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9 Download: 0

서울市內 幼稚園 敎職의 專門性에 관한 硏究

Title
서울市內 幼稚園 敎職의 專門性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f Teaching Profession of Kindergarten
Authors
金賢敬.
Issue Date
198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학령전교육분야
Keywords
서울시내유치원교직전문성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oday, Kindergarten teachers are not enjoying their socioeconomic status in Korea. The quality of the kindergarten education depends upon that of the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 as a profession. This study is approached by bibliographical study and analysis of questionaire on the basis of profession criteria. The Questionaire was sent to 200 kindergarten teachers and 120 returned.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 was tested at the 0.05 level. About the criteria of profession, Lieberman suggested : Intellectual operation, unique essential social service, self organization, a broad range of autonomy, personal responsibility within the scope of professional autonomy, long period of training, ethical code, emphasis the social service than economic salary. Carr-Saunders pays : The profession may perhaps be defined as an occupation based upon specialized intellectual skill and training, the purpose of which is to supply skilled service or advice to others for a definite fee or salary. So, the criteria can be synthesized as follow; intellectual skill, social service, in service training, autonomy, professional organization, socio-economic status. The Result as follow; 1. A majority of teachers (93%) identified the purpose of education : however they felt difficulties in teaching process and evaluation. 2. Teacher themselves regard their occupatio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jobs that is related with national social development. Many teachers are trying to offer information for the children teaching to their parents through P.T.A. 3. Many of the teachers (90%) take in teacher's training courses, and they are helped in teaching skill. Most teachers (90%) take part in teachers training course and they apply some new instructional method which they learned from the courses to their job. 4. Some of teachers (40%) felt interference in teaching. The interfering persons to university graduate teachers are parents, and to junior college graduate teachers are their director. 5. Teachers need the strong political voice. 6. Kindergarten teacher belonging to the 15th socioeconomic ranking. As the conclusion, these suggestions are these; 1) The longer period of training, 2) high level of intellectual skill 3) perfect autonomy in teaching 4) further social service 5) strong political voice 6) high socio-economic ranking.;A. 硏究의 취지 및 目的 오늘날 세계의 政治的 理念과 制度, 경제적 또는 가족구조의 변화, 女性의 의식구조의 변화와, 사회참여, 아동발달에 대한 早期敎育 理論에 의하여 유치원 敎育의 重要性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이 重要한 시기의 敎育을 擔當하는 敎師의 질은 幼稚園 敎育의 질을 능가 하지 못한다. 이에 본 硏究는 幼稚園 敎職ms 전문직이 되어야 한다는 근거하에 專門職의 基準에 비추어 分析함으로써 우리나라 유치원 敎職이 전문직에 어느정도 접근하고 있는가를 밝히고 전문직에의 접근방향을 모색해 보자고 하는데 연구의 目的을 두었다. B. 硏究의 方法 本 硏究는 文獻硏究와 질문지법에 의한 조사연구에 의하여 遂行 되었다. 질문지는 서울市內 유치원 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하여 교직의 전문성 수준을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백분율에 의하여 처리했으며, 문항검증은 5% 수준에서 유의도 검증을 하였다. C. 理論的 배경 1. 幼兒期는 발달상의 중요한 특징을 갖는다. 이는 신체, 건강, 지능, 성격발달의 출발점이 되며, 후의 發達의 방향을 결정할 만큼 중요한 제기가 된다. 2. 現代의 敎職은 사랑, 봉사, 희생등의 특성이 요구되는 天職者가 아닌 專門性, 公共性, 勞動性의 特性을 갖는다. 3. 전문직의 槪念과 기준은 여러 학자마다 一致된 見解가 없다. 이에, 종합하여 6가지의 평가기준을 세웠다. 가. 知的 技術 나. 사회 기여 다. 현직교육 라. 자율성 마. 전문직 단체와 윤리강령 바. 사회, 경제적 지위 D. 硏究의 結果 1. 교육목적에 대하여는 전체교원의 93%가 인지하고 있으나, 兒童을 지도하고, 評價하는 技術面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프로그램 작성에 있어서는 교사본인이 창의적으로 참여하는 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사회기여-교사자신은 자신의 직업을 가장 「社會·國家發展에 關係된 重要한 職業」이라고 높게 評價하고 있으며 (1위), 兒童에 關聯된 정보를 학부모에게 어머니회(52%)의 형식을 통하여, 아동의 생활지도에 관한 내용을(55%) 제공하는데 95% 교원이 참여하고 있다. 3. 현직교육-교내외의 현직연수에 90%의 교원이 참여하고 있으며, 현직연수는 이론적인 면보다는 실기면에서(56%) 더 도움을 받고 있다고 반응하였다. 주로 강습회와 협의연구회에 많이 참여하고 있으며, 연수결과는 90% 교원이 현장에 適用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4. 자율성-兒童지도에 있어서 부당한 간섭을 받은 境遇가 41%이고, 간섭하는 인사는 대졸출신집단은 학부모, 전문학교와 초급대졸집단은 직장상사인 원장의 간섭을 많이 받고 있다. 주로 敎育方法, 兒童지도, 교재, 교구선택등, 교사의 자유성이 保護되어야 하는 영역에서 간섭을 받고 있다 5. 전문직 단체와 윤리강령-形式的으로만 存在하고 있으므로, 교원집단의 의사를 강력하게 대변할 수 있는 대변기관을 요구하고 있다. 윤리강령도 이 조직체를 통해서 作成되어야 하겠다. 6. 社會經濟的 지위-社會的 지위는 15개의 職業中에서 하위 (14위) 程度에 속하며, 經濟的 지위도 15개의 職業中에서 15위의 最下位집단에 속하고 있다. E. 結論 分析외 結果, 車門職의 基準에 미달되는 영역을 제시함으로써 專門職의 접근을 위한 방향제시가 될 것이다. 1. 교원 자격이 2년의 수업연한을 수료함으로써 제시되는, 專門職의 嚴格한 가격기준에 미달하고 있다. 2. 2년간의 교육연한으로는 교수과정上에서 要求되는 知的技術을 갖추기 힘들다는 점. 3. 학부모나 직장상사(원장·원감)로 부터의 부당한 간섭을 받고 있어 完金한 자율성이 保障되지 못한점. 4. 幼稚園 교직의 意見을 대변해 줄 실질적인 대변기관이 없다는점. 5. 社會的 지위는 他職業과 비교해 볼때 가장 낮은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점. 6. 經濟的 지위가 낮아(15위) 우수교원 유치하기에 어렵고, 敎職 安定에 가장 큰 위협이 되고 있다는 점등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