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2 Download: 0

1930年代 女流作家의 作品 傾向 硏究

Title
1930年代 女流作家의 作品 傾向 硏究
Other Titles
Study of trend of 1930s' women writers' short stories
Authors
姜仁淑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Keywords
1930년대여류작가박화성강경애백신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우리나라의 女性들은 朝鮮朝까지 封建思想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에 社會 進出은 물론 小說을 쓴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었다. 그러나 甲午更張을 前後하여 基督敎가 傳來되었고 1886年 梨花學堂의 創設을 비롯하여 進明, 淑明등의 女學校의 開設로 女性 자신들의 近代的인 自覺과 覺醒의 門이 조금씩 열리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女流文人으로는 1920年代 先馭的인 세 女流로 金明淳, 金元周, 羅蕙錫등이 등장했으나 그 當時 社會의 몰이해로 한결같이 불우한 最後를 마쳤다. 그러나 30年代에 들어와 文學의 成熱期를 맞이하여 朴花城, 姜敬愛, 白信愛, 金末峰, 李善熙, 崔貞熙, 張德祚등 개인의 創作 活動에 의한 여류 作家들의 文壇 진출이 活發해졌으며 特히 朴花城, 姜敬愛, 白信愛 세 作家들은 作家로서의 뚜렷한 사명 의식을 갖고 創作에 임하여 뛰어난 作品을 남겼음에도 우리 文學史에서 정당한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女流作家 및 作品에 對한 硏究한 흔적이 그리 많지 않다. 따라서 이에 관한 연구자체가 큰 의의가 있다 하겠다. 이것이 本論을 提起하게된 첫째 理由이다. 30年代는 우리 歷史의 암흑기였다. 이러한 암흑시대에 그당시 우리 民衆이 지녔던 抵抗意識이 어떤 形態였는지의 細流들을 把握해 보고자 함이 둘째 理由이다. 세째 理由는 抗日告發文學의 旗手로서 30年代 우리 文學에 보태어준 소중한 文學的 價値를 追跡하여 그 결과가 微微한 것이 될지라도 文學史 정리에의 一助가 되었으면 하는 기대라 하겠다. 30年代는 우리 歷史上 日帝의 植民地라는 特殊한 時代로, 산다는 것은 生活이라고 할 수 없을 정도의 貧困속에 拘束 當하여 올바른 社會 價値觀이나 經濟 價値觀 내지는 論理的인 問題까지 疎外되어 가난한 우리 民族들로 하여금 頹廢的 生活觀까지 갖게된 時代였다. 이러한 時代에 文學人들은 앞을 다투어 西歐文學의 문예사조를 無秩序하게 받아들여 浪漫主義, 寫實主義, 自然主義, 象徵主義, 頹廢主義들이 한꺼번에 덮친 混同속에서 必然的인 歷史性 내지 傳統性의 缺如와 無批判的 受容으로 西歐의 文學 理論은 진정한 結實을 보지 못한 채 한 時代의 流行 思潮로 끝나버렸다. 1930年代에 들어와 女性의 社會 進出은 客觀的인 狀態의 改善은 가져왔으나 女性의 法的 社會的 地位를 크게 向上시키지는 못했으며 과거의 傳統的인 女性 論理觀이 그대로 남아 있어 당시의 女性이 한 社會人으로서의 獨立된 地位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女流作家들이 作品活動을 할 수 있던 社會的 地位도 別 差異가 없는 惡條件이었다. 그당시 日帝의 검열제도등 外部的인 많은 制約과 어려운 與件속에서도 우리 젊은이들의 希望과 期待가 文化 芸術 方面으로 凝固되어 鄕土性과 土俗性이 짙은 純粹文學 形態의 小說과 諷刺性이 濃厚한 小說이 主流를 이루었다. 그러나 세 女流作家들은 모두 作家로서의 뚜렷한 使命意識을 갖고 늘 祖國을 의식하며 民族의 再起를 염원하는 투철한 愛國志士들로 抵抗意識이 强한 作品들을 썼다. 물론 1930年代의 女流作家의 作品 傾向을 세 사람의 作品 몇편으로 論한다는 것이 큰 誤謬를 범할 가능성도 없지 않으나 本論文에서는 30年代 社會相과 生活相을 가장 적나라하게 파헤쳤고 日帝에의 투철한 抵抗意識과 民族意識을 보여준 朴花城의 作品 6篇과 姜敬愛의 作品 6篇, 白信愛의 作品 5篇의 中短篇을 硏究 對象으로 삼았다. 이들 세 女流作家의 作品에는 여러 形態의 抵抗意識이 나타나 있다. 이 抵抗意識을 抵抗의 對象 有無에 따라 抵抗하려는 태도의 화살이 자신의 深層을 向하여 있는 것을 內部的 抵抗으로, 加害者 또는 支配者의 만행을 糾彈하고 그들의 敗走만이 나를 구원시킬 것이라는 排他意識을 隨伴한 것을 外部的 抵抗으로 나누었다. 또한 抵抗의 行動의 有無에 따라 支配者 또는 富强者로 因한 被害意識, 祖國과 民族에 對한 사랑이나 燐憫의 民族意識 그리고 祖國의 未來觀을 展望하는 歷史意識등의 意識의 喚起만 있는 것을 意識的 抵抗으로, 反面에 被支配者 自身과 自身이 속한 集團을 復活시키거나 加害者나 支配者를 섬멸시키고자 하는 行動이 겉으로 드러난 實踐的 抵抗을 行動的 抵抗으로 나누었다. 이러한 細流의 抵抗意識을 中心으로 作品을 分析한 결과 그들의 作品에는 다음과 같은 傾向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첫째, 未來指向的 抵抗意識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둘째, 抵抗意識을 直說的 方法으로 表現하였다. 셋째, 女性의 自覺意識 現狀이 뚜렷이 나타났다. 1930年代는 日帝에 의해 政治的으로는 완전한 植民地 體制였고 經濟的으로는 철저한 수탈이 이루어졌던 가장 비참했던 民族의 受難期였으며 女子가 社會的으로 活動하기에는 많은 制約이 있었던 時代였다. 이러한 시기에 被支配民族이나 貧弱者의 劣等意識, 無氣力한 自我 또는 民族에 對한 嫌惡感으로 끝내지 않고 나아가 自身과 民族과 祖國 再起의 原動力으로 돌릴 수 있을 만큼의 深層的인 抵抗意識을 表現했던 1930年代 세 女流作家, 朴花城, 姜敬愛, 白信愛의 作家精神과 文學史的 價値는 높이 再評價되어야 한다.;In 1930s', It was the time that is very difficult to do social activities as women and we were under colonialism of Japan. At that time, those three writers named Park Wha Seong, Kang Kyeong Ae and Paek Shin Ae wrote their books with the definite vocation as writers. But their proper value is not still recognized in the literature. Especially those works of three writers reveal many kinds of revolutionary consciousness. and we can device this revolutionary consciousness into four types. First the counterpart of resistance is the writer himself. In this case it can be called the internal resistance, which means the internal perception of his own. Second, the counterpart of resistance is the other people. Third, there is a conscious resistance only with consciousness without any activity. Fourth, there is a behavial resistance with the activity which means practical resistance. As the result of such an analysis, we can pind the writing tendency of workers in 1930s' First, it reveals the future revolutionary consciousness. They expressed they fought for the future development. Their ideal was in the future. Second, it reveals the direct revolutionary consciousness. They expressed the revolutionary consciousness directly without any concealment. Third, it reveals the perception of women clearly as an individual. They expressed the rising consciousness of women as an individual and social being. Like the above, 1930s' was the period of difficulty of our people and was the time when women had a hard time doing social activities and writing novels. In those days, the three women writers did their best in their works to represent the will and desire of poor people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lower class and to criticize the colonialism of Japan at great risk. By doing this, they also contributed to our literature. So the re-evaluation of their value will be necessarily need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