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8 Download: 0

초, 중,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내용 비교 분석

Title
초, 중,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내용 비교 분석
Other Titles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Contents of History Textbooks : Especially, between Ancient Times and the Middle Age
Authors
정혜경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역사교육분야
Keywords
고등학교국사 교과서고대중세초등학교중학교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현행 교육과정의 초·중·고등학교의 교과서를 함께 비교해 봄으로써 다음의 두가지 연구 목적을 이루어 보고자 한다. 첫째는 새롭게 개편된 초·중·고등학교의 교과서틀 종전의 舊 교과서와 비교 분석해 봄으로서 현행 교육 과정의 목표와 고과서의 내용선정이 적절한 조화를 이루고 있는지를 살펴 보고자 한다. 각 학교급별로 제 4차 교육과정의 국사과 목표와 계 5차 교육과정의 국사과 목표를 비교해 보면, 목표를 구성하는 체제는 종전의 그대로이나 그 내용에 있어서는 더 구체적이며 세밀하게 서술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급변하는 사회의 시대적인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인간상을 함양하기 위하여 自主人, 創造人, 道德人의 육성을 강조하면서, 또한 학년목표에서 학습자의 발달 수준을 고려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는 역사적 사실의 동일한 부분이 초·중·고등학교의 단계별로 구분된 교과서에서 각기 어떻게 전재되어 나가고 있는지를 고찰해 봄으로써, 하나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교육이 학생들의 성장에 따라 어떻게 認知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특히 국민학교의 경우는 이전까지의 시간 원근에 의한 통사교육의 틀을 과감히 벗고, 인물이나 사건을 중심으로 槪念化와 一般化를 지향하고있음을 살펴보았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서 본 연구는 종전의 舊교과서에 비하여 현행 교과서는 그동안 축적된 학문적 성과를 반영함은 물론이고, 실제적인 교육 현장에서 제기되어 왔던 문제점들에 대해서도 적극적으로 개선하려고 노력한 사실들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이러한 각 학교급별 국사 교과서의 비교 분석은 국사 교과서가 單一本으로 간행되는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더욱 교과서의 중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게 하는 것이므로, 앞으로 새로운 국사 교과서의 편찬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생각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following two points by comparing textbooks on history used in the primary school and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with old ones. The first point is to compare the contents of the newly reorganized History textbooks employed in the primary school and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with those of the old ones in order to know whether the object of the present educational courses and the selected contents are appropriate or not. Comparing the object of History textbooks in the fourth educational courses and the counterpart in the fifth educational courses in terms if each grade reveals that the systems constituing of the new object is same as before, while their contents are more concrete and detailed. In other words, more emphasis is laied on the nurture of man who is independent, creative, and moral, a new man who is able to meet the hiatorical need of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successfully, and the development level of learners is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object of each grade at the same time. The second point is to explore how a historical fact is organized to be recognized by students as they grow by reviewing the method by which same things in history are descrebed in the History textbooks which a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each level of the primary school and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respectively. Especially, the textbook employed in the primary school is carefully looked into to tell if it discards boldly the old synthetically educational frame which emphasizes the periodical times and embraces the conception and generalization which does the figures or events. In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e points said above show the efforts with which, seemingly, academical results accomplished and accumulated so far are more reflected in the textbooks to be newly published comparing to the old ones and, furthermore, any problem arising from the real educational fields is improved positively. Since such a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History Textbooks in the context of each grade makes feel keenly the importance of the textbooks, especially in our country where only a single text on history is published, this study is thought to be helpful in the compilation of the History books to be introduced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