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4 Download: 0

청각장애유아의 조기 언어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Title
청각장애유아의 조기 언어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early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the hearing impaired young children : Auditory speech training program
Authors
강순옥.
Issue Date
198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Keywords
청각장애언어교육조기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청각장애아에 대한 조기교육의 필요성은 (1)유아기가 학습면에서 결정적인 시기가 되며, (2)청각적 수용능력의 개발을 위한 조기보상(보청기착용과 체계적인 청능훈련)으로 발달지체를 경감시키고 언어습득을 자연스럽게 해 준다는 점에서 특히 강조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1∼3세의 청각장애유아를 위한 청능·발어훈련(Auditory-Speech Training)프로그램의 개발을 주 목적으로 하였다. 그 청능·발어훈련이란, 놀이적인 경험과 체계적인 음자극을 제공하여 음성언어를 수용하고 표현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이 훈련프로그램 시안을 한국구화학교 22명의 유아들(CA 1:8∼3:7 평균연령 CA 2:9)에게 19개월간(81.3.10∼82.9.30) 적용한 결과를 분석하므로 앞으로 개발되어야 할 청능·발어훈련 프로그램 작성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결과 분석은 영유아 언어발달평정척도를 도구로 본 프로그램 적용의 시발점(적용전), 진행점(적용 10개월 후), 및 종결점(적용 19개월 후)의 언어능력을 평점하므로 각 아동의 성장을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써, (1) 전 대상아동의 언어능력은 동일 연령 일반유아의 언어능력수준에 비하여 수용적 언어면에서는 프로그램 적용 전 8.37%에서 5.72%로 신장되었고, 표현적 언어면에서는 8.13%에서 47.9%로 신장되었다. (2) CA 2:6세 이하 아동집단의 언어발달은 CA2:7∼CA3:6세 아동집단에 비해 수용적 언어면에서 16.5%, 표현적 언어면에서는 1.7% 더 높은 성장을 보였고, CA 3:7세 이상의 아동집단보다 각각 14.1%, 4.8% 더 높은 성장을 보임으로 자연스런 청능·발어훈련 프로그램의 조기적용 효과를 입증했다. (3) 순음청력검사역치는 언어발달 성장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보청기를 착용한 역치는 그 손실이 적을수록 언어발달 성장률이 높았다. (4) 부모교육의 진행에 따라 형성된 부모의 태도가 아동의 언어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청각장애유아는 가능한 한 조기에 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보청기 착용과 부모의 적극적인 태도가 청각장애 유아의 성공적인 교육의 중요한 요인이 된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에 0∼1세 영유아를 위한 진단훈련 프로그램 및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부가하고, 또한 청각장애유아의 발달척도를 일반유아와 비교·분석하여 좀더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청능·발어훈련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The necess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has been emphasized for the reasons; (1) the period is very crucial for hearing, (2) by using a hearing aid and systematic auditory training, early compens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uditory-receptive ability could reduce the developmental gap and increase learning language naturally. Therefore, this study purported to develop an Auditory-Speech training program for young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ged one to three. The program was to train the residual hearing through play and auditory stimulation and to teach oral Expression. The Auditory-Speech training program has been applied to the 22 young hearing impaired child (CA 1:8-CA 3:7, average age 2:9) in HanKuck Oral School for the Deaf for 19 months (1981. March-1982. September).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language performance levels of the subjects in the program were measured with the Speech Developmental Scale of Infants at three different points, starting points, midway point (10 mos.), and terminal point (19 mos.) and compaired with hearing childre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 1) The expressive language performance level of the children's language improved from 8.1% to 43.9% and receptive language performance level from 6.1% to 51.6% after the program training. 2) The language growth of children below CA2:7 was 10.5% more in the expressive language performance and 16.5% more receptive language performance than that of the children between CA 2:7 and CA 3:7 ' it was 11.6% and 22.5% more in receptive area than that of the children above CA 3:7 3) The degree of hearing los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 to the language development, but the degree of aided hearing threshold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language growth, (Group of below 44dB>GP of 45-59dB> GP of 60dB or more). 4) The positive attitude of the parents with the hearing impaired toward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and their appropriate home training influenced the children's language performance growth. In conclusion,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young child is needed as earliestas possible. The Auditory-Speech training program adopted in this study is very effective to develop the hearing impaired young child's natural language. Also parent's understanding and involvement in the training could lead the education to a success. In order to develop a systematic Auditory-Speech training program, it is recommended to add a program for diagnosis, training, and parent education of the hearing impaired infant (CA 0-1) to the program (CA 1-3) presented in this study and also to research furthur the developmental differences between the hearing impaired and hearing infa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