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吉恩姬.-
dc.creator吉恩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1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1Z-
dc.date.issued1975-
dc.identifier.otherOAK-0000000325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63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2587-
dc.description.abstractThis project was researched as follows. A. Student's response. (a) One group(420 student)- researched students in this field. ⅰ. Composition. ⅱ. Dominance species. ⅲ. Community type. ⅳ. Environmental factor. (b) another group(350 student)- non-researched students. Only teacher's lacture in the class room. B. The results were follows : 1. There is usually difference of composition, dominance species, and community type in both vegetation along the environmental factor. 2. There is usually remarkable difference of the capacity of understanding this field between the researched student and non-researched students.;급진적으로 발전하는 과학은 많은 분야에 눈부신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과학교육은 관찰, 문제 제기, 가설 설정, 실험조사, 결론 둥의 다섯 단계를 거쳐 비로소 피교육차로 하여금 새로운 사실의 유도와 창의력을 발휘할 수가 있게하리라 믿는다. 이러한 관점에서 조사 자료외 부족은 참괸 과학 교육의 실천을 어렵게하는 실정인바, 우선 우리주변의 자연교재의 개척과 옳바른 활용이 시급함을 느껴왔었다. 이리하여 저자는 중2 과학 교과서(생물) P195에 나타난 "식물 군집 변화"의 소단원을 이해시키는데 있어서 우리 주변의 자연교재인 식물 군집 변화에 대한 기초 조사를 학생으로 하여금 실시케 하여 본 소단원에 대한 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게 된 것이다. 따라아 저자는 자연 교재의 식생학적 조사 연구가 학생으로 하여금 본 단원의 이해능력에 어떠한 효과를 가져오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조사는 서울 용산동에 있는 보성여중을 중심으로 하여 특성있는 20개 지역의 야초지 및 소사무숲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기간은 1914년 5월~8월까지 4회에 걸쳐 저자가 20개 초지식생과 3개 지소의 소나무 숲의 밀도를 조사하였으며 1975년 5월~8월까지 4회에 걸쳐 학생(420명)들의 야외 조사를 실시하였고 9월에는 조사학생,비조사학생(350명)을 비교하는 질문지 조사를 했다. 1974년 저자의 기초 조사에서 나타난 출현종수는 83종이었으며 적산우점도(SDR)로 본 우점종은 팽이밥, 질경이, 쇠비름, 잔디, 쑥, 방동사니, 토끼풀, 닭의장풀, 망초, 바늘골, 길뚝사초, 김의털, 진고사리, 버섯, 개비름, 바랭이, 솔이끼, 강아지풀 등의 18종이고 군락형을 팽이밥, 질경이, 쇠비름, 장디, 쑥, 개비름, 토끼풀, 닭의장풀, 망초, 바늘골, 방동사니, 김의털, 진고사리, 바랭이, 솔이끼, 길뚝사초, 강아지풀 등 17군락형으로 나타났다. 인간의 간섭을 많이 받는 곳의 식생은 황폐형이었다. 환경 요인으로 토양 산성도, 건습 상태, 방위, 경사도 등을 조사했다. 1975년 5월~8월까지 학생들의 야외 조사에서 종조성의 관찰이 30종이었고 밀도와 피도로 본 우점종 결정은 질경이, 팽이밥, 토끼풀, 닭의장풀, 망초, 담장이 덩굴, 잔디, 버섯, 바랭이, 쑥, 솔이끼 등의 11종이었다. 환경 조건으로는 음지, 양지, 방위 둥의 구별을 했다. 두 집단(조사자와 비조사자)의 본 단원에 대한 이해능력을 평가 질문지(문항 20개)를 사용하여 조사한 결과 정답의 전체 평균치외 비율은 84 : 67이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ⅴ Ⅰ. 緖論 = 1 Ⅱ. 調査地의 槪要 = 2 Ⅲ. 調査方法 = 4 Ⅳ. 結果 및 考察 = 5 Ⅴ. 結論 = 17 參考文獻 = 18 ABSTRACT = 1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304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과학교재-
dc.subject식물군집변화-
dc.subject기초조사-
dc.subject이해능력-
dc.title中2 科學敎材中 植物群集變化에 關한 基礎調査가 學生의 理解能力에 미치는 反應에 對하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apacity of understanding in relating to fundamental servey of "the changing of plant communities" among the science text book 2nd grade of middle school, in Korea-
dc.format.page2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생물교육분야-
dc.date.awarded197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