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8 Download: 0

美군정기 『國史敎本』연구

Title
美군정기 『國史敎本』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NATIONAL HISTORY TEXTBOOK DURING THE PERIOD OF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 Comparison with Current National History of Middle school
Authors
金景美
Issue Date
199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역사교육분야
Keywords
미군정기국사교본중학교국사교과서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textbook with is one of the learning materials is occupying the center of curriculum materials, and the school teaching is depending on this absolutely also, Recent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textbook view, it is the actual state that the textbook centralism is being overcome. However, it is emerging that the influence which the textbook has on curriculum learning is larger than any other medium, by the study result. In this educational situation, it is question how much the request that the textbook must be composed so that it may be adequate to the development stage of student is being reflected on the real manufacturing stage of textbook.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how much the national history textbook of middle school is selecting the contents to consider the development stage and interest of students, by meeting this request. For this work, the author analyzed the 'National history textbook' and 'National history' which can be regarded as the first state textbook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The intention to make analysis was for studying which change has been in the textbook manufacture, while our curriculum has been undergoing the change process of several times, by finding the contents selection of two textbook of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s of structure. The conclusion which was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of textbook is that the discussion or the result of the study in the academic world is not being reflected on the manufacture stage of actual textbook largely Namely, it was that the apparent differences of standard of contents selection couldn't be found, in comparing the current textbook of national history or the textbook of national history before 44 years. But, it can be of no consequence through the contents which were selected from these two textbooks jointly are called as the basic elements that the national history textbook of middle school must include. The reason is because the contents which has been selected can be accepted as the meaning of core elements in the history curriculum, though the time of several years has been passed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up to now. The author intends to present making these common elements as the basic contents of the national history textbook and organizing and decribing them to be adequate to the development stage of history consciousness of students as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national history textbook in the future.;교과서란 교과 학습 활동에 활용되는 기본 교재이다. 그러므로 국사의 학문적 체계와 내용의 충실한 도입보다는 敎育課程의 精神을 받아 교육적으로 체계화되고 내용도 그에 맞게 선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국사 교과서는 史學界의 학문적 성과 및 연구 축적을 반영하고 있는 국사 개설서와도 그 성격을 달리해야 하는 것이다. 즉, 교과서는 그 體裁, 組織, 事實 선택 및 內容 서술 등 여러면에서 학습자의 認知 水準을 고려하여 편성, 제작되어야 하는 것이다. 근래엔 敎科書觀의 변화로 인하여 그 기본 방향이 聖典的 교과서에서 점차 학습의 기본 도구로서의 교과서로 이행되어 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하여 과거의 교과서 중심주의를 다소 극복하고 있기는 하나, 여전히 교과서는 敎育課程 자료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으며 학교 수업에의 의존도도 매우 높다고 하겠다. 이처럼 교과서는 학습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되기 때문에 보다 질 높은 교과서의 개발을 위해 보다 활발한 연구와 분석 작업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광복 후 현재까지 국사 교육이 실시되면서 사용된 국사 교과서들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광복 직후에 사용된 『歷史敎本』과 현행의 중학교 『국사』를 선정하였고, 광복 직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리의 국사 교과서의 모습이 얼마나 변모하여 왔는지 비교, 분석하였다. 본 분석을 통해 도달할 수 있었던 결론은, 두 교과서의 내용 선정과 조직상의 변화 정도가 광복 이후 현재까지 약 44년이란 시간이 지났음을 고려할 때 그리 큰 변화라고 볼 수 없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국사 교과서가 국정으로서 학문적 연구 내용의 포괄적 수렴이 불가능하며, 역사 인식의 경직성을 초래하고, 학자들이 교과서 집필을 기피하는 등 여러가지 문제를 내포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문제를 안고 있는 현행의 교과서 제도를 시정, 개선할 때, 보다 다양한 내용 선정과 자유로운 조직이 가능한 국사 교과서가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