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金眞瓊.-
dc.creator金眞瓊.-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0Z-
dc.date.issued1981-
dc.identifier.otherOAK-0000000317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89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1779-
dc.description.abstract1. 연구의 필요성 본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아 교육대책에 근거가 되어 오던 종래의 이론과 그 특성을 달리하는, 발달적 접근이론에 대한 인식을 넓힘으로써, 정신지체아 교육에 새로운 지도 방향을 모색하며 또 이에 필요한 실증적 자료를 얻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피아제의 보존개념에 관한 과제를 이용하여 정신지체아동의 인지발달은 어떤 특성을 갖는가를 밝혀보려 하였으며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살피고자 하는 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문제 1〕 정신연령이 같은 정신지체아와 정상아는 보존과제 수행 수준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날 것인가? 〔문제 2〕 각 아동집단에서는 정신연령에 따라 보존과제 수행수준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날 것인가? 〔문제 3〕 각 아동집단에서는 과제유형에 따라 보존과제 수행수준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날 것인가? 〔문제 4〕 생활연령이 같은 정신지체아와 정상아는 보존과제 수행수준에서 어떠한 차이가 나타날 것인가? 〔문제 5〕 각 아동집단에서는 보존획득의 판정기준에 따라 보존과제 수행수준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날 것인가? 3. 연구의 절차 본 연구에서는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피험자를 아동유형별(정신지체아, 정상아) 정신연령별(5세, 7세, 9세) 생활연령별(9세, 10세, 11세)로 나누었으며 각 피험자 집단은 10명씩으로 전체 피험자 수는 90명이었다. 이들 피험자에게 피아제의 보존과제(수, 액체량, 무게 과제)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여 인지수행 수준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의 통계치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χ^(2)검증법을 사용하였다. 4. 연구의 결과 1) 정신지체집단은 정신연령이 같은 정상집단에 비해 수행수준이 현저하게 뒤떨어졌다. 2) 각 아동집단 모두, 정신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수행수준도 높아졌다. 3) 각 아동집단에서 과제유형에 따른 수행수준의 차이는 없었다 4) 정신지체집단은 생활연령이 같은 정상집단에 비해 수행수준이 현저하게 뒤떨어졌다. 5) 각 아동집단에서 보존획득의 판정기준에 따른 수행수준의 차이는 없었다.;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validity of the developmental theory and the difference theory of mental retardation. PROCEDURE : Familial retarded children(N=30) from three MA levels, 5, 7 and 9 years, were matched with normal children(N=60) for MA and CA, and given three kinds of tasks : conservation of number, continuous quantity(water) and weight. The χ^(2) test method were used to check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FINDINGS : 1.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 matched retarded and normal children in the performance of conservation tasks. 2. Both normal and retarded children performed conservation tasks better as MA was increased. 3. No significant task effect was found for both normal and retarded subjects. 4. The resul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A matched retarded and normal children in the performance of conservation tasks. 5. No significant conservation criterion effect was found for both normal and retarded subjec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문제 = 4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정신지체에 관한 정의 = 6 B. 정신지체에 관한 이론적 접근 = 9 C. 정신지체 연구를 위한 검사 = 23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31 A. 실험대상 = 31 B. 실험도구 = 33 C. 실험 절차 = 35 D. 판정 기준 = 41 E. 결과 처리 = 42 Ⅳ. 결과 = 43 Ⅴ. 논의 및 제언 = 51 A. 논의 = 51 B. 제언 = 57 참고문헌 = 58 부록 = 63 ABSTRACT = 6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026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정신지체아동-
dc.subject정신지체-
dc.subject인지발달-
dc.subject정신지체아교육-
dc.title精神遲滯兒童의 認知發達에 관한 一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MR Children's Cognitive Ability-
dc.format.pagevi, 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198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