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어수영-
dc.contributor.author홍재화-
dc.creator홍재화-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48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4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2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7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265-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오늘날 나타나고 있는 도덕적위기 상황을 공동체주의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려 하였다. 따라서 공동체의식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아동의 공동체의식을 측정하고 그 의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수들을 확인하고 실태를 찾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서울·경기·인천지역의 6개 초등학교 4·5·6학년 73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에서 사용된 종속변수는 공동체의식으로 문항의 척도는 문헌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검토한 것을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공동체의식을 규정하는 중요한 덕목으로 질서의식, 타인배려의식, 공익의식, 협동의식을 선정하였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로는 인구사회학적 변수로는 성별과 거주지를 학교생활 변수로는 학년과 학교성적을, 가정배경 변수로는 부모의 경제수준, 교육수준, 직업을 살펴보았다. 또한 공동체의식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만을 단순히 측정만 하는 연구와는 관점을 달리하고자 가정에서의 부모의 교육이 아동에게 강력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 하에 바람직한 부모의 양육행동에 주목하고 아동의 공동체의식 형성과 어떤 관련이 있나 설명하고 측정하고자 하였다. 부모의 양육행동 측정은 허묘연(2000)의 도구를 재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문제에 따라 요인분석, 빈도분석, t검정,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의미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을 분석한 결과 성별로 보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공동체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거주지별로 살펴본 결과는 대도시에 사는 아동일수록 공동체의식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학교생활 변수인 학년별로 보면 4학년이 공동체의식이 가장 높았고 5학년, 6학년 순으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공동체의식의 평균치가 낮았다. 학교 성적별로 보면 상위아동의 공동체의식이 높았고 하위아동의 공동체의식이 낮았다.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학교생활 변수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가정배경 변수인 보호자의 경제수준은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공동체의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호자의 교육수준도 높을수록 아동의 공동체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배경 변수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부모의 양육행동 변수와 공동체의식을 살펴보았는데 부모가 애정으로 키우는 양육행동이 공동체의식이 높았고 집단간 평균차이가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의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어떠한 변수들이 공동체의식 형성에 영향을 크게 미치는지를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질서의식에서는 학년이, 타인배려의식, 공익의식, 협동의식은 부모의 애정형 양육행동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전체 공동체의식도 부모의 양육행동 변수 중 애정 변수가 가장 큰 설명력을 보여 제일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으로 볼 때 성별, 거주지, 학년, 학교성적, 부모의 경제수준, 교육수준, 직업 및 양육행동은 공동체의식 형성의 중요한 변수로 증명되었음을 볼 수 있으며 부모가 애정으로 키우는 긍정적 양육행동에 따라 아동의 공동체의식 형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으므로 부모는 바람직한 양육행동으로 자녀에게 관심과 애정을 보이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This study was attempted to approach the current ethical crisis from the view of communitarianism. The main focus i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mmunity consciousness in order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measurement of the children's sense of community.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732 students of 4th,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six different schools located in Seoul, Kyung-gi and Incheon. The dependent variables for this study were composed of based on the related theories and review of literatures. For this research, I categorized the important factors of community consciousness as 4 categories which are the sense of order, the sense of care, the sense of public good, and the sense of cooperation. There are in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variables-gender, residency, School Life variables - school grade, record and Family Background variables - parents' economic level, educational level, job. Also to have a different view from other researches which simply observers the variables which effects the formation of community consciousness. I tried to mea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tion of children's community consciousness and desirable parents' rearing behaviors. This was based on assumption that the education of parents' and the family has strong effect on the children. Parents' rearing behavior were modified by Heh Myo Yeon(2000)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collected data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view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 variables according to gender, the study shows that the female students had much higher degree of the community consciousness than the male students. and regarding residency, students who live in large cities have higher community consciousness. With respect to school grade of a school life variable, fourth graders have the highest community consciousness, while the mean value of community consciousness decreased for in fifth and sixth graders. In regard of school record, students with higher record have higher community consciousness, while those with lower record have lower community consciousness.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rom bo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variables and school life variables. Second, in regard of parents' economic level of a family variable, the higher is parents' economic level, the higher is their children's community consciousness. Also, the higher is parents' educational level, the higher is their children's community consciousness. Respecting parent job, students whose parents are civil servants show the highest mean value of community consciousness.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from all family variables. Third, concerning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 of parent's child rearing behavior and the community consciousness, the highest correlation was shown from parent's affectionate rearing behavior, an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value between groups was also shown. Finally, based on the aforesaid results, what variables do greatly influence the formation of community consciousness was examin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School grade for a sense of order and an affection variable for altruism, the sense of care, the sense of public good, and the sense of cooperation among the variables of parent's child rearing behavior showed the highest variance explained. The affectionate variable for the whole community consciousness also showed the highest variance explained among the variables of parent's child rearing behavior. In conclusion, gender, residency, school grade, school record, parents' economic and educational levels, parents' job and parent's child rearing behavior ar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formation of community consciousness. As parents' child rearing behavior is more positive, their children's community consciousness is more formed.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parents should show interest and affection in their children with desirable rearing behavior.-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목적 = 3 C.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공동체와 공동체의식의 개념 = 5 1. 공동체의 개념 = 5 2. 공동체의식의 개념 = 8 3. 공동체의식의 덕목 = 10 가. 공동체의식의 덕목 = 10 나. 제 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공동체의식의 덕목 = 12 B. 본 연구에서의 공동체의식 = 14 1. 질서의식 = 15 2. 타인배려의식 = 17 3. 공익의식 = 19 4. 협동의식 = 20 C. 공동체의식의 형성과 교육 = 22 1. 아동의 발달적 특징 = 22 2. 학교에서 공동체의식의 형성과 교육 = 24 3. 가정에서 공동체의식의 형성과 교육 = 26 D. 선행연구 = 27 1. 인구사회학적 변수와 공동체의식 = 27 2. 학교생활 변수와 공동체의식 = 30 3. 가정배경 변수와 공동체의식 = 31 4. 부모의 양육행동 변수와 공동체의식 = 32 Ⅲ. 연구 방법 = 35 A. 연구절차 및 대상 = 35 1. 예비조사 = 35 2. 본조사 및 연구대상 = 35 B. 측정도구 = 37 1. 공동체의식 = 37 2. 인구사회학·학교·가정배경 = 40 3. 부모의 양육행동 = 40 C. 자료처리방법 = 43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44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44 B. 인구사회학적 변수 분석 = 45 1. 성별과 공동체의식 = 45 2. 거주지와 공동체의식 = 47 C. 학교생활 변수 분석 = 49 1. 학년과 공동체의식 = 49 2. 학교성적과 공동체의식 = 51 D. 가정배경 변수 분석 = 53 1. 부모의 경제수준과 공동체의식 = 53 2. 부모의 교육수준과 공동체의식 = 55 3. 부모의 직업과 공동체의식 = 57 E. 부모의 양육행동 변수 분석 = 58 1. 애정과 공동체의식 = 60 2. 비일관과 공동체의식 = 61 3. 과잉간섭과 공동체의식 = 62 4. 방치와 공동체의식 = 64 Ⅴ. 공동체의식과 관련 변수간 영향력 비교 = 65 A. 질서의식과 변수간 영향력 비교 = 65 B. 타인배려의식과 변수간 영향력 비교 = 67 C. 공익의식과 변수간 영향력 비교 = 68 D. 협동의식과 변수간 영향력 비교 = 69 E. 전체 공동체의식과 변수간 영향력 비교 = 70 Ⅵ. 결론 및 제언 = 71 참고문헌 = 75 부록 설문지 = 80 ABSTRACT = 8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58530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학교 학생들의 공동체의식 형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Form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munity Consciousness - Centered on Parents' Rearing Behavior --
dc.creator.othernameHong, Jae Hwa-
dc.format.pageⅵ, 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도덕·윤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도덕·윤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