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4 Download: 0

고등학생의 민주 시민성에 대한 연구

Title
고등학생의 민주 시민성에 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mocratic Citizenship of High School Students
Authors
김은지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Keywords
고등학생민주시민민주 시민성사회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oday, world economic is unified, and globalization is process to raise power to maximize economic profits in international specialization. As the world make progress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surprising amount of information rapidly change into productive, distributive, and spendable society. In addition, intellectual ability of human is required, and world is changed into knowledge-based society. This changes offer necessity to define again social education on new viewpoints. Among them, one is consideration about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Educations of democratic citizen have been the most important goal since social education is realized. The changes of 21st century society develop and enlarge characters of democratic citizen education into cultivating quality of world citizen. Therefore, current society requires attitudes of democratic citizen to judge rationally and solve the various social problems. To educate democratic citizenship, it is important to know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By this time, many people have studied democratic citizenship of students. But the study on the democratic citizenship of the va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can find nothing.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virtues of democratic citizen should be educated to the youth who will lead the civil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neate the basic compon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and to find out if there is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these components between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Existing literature on this topic generally suggest that there are four elem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internalization of basic democratic values; perception of democratic rules and procedures, rational decision making capability;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the social issues. 600 students in th general high school and 600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were samples for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28 questions categorizes in to 4 virtues mentioned above. Collected data through th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various statistical treatments such as frequency, percentage, cross-tabs, t-test, one-way ANOVA, and factor analysis. The result suggests the we question the validity of conventional wisdom, the shared four elem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There are questions for which the responses from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differ. But those differences don't systematically vary along the lines of the above four elements. This suggests that we may have to consider dimensions other than the conventional wisdom. A factor analysis of the same data reveals that there are basically two elem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One is service consciousness to others and behavior to practice public good. The other element represents internalization of the moral values which intend to honesty and order. This result quite closely correspond to the classical tension in democratic between awareness and behavior.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are on average higher on service consciousness to others and behavior to practice public good than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e can draw two arguments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One is that we may have to fundamentally reconsider the elem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It seems that we emphasis awareness and behavior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 other argument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is related with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cored lower tha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on first factor, service consciousness to others and behavior to practice public good. This fact suggests that we should be more concerned about social studies education in school type other than the general high school. S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must be intensified to cope with the problems, and school activity to practice public good is required.;오늘날 세계 경제는 통합되어 가고 있으며, 세계화는 이러한 세계 경제의 통합 추세 속에서 안과 밖의 모든 경제 자원을 최적으로 운용해 국제 분업에서 얻는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역량을 키워가는 과정이다. 세계화·정보화로 진행되면서 엄청난 양의 지식이 빠른 속도로 생산, 유통, 소비되는 사회로 변화되고 인간의 지적 능력이 과거 어느 때보다도 크게 요청되는 지식 기반 사회로 전환되고 있을 뿐 아니라 세계가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되면서 전 인류가 생활하고 있는 지역적 공간으로서의 지구촌이 형성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사회과 교육을 새로운 각도에서 재해석할 필요성을 제공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민주 시민 교육에 관한 고찰이다. 민주 시민 양성은 사회과 교육이 성립된 이래 지금까지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자리 매김해 왔다. 21세기 사회의 변화는 민주 시민 교육의 성격을 세계 시민의 자질을 함양시키는 것으로 확대·발전시켜 나가고 있다. 따라서 현재 우리 사회에서는 여러 사회 문제를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해결하려는 민주 시민으로서의 태도가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학생들에게 민주 시민성을 함양시키는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현재 학생들의 민주 시민성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초·중·고 학생들의 민주 시민성과 관련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많은 학자들이 제시하고 있는 민주 시민성의 실제 내면화 정도, 행동 영역별 민주 시민성과 인간의 발단 단계에 따른 민주 시민성에 대한 직접적인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므로, 고등학생의 민주 시민성을 측정해 보는 일은 매우 귀중한 가치를 지닌다 할 수 있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민주 시민성을 측정해봄으로 해서 복합적인 성격을 지닌 미래 사회의 훌륭한 시민의 기초 자질을 평가해 볼 수 있으며, 차후 민주 시민 교육을 위한 방향 설정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래 사회의 주역이 될 청소년들을 민주 시민으로 교육하기 위해서 필요한 민주 시민의 자질을 선정하고, 서울특별시 소재 인문계 남·녀 고등학교와 실업계 남·녀 고등학교 각각 한 곳을 선정하여 고등학교 1학년과 2학년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인문계 고등학생과 실업계 고등학생의 민주 시민성을 비교·평가해 보고자 한다. 사회과 교육의 근본 목표인 민주 시민성에 대한 측정 도구는 기존의 연구에서 사용된 민주 시민 덕목을 4가지-민주주의 기본 가치 인식, 민주적 질서와 절차 인식, 합리적인 의사 결정 능력, 실제 사회 참여-로 나누고 문항들 중에서 변별도와 내용 타당도가 높은 문항을 선별하여 총 28문항으로 재구성하였다. 조사 결과는 경우에 따라 단순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등을 이용하여 기술하였으며, T검정, One-Way ANOVA, 요인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해보면, 첫째로, 민주 시민성에 대한 기존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민주 시민성의 네 가지 덕목을 인문계 고등학생과 실업계 고등학생에게 적용해 본 결과 세부 문항별로는 차이가 있었으나, 민주 시민성의 각 차원별로 체계적인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둘째로, 민주 시민성을 구성하는 저변의 요인들을 발견하기 위해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가지의 요인을 찾아낼 수 있었다. 하나는 타인에 대한 봉사 활동과 공공선을 실천하는 자세이고, 다른 하나는 질서 의식과 정직한 마음을 지향하는 도덕적 가치를 내면화하는 자세이다. 셋째로, 앞에서 발견된 민주 시민성의 두 가지 요인 중 첫 번째 요인인 타인에 대한 봉사 활동과 공공선을 실천하는 자세에서 인문계 고등학생이 실업계 고등학생보다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점을 시사한다. 첫째, 기존에 받아 들여져온 민주 시민성의 개념을 재검토해볼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 의하면 기존 문헌들이 공통적으로 사용해 온 민주 시민성의 네 가지 구성 요소에서 체계적인 변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즉 기존의 민주 시민성의 네 가지 요인 보다는 행동과 의식으로 대변할 수 있는 두 개의 지배적인 요인이 있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인문계 고등학생과 실업계 고등학생 간에 있어서 요인 분석 결과 밝혀낸 요인 중 행동과 관련된 타인에 대한 봉사 활동과 공공선을 실천하는 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실업계 고등학생의 사회과 교육 및 교육 환경에 대한 재검토가 요청된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실업계 고등학생의 민주 시민성 교육이 타인의 봉사 활동과 공공선을 실천하는 행동의 측면에서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실업계 고등학생들에게 공공선을 실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타인을 위해 봉사하는 자세를 심어 주기 위해서 실업계 고등학교의 민주 시민 교육이 더욱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적극적인 학교 활동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