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6 Download: 0

장애아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대처 자원과의 관계

Title
장애아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대처 자원과의 관계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of Parenting Stress and Coping Resource in Parents of child with Disabilities : Focus on Parental Locus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Authors
김희수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Keywords
장애아 부모양육 스트레스대처 자원부모 통제소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장애아의 출생과 양육 부담은 장애아의 부모와 가족들에게 지속적이고도 감당하기 힘든 어려움을 경험하게 한다. 장애 아동과 그 가족과의 관계는 상호 순환적이어서 장애아동으로 인한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는 아동에게 영향을 미치게 되어 아동의 교육과 발달에까지 영향을 주게 된다. 이러한 가족 체제적 접근은 장애아의 양육과 교육에 최상의 도움을 주기 위하여 장애아 가족 전체가 서비스의 대상이 되어야 하며, 장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이해하고 그들의 적응과 대처를 돕는 것이 장애아동의 교육 못지않은 중요성을 지님을 제시하고 있다. 양육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대처 자원은 부모의 내적인 자원과 부모의 외적인 자원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내적인 자원은 양육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해 나가는 개인의 내적 특성으로 부모통제소와 자아존중감 등이고, 외적인 자원은 개인이 받고 있는 사회적 지원을 비롯하여 개인의 외적 요인을 포괄하는 사회적 환경을 일컫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대처 자원으로 : (1) 부모의 내적인 대처 자원으로는 부모통제소를: (2) 부모의 외적인 대처 자원으로는 사회적 지원을 독립변인으로 선정하여 장애아 부모의 부모통제소와 사회적 지원이 그의 양육스트레스와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를 조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 만 3-10세의 장애아 어머니 150명을 대상으로 네 가지 종류의 질문지: (1)어머니의 기초배경 조사지: (2)양육스트레스 척도(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Abidin, 1990); (3)부모통제소 척도 (Parental Locus of Control Scale, Campis, Lyman & Prentice-Dunn, 1986): (4)가족 지원 척도(Family Social Support, Dunst, Trivette & Jenkins, 1984)를 사용한 사회조사방법(survey method)을 그 연구방법으로 하였다. 질문지 회수율은 총 200명중 150명으로 75 %였으며, 자료처리는 SAS 프로그램을 통하여 부모통제소와 사회적지원이 양육스트레스와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하였고, 이 두 독립변인과 양육스트레스 간의 구체적인 관계분석을 위하여 내적통제소 집단과 외적통제소 집단의 양육스트레스의 차이와 사회적지원이 높은 집단과 사회적지원이 낮은 집단의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t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아 부모의 부모통제소가 양육스트레스와 유의하게 높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사회적지원은 양육스트레스와 상관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적통제소 집단이 외적통제소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양육스트레스 수준을 나타내었으나, 사회적지원이 높은 집단과 사회적지원이 낮은 집단은 양육스트레스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장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대처 자원으로서의 부모통제소 개념의 중요성 인식의 계기를 마련하고, 현행의 부모교육 프로그램 내용을 아동중심의 단순 정보 전달의 성향에서 부모 자신의 적응 문제로 관심을 확장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의의를 갖는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of parenting stress, parental locus of control and social support in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with four kinds of questionnaire : (1)Demographic information sheet, (2)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3)Parental Locus of Control Scale, (4)Family Social Support. The survey was sent to 200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response rate with mothers was 75%(150).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col looted data.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summerized as follows: 1. Parental locus of control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the level of mothers' parenting stress. 2. Social support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the level of mothers' parenting stress. In conclusion, the results mentioned above seem to suggest that traditional emphasis on parent involvement in decision-making and intervention has extended to parent-focused programs which should lead toward parent empowerm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