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남광실.-
dc.creator남광실.-
dc.date.accessioned2016-08-25T03:08:09Z-
dc.date.available2016-08-25T03:08:09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53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52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5315-
dc.description.abstractIn western countries, music therapy designed to apply music in treating mental patients has made a great stride, but it is still strange to Korea. This study intended to make an observation which enables the use of music as a therapeutic mean. Observations were made between March 1980 and May 1981, extending 15 months. Subjects were 30 mental patients among 320 inpatients admitted to the Sunchunhyang Hospital, Hannam-dong, Seoul, Korea. Responses to the appreciative melodies concerning classical music: Korean songs, nursery songs, hymn and pop songs were compared with the responses to the singing melodies. Qustionnaire sheets were distributed among inpatients admitted to the psychiatric, obstetrics, othopedics and neurology wards, and mentally healthy persons. And responses were compared with each other. Among psychiatric patients, females showed more positive responses to appreciative melodies than males. In general, response to pop songs was most noticiable, followed by classical music, Korean songs, nursery songs and hymn Patients appeared comparatively stable in emotion after such muscial appreciation and they showed a tendency to listen to music further. Singing songs were classified into sad, neutral and gay melodies in terms of their nature. Again, the response to the singing melodies was more positive among females than males, and the neutral melodies were more fawored than the gay melodies, while the sad melodies were just kept aside. Melody patterns favored by patients were: melodies which progressed beat by beat without syncopation or dotted notes, melodies rhythmical and inducing body gesture, melodies which was narrow in musical range and not great is sound skip or rise, melodies which flowed lightly, melodies with bright words and interspersed with beautiful and abstract tones. Singing songs elicited a positive attitude.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indicated that popular songs were favored by both psychiatric patients and obstetrics patients. Hymn and pop music were favored by orthopedics patients and hymn only was by neurology patients, while healthy persons were fond of classical music. Nursery songs appeared to be not popular among patients and healthy persons alike. Patients and healthy persons showed a tendency to sing solo spontaneously, while no such tendency was found among mental patients, a phenomenon which corresponded to the progress of music therapy. The results that vocal music was more fovored than the instrumental music by mental patients contradicted the progress of the music therapy, apparently because of the impact of drug and the psychological state at that time. There was no tangible difference between ward by ward patients and healthy persons in respect to the musical activity, time and attitude of appreciation, and the ability to play musical instruments. Patients showed interests in music, and the appreciation occurred largely in the evening and late in night, when they were sedentary or in a lying position. They preferred listening to singing, chorus to solo. More than half of the patients lacked ability to play musical instruments, including guitar and piano. They showed a tendency to dance to the accompaniment of rhythmical melodies. Psychiatric patients showed lack of positive attitude, and revealed a rigidity compared with the other inpatients or normal persons. Thus viewed,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influence of music on psychiatric patients was significant.;최근 구미 선진국에서는 음악을 정신질환자의 치료에 활용하려는 음악요법이 큰 발전을 보이고 있으나 한국에서는 이방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논문은 음악과 치료와의 접근을 목적으로 한 정신질환자의 음악적반응에 대한 실험적 조사 연구 결과로서 1980.3.부터 1981.5까지의 15개월간에 걸쳐서 순천향의대 부속병원 정신과병동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매주 1시간씩의 음악요법의 결과보고이다. 이 연구에서는 이 환자들에 주어진 클래식 한국가곡, 동요, 찬송가, 대중가요등의 감상곡의 반응과 가창곡에 대한 반응의 결과를 종합하였고, 또한 이환자들과 비교하기 위하여 정신과와 타병과의 입원환자(산부인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및 건강한 일반인을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정신과의 입원환자 329명중 30명을 선정하여 본 논문의 대상으로 하였다. 정신과환자에게서 나타난 음악적반응은, 감상곡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적극적인 반응을 보였다. 전체적으로는 대중가요에 대한 반응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클래식, 한국가곡, 동요, 찬송가의 순으로 반응하였다. 이러한 감상활동후의 환자들의 동향은 비교적 안정되고, 음악을 듣고 싶어하는 경향이 엿보였었다. 가창활동에 있어서는 노래의 성질상 슬픈곡(Sad), 중간적인곡(Neutral), 쾌활한곡(Gay)으로 분류하였는데, 가창부문에서도 남자보다 여자가 높은 반응을 보여 주었다. 또한 이들은 쾌활한곡과 중간적인곡을 즐겨 부르며 슬픈곡은 전혀 접근조차 하지 않았다. 즉 쉬운 장조곡, 당김음이나 부점음등이 없이 한박자씩 진행되는 곡, 리드미칼하여 몸짓이 가미되는곡, 음역은 좁고 음의 도약이나 고음이 없이 진행되는곡, 멜로디가 가볍게 흐르는 곡, 감정표현이 담백한곡, 가사의 내용이 밝고 아름답고 추상적인곡등을 좋아하는 경향을 띄었다. 이상 감상활동과 가창활동을 비교해볼 때, 가창면에 아주 적극적인 태도로 임하였었다. 한편 질문지를 통한 정신과와 타과의 입원환자 및 건강한 일반인의 반응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정신과와 산부인과의 환자가 대중가요를 즐겼으며, 정형외과의 환자는 찬송가와 대중가요를 즐겼으며, 신경외과의 환자는 찬송가를 좋아하였다. 반면에, 건강한 일반인은 클래식을 좋아하는 경향을 보였다. 동요는 환자나 건강한 일반인 모두가 별로 즐기는 음악이 아닌 듯 하였다. 그리고 타과의 입원환자 및 건강한 일반인이 자발적으로 독창을 하고 싶은 마음이 있는 반면에, 정신과환자에게는 그런 경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은 음악시간 진행상의 결과와 동일하였다. 정신과환자가 성악보다 기악을 더 좋아한다는 결과는, 실제 음악시간 진행경과와는 상이하였는데 이는 아마 그당시의 약물의 효과나, 심리상태에 기인된 것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기타 음악의 활동면, 리듬감, 감상시간, 감상자세, 악기연주능력등에 있어서는 타과의 입원환자 및 건강한 일반인과 별차이가 없었다. 음악의 내용에 대한 관심도 보였으며, 감상시간은 주로 저녁과 밤을 택하였었고, 감상자세는 앉거나 누워서 했으며, 부르기 보다는 듣기를 좋아했고, 독창보다는 합창을 좋아했으며, 기타와 피아노등 악기를 연주할 능력은 과반수 이상이 없었다. 또 리드미칼한 곡에 대하여는 춤추고 싶은 경향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단지 정신과환자는 타과의 입원환자 및 건강한 일반인보다 적극성이 결여되고 경직된 면을 보여 주었다. 이상의 연구로 미루어 선행연구나 전문의등의 의견을 종합하여보면 음악이 환자에게 미치는 치료영향이 큼을 말해주고 있는데 아울러 우리나라에서도 이 방면에 적극적인 연구가 개발되어져야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와 목적 = 1 B. 연구문제의 진술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음악요법의 정의 및 영역 = 4 B. 음악요법의 사적고찰 = 5 C. 음악요법의 효과 = 7 D. 선행연구 = 9 E. 외국의 음악요법에 관한 단체 = 11 Ⅲ. 연구의 방법 = 12 A. 대상 = 12 B. 방법 및 도구 = 13 C. 제한점 = 15 Ⅳ. 결과 및 해석 = 16 A. 정신과 입원환자들의 감상반응 = 16 B. 정신과 입원환자들의 가창반응 = 20 C. 정신과 입원환자와 타병과 입원환자 및 건강한 일반인들과의 음악적 취향의 비교 = 26 Ⅴ. 결론 및 제언 = 33 A. 결론 = 33 B. 제언 = 36 參考文獻 = 37 부록 = 39 ABSTRACT = 4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199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환자-
dc.subject음악-
dc.subject반응조사-
dc.subject정신질환자-
dc.title환자들의 음악적 반응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정신질환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Experimental study on musical responses by mental patients-
dc.format.pageix, 4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81.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