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6 Download: 0

취학 전 아동의 조성 변화 지각에 관한 연구

Title
취학 전 아동의 조성 변화 지각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erception of Tonality Changes : Case of Pre-schoolers
Authors
고동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The musical ability of pre-school children could easily reach to the level of adults.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consider their potential and set up some reliable and objective standards to assess the musical ability of pre-schoolers. This study will especially concentrate on a sense of tonality, one of important and personal musical ability, as well as crucial element in Western music. This study emphasizes how educating our pre-schoolers about a sense of tonality will be significant for improving their musical ability. There are various ways of assessing the musical ability of pre-schoolers, but this study focuses on children's ability to understand tonality changes in the transposition of melodies. This study worked with children in a stage of preschools, and the specific method used for this study is to experiment with tonality changes in the same melody. For instance, changing the keys and see if the children can perceive that this is the same melody, but only in different keys. In this study assesses children's overall ability of perceiving tonality changes as well as find out certain tonality changes to which children most immediately and effectively response. The children that the study work for my experimentation are preschoolers, aged between six and seven, who are attending at D Kindergarten in the Bun-dang City, and 48 of them are six year and 54 of them are seven year old (total 102). The study experiments with four different melodies, and two of them are familiar and rests of them are not. These melodies into four different categories of 1/ 1st related keys, 2/ 2nd related keys, 3/ 3rd related keys, near pitch, and 4/ 3rd related keys, far pitch. The specific question of this study is: does gender difference play a role for children in perceiving tonality changes, if it does and then how much is it important? How does children's pre-musical education affect on their recognition of tonality changes? Are they going to respond differently to the melody that they are familiar and the one that they are not? Which tonality do they perceive better, among 1st related keys, 2nd related keys, 3rd related keys/near pitch, and 3rd related keys/far pitch? And the following is the summery of my conclusion from my experimentation: Firstly, As they grow older, their ability to hear tonality also improves. Secondly, Especially among pre-schoolers, the children who have been previously exposed to musical education usually hear tonality changes better than the children who have not. Thirdly, The average score for the familiar melody is higher than the score for the unfamiliar melody. Statistically there is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 familiar and unfamiliar melodies. Fourthly, This experimentation finds that gender plays no significant role in children's ability to hear tonality changes. Fifthly, I compare the average scores of the tests for the different types of tonality changes for the category of accurately transposition, and the result was that children can perceive tonality changes within pitches rather than those over circle of fifths. Therefore the tonality changes occurring within a fewer range of pitch changes can be most easily perceived. And the four different types of tonality changes in the order of children's perception are 1st related keys, 3rd related keys, far pitch. Sixthly, The test result for the four different types of tonality changes for the category of inaccurately transposition was that children again perceive the changes in a fewer than tonality changes of far keys in circle of fifths better than those in over than tonality changes of near keys in circle of fifths. they were not affected by pitch significantly. Therefore children can perceive the changes occurring within a fewer than circle of fifths tonality changes better if pitch difference remains small. Seventhly, Among the four different types of tonality changes, children can perceive the tonality changes within a fewer than tonality changes of near keys of circle of fifth better than any other category, including the tonality changes occurring within a small range of pitch changes. The four different types of tonality changes in the order of children's perception from the best to worst are 2nd related keys, 3rd related keys, near pitch.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that is based upon more systematic planning and curriculum, which then would help children be exposed various musical melodies, keys, and sound experience. This study would serve as one of the instrumental materials and references to improve children's ability to perceive key changes in specific and to enhance their musical ability in general.;취학 전 아동기에 있는 아동들의 음악적 능력은 이미 거의 성인의 수준으로 발달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의 타고난 재능과 잠재력을 길러주기 위해서 음악교육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우리는 먼저 객관적으로 그들의 음악적 능력을 평가하는 기준을 마련하여야 한다. 조성감은 개인의 음악적 능력 중의 하나이며, 서양음악의 중요한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이미 많은 연구들은 취학 전 아동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통해 조성감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함을 주지시켜 왔다. 이 연구의 대상은 취학 전 아동들이며, 연구의 방법은 아동들이 기준 선율과 조성 변화 한 선율을 듣고 같은 선율임을 구별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적으로 취학 전 아동의 연령과 성별, 음악경험, 선율의 친숙도에 따라서 조성 변화를 지각하는 데 차이가 있는지와 어떻게 조성 변화를 하였을 때 아동들이 수월하게 지각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D 유치원 6, 7세 취학 전 아동(6세 48명, 7세 54명) 총 10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총 네 곡의 선율이 사용되었는데, 이 중 두 곡은 친숙한 선율, 두 곡은 친숙하지 않은 선율이었다. 이 네 곡의 선율을 4가지- 1) 1차 관계조, 2) 2차 관계조, 3) 3차 관계조, 가까운 음, 4) 3차 관계조, 먼 음으로 나누어서 측정하였다. 연구의 초기에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제기 하였다. 과연 조성 변화 지각 능력에 있어서 연령과 성별의 차이가 중요한 것인가? 취학 전 아동들의 이전 음악적 경험이 그들이 조성 변화를 지각하는 데에 얼마만큼 영향을 미칠 것인가? 과연 친숙한 선율과 친숙하지 않은 선율에 나타나는 조성 변화에 대해서 아동들이 다르게 반응할 것인가? 취학 전 아동들은 ‘1차 관계조’, ‘2차 관계조’, ‘3차 관계조, 가까운 음’, ‘3차 관계조, 먼 음’ 중에서 무엇을 가장 수월하게 지각하는가? 이 연구는 위에 제기된 연구 질문들에 대해서 다음과 같은 결론들을 도출해 내었다. 첫째,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조성 변화 지각 능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취학 전 시기에 음악경험이 있을수록 조성 변화 지각하는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학 전 아동들은 친숙하지 않은 선율의 조성 변화보다 친숙한 선율의 조성 변화를 더 잘 지각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그러나, 성별에 따라 조성 변화 지각 능력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정확한 조옮김에 대한 네 가지 조성 변화에 따르면, 5도권에서 가깝게 위치한 조로 조성 변화한 것보다 음 거리가 가까운 조로 조성 변화한 것을 가장 잘 지각하고 ‘1차 관계조’, ‘3차 관계조, 먼 음’순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정확하지 않은 조옮김에 대한 네 가지 조성 변화에 따르면, 음 거리가 가까운 조로 조성 변화한 것보다는 5도권에서 가깝게 위치한 조로 조성 변화 한 것을 더 잘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모든 문항의 네 가지 조성 변화에 따르면, ‘2차 관계조’를 가장 잘 지각하고 ‘3차 관계조, 먼 음’을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서 연구자는 교사들이 보다 효과적인 음악 교육을 계획하고, 적절한 훈련을 통해서 아동들에게 다양한 조성을 경험하게 하는 것의 중요성을 재차 실감하였다. 또한 연구자는 이 연구가 취학 전 아동들의 조성 지각 능력에 대한 기초 자료로 쓰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