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7 Download: 0

초등학교 5학년 통계 단원에서의 NIE 활동이 자료 분석력에 미치는 효과

Title
초등학교 5학년 통계 단원에서의 NIE 활동이 자료 분석력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s of NIE(Newspaper In Education) on Children's Data Analyzing Ability in Elementary Statistics
Authors
서정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민경
Abstract
현대 수학 교육이 지향하는 바는 단편적인 수학적 지식이나 결과가 아니라 수학적 사고의 과정이고 주로 실용적인 목적이 중심적으로 제시되고 있다. 특히 21세기 정보화 시대에는 표나 그래프로 제시된 많은 자료들을 읽고, 해석하고, 판단해야 하는 자료 분석 능력이 필수적인 삶을 요구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생들이 스스로 실생활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를 수집하고, 조직하고, 표현하고, 해석하는 직접적인 활동을 통해 통계의 개념, 원리의 터득은 물론 자료 분석력, 문제해결력 등을 기를 수 있는 NIE(Newspaper In Education)학습을 초등 수학에 적용하여, 초등수학 통계 학습에서의 NIE 활동이 아동의 수학적 자료 분석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러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학교 5학년 통계단원에서 신문을 활용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통계학습을 한 비교집단 사이에 아동의 수학적 자료 분석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1 - 1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에 아동의 자료 이해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1 - 2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에 아동의 자료 표현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1 - 3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에 아동의 자료 해석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가? 이러한 문제를 연구하기 위해 서울시 도봉구에 위치한 B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을 연구대상으로 선택하여 한 반은 실험집단(38명)으로, 다른 한 반은 비교집단(38명)으로 선정하였다. 7주 동안 12차시를 실험 집단 학생들에게는 NIE를 활용한 통계 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 학생들에게는 7차 교육과정에 제시된 일반적인 통계 수업을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의 수학 자료 분석력을 알아보기 위한 사전, 사후 검사 도구는 동형으로 제작되었다. 그리고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검사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해서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문을 활용하여 통계를 학습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통계 학습을 한 비교 집단 간의 자료 이해력에 대한 효과 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5학년 통계단원에서, 신문 활용한 수업은 아동의 자료 이해력 향상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사후 자료 이해력 검사지를 통해서도 실험집단 학생들이 비교집단 학생들보다 훨씬 명확한 용어 이해와 다양한 예를 들어 설명하는 것이 나타났다. 둘째, 신문을 활용하여 통계를 학습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통계 학습을 한 비교 집단 간의 자료 표현력에 대한 효과 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5학년 통계단원에서, 신문 활용한 수업은 아동의 자료 표현력 향상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볼 수 있다. 사전, 사후 자료 표현력 검사지를 비교해 보았을 때, 사전에 비해 사후검사지에서 그래프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표와 그래프의 관계, 자료의 특징에 적절한 그래프를 선별하여 정확하게 그릴 수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신문을 활용하여 통계를 학습한 실험집단과 일반적인 통계 학습을 한 비교 집단 간의 자료 해석력에 대한 효과 검정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볼 때 5학년 통계단원에서, 신문 활용한 수업은 아동의 자료 해석력 향상시키기 위해 장기적인 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결론적으로 NIE를 적용한 통계 학습은 아동들에게 실제적인 맥락을 통해서 문제를 제기하고 문제와 관련된 활동을 제공하고 그 활동을 바탕으로 자료를 이해하고 표현하고 해석하는 것을 포함하는 실제적인 자료 취급을 시도해 나가도록 도와주었다. 실생활의 문제를 수학적으로 접근해 해결하고, 추론하는 학습, 실제적인 진정한 활동을 통한 수학화 과정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아동 스스로 흥미와 자발성을 가지고 개념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자료 분석력을 기르기 위해 통계 학습에 신문을 활용하여 재구성한 문제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자료 분류, 정리, 해석 등 과정을 직접 체험하고 이렇게 해서 얻은 정보들에 관해 서로 의견을 나눔으로써 일반화 단계까지 이르게 하도록 하였다. 통계 영역 뿐 아니라 수학 교육과정 전 영역에 걸쳐 각 영역에서 필요로 하는 수학적 사고 유형에 대한 교사의 NIE 자료 개발 노력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아동의 통계 학습에 대한 자료 분석력에 있어서 기존의 수학 학업 성취도 평가는 아동의 자료 분석력의 사고 과정을 타당하게 평가하는데 충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아동의 통계 개념에 대한 이해 정도를 평가하는 도구로, 자료 표현과 자료 해석에는 매우 부적합하다. 따라서 아동의 수학적 자료 분석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도구 또한 연구의 과제가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이 연구는 단기간의 학습 효과를 검증하였으므로 학습 방법의 효과를 일반화시키는데 있어 한계가 있다. 또한 5학년 나 단계에 국한된 통계 학습 방법에 적용한 것이었으므로 이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학년별, 성별, 지역별로 확대하여 검증해 볼 필요가 있고, 통계의 다른 내용 영역과 목적에 맞도록 지도 방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 보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is study was plan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NIE on children's data analyzing ability―data understanding ability, data representing ability, and data explaining ability―in elementary statistics. Two classes of 5th graders were experimented for 7 weeks. One group(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NIE activities in statistics classes, while the other group(the controlled group) was not given any NIE activ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data understanding ability;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data representing ability; third, there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data explaining ability. Students' problem solving process was also analyzed to identify the NIE effects on data analysis ability specifically.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found to try more strategies: first, they applied NIE skills in elementary statistics to other subjects; second, they showed mathematical communication when making contextual problem based on news scripts; third, they recognized mathematical concepts in the news scripts and summarized the contents and predicted the results properly in the process of learning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mathematical concepts. In conclusion, the NIE-applied statistics class affected and improved children's interest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in contextual problems based on our own life as well as their data analyzing ability. However, this test was limited to a short period of time, only to the small group of 5th graders of a school that would show a limited result. Had it been done with more students of every grade in many cities for a long period of time, this study would be more fruitful. A lot of studies have to be followed to apply NIE activities to the whole school curriculum and to prove its positive effects on children's data analyzing ability. Teachers in this field need to study and research more intensively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data analyzing ability through NI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초등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