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李幸子-
dc.creator李幸子-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24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24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48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4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4800-
dc.description.abstract性的成熱의 早期化와 각종 性情報의 범람으로 靑少年의 성문제가 날이 갈수록 社會化 되고있는 現代社會에 있어서는, 특히 全人的인 人間을 育成함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도 性意識과 異性意識이 싹트는 幼兒때부터 性敎育이 꼭 必要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와같은 觀点에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幼稚園의 性敎育 現況을 파악 검토하여 유치원에서 이루어 질 수 있는 성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提供하는 데 그 目的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아동을 위한 性敎育의 必要性에 대하여 어머니 유치원 교사의 認識은 어떠한가? 2. 現在 우리나라 유치원 性敎育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3. 유치원 아동을 위한 性敎育에서 가르쳐야 할 내용은 무엇인가? 4. 유치원 아동을 위한 적절한 性敎育의 方法은 어떤것인가? 5. 유치원 교사와 어머니의 性知識 程度는 어떠한가? 이를 밝히기 위해 문헌연구와 질문지법을 사용하였고 서울시내 유치원 교사 229명 유치원 아동의 어머니 44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性敎育의 必要性 유치원에서의 성교육 필요성에 대해서는 교사는 94.7%로 거의가 긍정적 견해를 보이고 있으나 어머니는 63.9%였다. 부정적인 견해도 교사는 5.3% 어머니는 32.7%로 상당한 차이가 있었으며 어머니는 學歷別 意味있는 반응을 나타냈다. 유치원에서의 성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교사, 어머니의 반수 정도가 모두 그 연령에 따른 올바른 性知識을 주기 위해서라고 응답하여 성교육을 성지식 전달이라는 좁은 의미의 定義로 인식 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치원에서의 성교육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아직 시기적으로 빠르다고 인식하는 경우(교사 41.7% 어머니 44.7%)와 이 시기의 성교육이 유아에게 성에 대한 호기심만 불러 일으킬 위험성이 있기 때문이라고(교사 16.6%, 어머니 34.0%)응답하였다. 2. 幼稚園 性敎育 實施現況 성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하는 교사가 대부분(94.7%)이면서도 현재 실시하고 있는 교사는 41.9%, 실시하고 있지 않는 교사는 58.1%이다. 유치원에서 성교육을 실시하지 못한 근본적인 이유는 지도하는 교사 자신이 성교육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유치원 아동에 맞게 지도할 자신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에서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교사가 성교육을 다루고 있는 시간은 유아교육 활동시간중 유치원 생활전체를 통하여 다루는 경우(53.1%)와 관련된 단원을 통한 담화시간(33.3%)에 대부분 치중되어 있었다. 3. 性敎育의 內容 유치원 아동들이 교사나 어머니에게 가장 많이 하는 질문 즉 性에 關한 關心領域은 順位別로 아기의 出生, 아기의 起源, 어머니의 임신현상이었다. 유치원 아동의 성에 관련된 놀이 및 行動에서 보면 性에 대한 관심은 주로 유치원이나 가정에서 치마들치기, 소꿉놀이, 병원놀이였다. 유치원에서 성교육을 실시하게 될 경우 교사가 생각한 가장 적합한 영역은 身體 및 健康 發達領域(39.9%), 社會情緖, 發達領域(32.3%)이고 모든 발달영역(19.2%)에는 낮은율을 나타내었다. 4. 性敎育의 方法 性에 관한 질문에 대답하는 교사와 어머니의 태도는 幼兒의 正常的인 發達過程으로 理解하고 자세히 설명한 경우가 교사는 82.5%로 대부분이었고, 중·고졸의 학력을 가진 어머니는 49.8%, 대졸이상의 어머니는 59.2%로 학력별 의미있는 반응을 보였다. 유치원 아동이 性行動 및 性놀이를 할 때 성기만지기, 소변 멀리나가게 하기등의 性行動을 다른 行動으로 옮기도록 지도하거나, 소꿉놀이 병원놀이에는 그 놀이에 참가하여 올바르게 지도한 경우가 교사에게는 대부분으로 어머니보다 훨씬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유아들의 성에 대한 관심이 제일 많은 시기는 만 5∼6歲로 바로 유치원 다니는 기간이고 가정에서 성질문에 응답 해 주는 사람은 대부분이 어머니(75.1%)다. 가정에서 가르쳐 주지 않았는데도 알게된 성지식은 메스콤(44.9%)을 통한것이었고 교사의 역할은 5.6%밖에 되지 않았다. 현재 유치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성교육 자료는 敎材없이 말로만 하는 경우가 53.1%로 제일 많았다. 이는 유아성교육자료가 거의 없는 상태를 말해준다. 성교육을 실시한다면 교사들이 교실현장에서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할 자료는 유아용 성교육지도서였고, 2위가 슬라이드, 3위가 그림책이었다. 5. 性知識 程度와 習得方法 유치원교사가 유아성교육에 대하여 지식을 획득한 방법은 교사의 경우는 서적을 통하여, 어머니의 경우는 메스콤을 통한 경우가 주였다. 이 반응은 교사는 성교육을 학문으로 받아들여 연구하고, 어머니는 안일한 방법으로 성지식을 습득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유치원교사가 재교육을 위한 교사연수회에서 유아 성교육에 대한 강의를 받은 기회가 거의 없었다. (73.4%)고 응답했다. 이 현상은 성교육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이유로, 유치원에서 성교육을 실시 못하고 있다는 결과와 관계가 깊다고 본다. 本 硏究의 結果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提言을 하고자한다. 유아기에 性에 대한 關心이 가장 활발히 나타나는 시기는 유치원시기에 해당하는 만 5∼6歲때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아를 적절한 방향으로 지도하기 위한 성교육의 필요성은 대부분의 교사가 느끼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실시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교사들 스스로의 성지식 부족으로 성교육에 대한 자신감이 결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유치원 교사들에게 적절한 유아성교육 지도서를 제공함과 동시에, 유치원 교사 연수회등의 기회에 성교육에 대한 특별과정을 둔다면 상기한 문제해결에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유아 성교육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어머니가 상당수에 달하고 있어서 성교육 실시에 어려움을 예견케 하고는 있으나 성교육이 일상생활을 통한 人間敎育이라는 槪念을 심어주도록 어머니 교실 혹은 개인 상담을 통한 부모교육의 기회가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교사와 가정의 어머니만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메스콤의 영향이 큼을 감안 할때 가정 및 일반사회와 교육기관의 성교육이 조화있게 이루어지도록 메스콤이 성교육을 위해 담당할 분야와 그 정도에 관해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것이다.;국 영문초록 수록;Sex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stage is gradually considered necessary to help develop all-round personality from earlier stage especially in modern society where sex problems of younger generation have become a public nuisance mainly due to earlier sex maturity and uncontrolled spread of sexual information through various media. This study is to synthesize and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sex education in the kindergarten, and there-by contributing to provide fundamental data to improve the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especially in Kindergarten. This study was approached by bibliographical study and analysis of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was sent to 300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229 received, and 500 mothers of kindergarten children, 443 received. Criteria of synthesize and analysis in this study is set as follows. 1. Acknowledgement of necessity of sex education for kindergarten children 2. Present performance of sex education in kindergarten 3. Program of sex education for kindergarten children 4. Suitable method of sex education 5. Sex knowledg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Results obtain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s. 1. Acknowledgement of necessity of sex education for kindergarten children 94.7%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63.9% of mothers acknowledged the necessity of sex education in the kindergarten, while 5.3%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32.7% of mothers negatively responded. Response of mothers showed remarkable difference depending on their final education. Approximately half of both teachers and mothers who responded positively believe sex education is necessary to give right sex knowledge to their children suitable for age, which reveals most teachers and mothers understand sex education as simple transfer of sex knowledge. Those teachers and mothers negatively responded believe sex education is too early (41.7% of teachers, 44.7% of mothers) or sex education may cause their children unnecessary curiosity on sex (16.6% of teachers, 34% of mothers) 2. Present performance of sex education in kindergarten Most of kindergarten teachers (94.7%) admit the necessity of sex education in kindergarten, however, only 41.9% of teachers are actually practising sex education and remaining 58.1% are not. Fundamental reasons for those teachers not practising sex education are that they feel themselves lack of sex knowledge and eventually are not confident in giving proper sex education to children. Those teachers who practise sex education make use of entire course of kindergarten program for sex instruction (53.1%) or story telling method in accordance with related curriculum (33.3%). 3. Program of sex education for kindergarten children Kindergarten children's major interest in sex by frequency of their questions to teachers or mothers lies in the birth of baby, the origin of baby and mother's pregnancy. Children's major behaviours at home and kindergarten related to sex appear in their various plays and games. The most suitable area of sex education to be performed in the kindergarten is responded physical, health development (38.9%) socio-emotiona1 development (32.3%) and overall development (19.2%) 4. Suitable method of sex education Children's questions related to sex are detaily explained and answered with understanding of those questions as normal children's development by 82.5% of kindergarten teachers, 59.2% of college educated mothers, 49.8% of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ed mothers. Children's sex related abnormal behaviours or plays are properly leaded to normal behaviour by more teachers than mothers. Children's interest in sex appears to become high at the age of 5-6. Those who answers to the children's sex related questions at home are mostly mothers (75.1%). Those sex know1edges obtained by children outside home are through mass-media (44.9%) There is almost no sex textbook in kindergarten considering the fact that 53.1% of kindergarten teachers are using tell - tale method for sex education. Kindergarten teachers badly require textbook to be used for sex education and also audio-visual aids like slide films or illustratives. 5. Sex knowledg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mothers Most of kindergarten teachers got their sex knowledges through literatures, and mothers through mass-media. 73.4% of kindergarten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have any sex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stage at the teacher's retraining courses. This seems to cause improper practise of sex education in the kindergarten. 6.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by this study, following conclusive suggestions are made. To help kindergarten teachers have proper sex knowledges and lead children in proper way, a certain kind of textbook which can provide appropriate guideline for early childhood sex education would be very much useful and, at the same time, set up of a special course on sex education in teacher's retraining program would be another useful solution. For mothers,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more chances of attending at mother's class or personal discussion with teachers concerning sex education of their children so that they can convince themselves that sex education is a great part of all-round development and growth education for the children. Role of mass-media in sex education can not be overlooked, therefore, further study on the role of mass-media for their proper field to take part in and the range they should treat for sex education would be absolutely necessa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ⅵ Ⅰ. 緖論 = 1 A. 硏究의 趣旨 및 目的 = 1 B. 硏究問題 = 3 C. 用語의 定義 = 3 D. 硏究의 方法 및 節次 = 4 E. 硏究의 制限点 = 5 Ⅱ. 理論的 肯景 = 7 A. 性意識과 幼兒期 = 7 B. 性敎育의 重要性 = 12 C. 性敎育의 現況 = 19 Ⅲ. 結果 = 29 A. 性敎育의 必要性 = 29 B. 幼稚園 性敎育 實施 現況 = 35 C. 性敎育의 內容 = 38 D. 性敎育의 方法 = 42 E. 性知識 程度와 習得方法 = 52 Ⅳ. 結論 및 提言 = 55 A. 結論 = 55 B. 提言 = 58 參考文獻 = 60 附錄 = 63 -ABSTRACT- = 7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8470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유치원-
dc.subject아동-
dc.subject성교육-
dc.title幼稚園 兒童의 性敎育을 爲한 基礎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Basic study on sex education for kindergarten children-
dc.format.pageix,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학령전교육분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