유아용, 부모용으로 나누어 유아의 채소변별, 편식 행동을 파악하여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의 빈도를 비교하였으며, 급식시간의 채소 편식에 대한 유아의 행동을 교사가 관찰하여 연구 전과 연구 후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채소 편식 완화 프로그램으로서 동화를 통한 요리활동은 유아의 동화 속 채소를 변별하는데 많은 영향을 미쳤다. 동화를 통한 요리활동 전에는 유아들이 가장 많이 알고 있는 채소의 이름은 ‘토마토’와 ‘오이’로 각각 29명이었고, ‘당근’ 26명, ‘무’ 23명, ‘배추’ 21명이었다. 그리고 ‘파’와 ‘피망’이 각각 19명, ‘양파 15명, ‘양배추’ 7명, ‘시금치’ 5명, ‘샐러리’ 2명 순이었다. 동화를 통한 요리 활동 후에는 거의 모든 유아가 채소를 변별할 수 있었고, 채소 이름도 모르고 본 적도 없는 유아의 수도 22명에서 0명으로 감소하였다. 둘째, 채소 편식 완화 프로그램으로서 동화를 통한 요리활동은 유아의 채소 편식 행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부모가 평가한 채소 편식 행동, 교사가 관찰한 채소 편식 행동 모두 채소에 대한 기호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가 싫어하는 채소에 대한 편식 행동 중에서 채소를 거부하는 표현도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채소 편식 완화 프로그램으로써 동화를 통한 요리활동이 채소의 특징, 채소 섭취의 이유, 요리에서의 쓰임새 등의 경험을 통해 채소에 대한 거부감 감소 및 편식 행동 완화에 효과를 있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유아기의 편식 = 7 B. 동화를 통한 요리활동 = 14 Ⅲ. 연구의 진행 = 21 A. 채소 편식 완화 프로그램 개발 = 21 B. 채소 편식 완화 프로그램 실행 = 27 C. 연구도구 = 35 D. 채소 편식 완화 프로그램의 평가 = 42 Ⅳ. 논의 및 결론 = 50 A. 논의 = 50 B. 결론 및 제언 = 54 참고문헌 = 56 부록 = 63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53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채소 편식 완화 프로그램으로서 동화를 통한 요리활동 개념 및 그 효과-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ncept of a cooking activity through a children's story and effect as an alleviating program for an unbalanced vegetable diet-
dc.creator.othernameKim, Hye-Jin-
dc.format.pageⅷ, 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