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6 Download: 0

지각된 자율성 지지 정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Title
지각된 자율성 지지 정도와 학업성취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동기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Authors
임지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는 Deci와 Ryan(1986, 2000)의 자기 결정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 입각하여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정도와 학생의 자기조절동기, 학업적 자기 효능감 및 학업 성취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정도가 학생의 자기조절동기, 학업적 자기 효능감 및 학업 성취를 예측할 수 있는 유의미한 변인인지 알아보고, 학생의 자기 조절 동기와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업 성취를 매개하는 효과를 가지는지 구조방정식 모형을 구축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정도가 높을수록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이 높을 것이다. 둘째, 학생의 자기조절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이 높을 것이다. 셋째, 학생의 자기조절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정도와 학생의 학업 성취를 매개할 것이다. 본 연구는 경기도 부천시 소재 중학교 3학년 학생 59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 및 관여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Grolnick, Ryan & Deci (1991)가 개발한 부모에 대한 지각 척도(Perceptions of Parents Scales; POPS), 교사의 자율성 지지에 대한 지각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Williams & Deci (1996)이 개발한 학습풍토 질문지(The Learning Climate Questionnaire; LCQ)를 사용하였고, 학생의 자기조절동기를 측정을 위해서는 Kim(2002)의 한국형 학업적 자기 조절 설문지 (Korean-Self-Regulation Questionnaire-Academic; K-SRQ-A), 학업적 자기 효능감 측정을 위해서는 김아영·박인영(2001)이 개발 및 타당화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Academic Self-Efficacy: ASE)를 사용하였다.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정도, 학생의 자기조절동기, 학업적 자기 효능감 및 학업 성취 간의 Pearson 상관 계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SPSS 11.0을 사용하였고, 이론적·논리적 근거 위에 설정된 학생의 자기 조절 동기와 학업적 자기 효능감이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업 성취를 매개하는 효과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은 AMO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경우에는 자율성 지지 환경이 학생의 학업 성취 수준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아버지와 교사의 경우에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아버지의 경우를 제외하고,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환경에 대한 지각은 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조절동기에 긍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 성취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으나, 자기조절동기는 학업 성취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와 교사의 경우에는 학생의 자기조절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에 대한 지각과 학업 성취를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아버지의 경우에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생의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에 대한 지각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 성취를 설명하는 유의미한 변인임을 확인하였고, 학생의 자기조절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에 대한 지각과 학업 성취 수준을 매개하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perception of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involvement and the students' self-regulation motiva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student achievement of learning. The research model is based on Deci &Ryan' Self-Determination Theory(1986, 2000). Research participants were 599 middle schcool students in Buchun, Kyung-gi do.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Perceptions of parents Scales(1991), The Learning Climate Questionnaire(1996), Korean-Self-Regulation-Scale-Academic(2002), Academic Self-Efficacy Scale(2001).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utonomy support of mothers has a positive meaningful effect on the student achievement of learning, while that of fathers and teachers has a negative meaningful effect on it. Besides,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students' perception of mother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on th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regulation motivation is shown in the study, except that of the fathers' on them. Second, th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influences the student achievement of learning in a positive.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self-regulation motivation influences that in a negative. Third, the study shows that the effect of the students' perception of the mother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 on the student achievement of the learning is mediated by the students' self-regulation motivation and academic self-efficacy. That of fathers' on it, by contrast, is not correlated by th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