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8 Download: 0

포도, 사과, 배 裁培地域의 變遷 (1960-1970)에 관한 地理學的 硏究

Title
포도, 사과, 배 裁培地域의 變遷 (1960-1970)에 관한 地理學的 硏究
Other Titles
(A) Geographical study on the changes(1960-1970) in farming regions of grapes, apples, and pears
Authors
張惠淑.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지리교육분야
Keywords
과수재배입지조건지리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n this study, I compared and analyzed the situations of grapes, apple and pears among various commercial vegetables, supposing that the distance to the markets is an important factor in locational conditions of commercial vegetables. The ai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how spread grapes, apples and pears spatially since they have been introduced into our country. Second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patial variations from 1960 to 1970. Third is to understand the variation of locational conditions investigating mainly grape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 used three kinds of method. They are book-study, analytical study on statistical data and camparative analysis of these fruits which were cultured throughout the whole country during the same period. In our country the modern and intentional culture of these fruits (grapes, apples and pears) began in the Tuksum Garden Laboratory trially in 1906, the large scale of enterprisal viticulture began to be used by Japanese in Pohang, Kyungsang-Buk-Do, and then the processing industry started at first after building a processing factory. Viti-culture spread over the regions where the land and the climate are favorable and where is also tourist resort area in the suburbs. Grapes were cultured in a part of Kyungsang-Nam-Do and Daejeon, culture region is gradually expanded according to the increasing demands since 1960. In the pattern of the distribution of 1970, we can see it was spread along the highways and then near the suburbs. In 1960 it showed the pattern of multi-core distribution centering around several main regions, while it changed into lineal distribution along the highways in 1970. The above result shows that the locational condition is limited by the distance to the markets of great cities owing to the particularity of grapes as commercial vegetables. Thus the development of traffic means has shortened the distance to the markets and as a result the viti-culture region spread. Apples are cultivated through all over the country and the se1ected breed was firstly introduced by a foreigner missionary in 1890. They has been mainly cultured in the mountains in Kyungsang-Buk-Do. and the central region is Daegu. The statistical number of the locational condition was the highest in Daegu in 1960, while the centralization appeared in Chungju in 1970. This is the pattern which viti-culture regions spread along the Taebaek Mountains, according not to market-centered conditions but to the favorable natural conditions. Pears were economically cultured by a Japanese in 1909. The culture pattern in more city-centered than apples and the culture regions spread more in 1960 than in 1970. It is also the pattern that the culture regions spread over along the highways chiefly and then field area. The central regions are Seoul, Jeonju, Pusan, etc., and specialization is lower than that of grapes. The locational condition of these three kinds of fruit is the result of the natural factors and the formation of Farming Mentality which is decided by the mutual combination of several agricultural products factors. Finally, when we consider the formation and spatial variation of the locational condition in agricultural regions, we can see that the distance to the mardet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view-point of natural factors and functional reg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highways and traffic means are also an important factor in the variation of agricultural regions.;本 硏究에서는 商品 作物의 立地에 있어서 대도시 市場과의 거리가 중요한 立地 要因이 될 것이라는 가정하에 果樹 作物中에서 포도, 사과, 배를 選擇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이 硏究의 目的은 첫째, 포도, 사고, 배 作物이 우리 나라에 傳播되어 어떻게 空間的으로 擴散되어 갔으며, 둘째, 1960年과 1970年 사이에 어떤 空間變化(Spatial Variation)를 가져 왔는가를 비교 분석하고, 셋째, 이들의 立地를 포도를 중심으로 立地 特性을 파악하는 것이다. 위의 문제를 解釋하기 위한 方法은 文獻 硏究, 統計 資料 分析을 통한 연구, 같은 기간동안 세 작물을 비교 분석하였다. 포도, 사과, 배가 우리 나라에선 현대적이고 계획적으로 栽培되기 시작한 것은 1906년 뚝섬 園藝 試驗場에서 시험 재배되기 시작하면서 부터이다. 포도의 경우 企業的으로 栽培되기 시작한 것은 경북 포항에서 日人에 의해 栽培되기 시작하면서 부터이며 加工 공장이 설립되어 최초의 가공이 시작되었다. 포도는 이 두 지역을 中心으로 土質과 氣候가 적합하고 都市 近郊의 관광지로도 兼할 수 있는 地域으로 확산되어 갔다. 특히 경남 일부 지역과 大田 地域 등지에서 재배되다가 1960年 이후 소비의 증가와 함께 재배지역의 공간적 확산이 나타난다. 1970年의 分布 Pattern을 보면 도로를 따라서 도시 주변으로 확산되어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1960年에는 몇 개의 中心地를 中心으로 多核 分散型이 나타나며, 1970年에는 이들 지역을 中心으로 도로를 따라 帶象으로 확산되어 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상품 作物로서 포도가 가지는 特殊性으로 인해 立地가 大都市 市場과의 거리에 의해 제한받는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교통 수단의 발달이 시장과의 거리를 단축시켜 포도 재배 지역의 확산을 가져 온 것이다. 사과는 우리 나라 전역에서 재배되며 개량된 품종이 처음 들어온 것은 1890年 외국의 선교사에 의해 재배되기 시작하여 주로 경상북도의 산간 지역에서 재배되고 중심지는 대구이다. 1960年의 입지 계수를 보면 대구가 높으나 1970年에는 충주에서 높은 집중을 볼 수 있다. 이는 사과 재배 지역이 태백 산맥의 산록을 따라 확산되어 간 형태로서 市場 지향의 Pattern이라기 보다는 自然條件이 적합한 지역으로 확산되어 간 것으로 보인다. 배는 1909年에 日人에 의해 경제적 재배가 이루어 졌으며, 재배 Pattern은 사과보다는 도시 지향적 Pattern의 형태를 볼 수 있고, 1960年보다는 1970年에 많은 확산을 가져왔는 데, 주로 도로를 중심으로 평야지대로 확산되어 간 형태이다. 중심지는 서울, 전주, 부산지역이며 득화도는 포도에 비하여 낮게 나타난다. 이러한 세 과수 작물의 立地 결정은 自然的 條件뿐만 아니라 農業 生産 要因 相互間의 結合에 의해 決定되는 Farming Mentality의 形成 결과라고 볼 수 있다. 結論的으로 農業 地域 立地의 形成 및 空間變化를 파악하는 데 있어서 自然的 條件뿐만 아니라 機能地域(functional region)的 입장에서 시장과의 거리가 중요한 條件이 되며, 도로의 발달과 교통 수단의 발달은 농업지역의 변화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