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소현-
dc.creator조소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7Z-
dc.date.issued1999-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63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39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630-
dc.description.abstract연주가를 양성하는 음악대학의 시설 및 설비는 이제까지 계획에 의한 투자가 아니라 필요에 의해서 투자되어 왔다. 시설에 대한 기준이 확실치 않고, 또한 선행연구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이런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전 단계로 음악대학의 시설 및 설비에 대한 현황조사 또는 실태조사는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음악교육 시설의 개선 및 시설 투자를 유도하기 위하여 우리 나라 음악대학의 시설 및 설비 실태를 조사하고 바람직한 시설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시설 및 설비는 교육행정의 한 부분이다. 교육행정은 학습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학습환경과 여러 가지 물리적인 조건을 제공해주는 것이다. 교육시설 및 설비는 교육의 목적을 효과적·능률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설치한 학교의 물리적 환경을 총칭하는 것이다. 따라서 효과적인 음악교육을 위해서 교육시설은 매우 중요하다. 음악교육에 시설이 차지하는 비중은 일반적인 교육에서의 시설이 차지하는 비중보다 훨씬 크다. 왜냐하면 음악이 가지고 있는 특수성과 전문성 및 음악교육을 위한 시설의 종류가 다양하고 기준이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음악교육의 시설에 대한 투자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에 소재한 종합대학교에 속한 8개 음악대학을 방문하여 각 대학의 시설 및 설비들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그 실태를 조사하였다. 실태 조사 내용의 기준으로 참고한 것은 해롤드 기어데스(Harold p. Geerdes)의 저서인 Music Facilities: Building, Equipping, and Renovating에서 제시하는 학교음악 교육을 위한 시설기준과 설비기준이다. 음악대학의 시설 및 설비의 실태를 조사하는데 있어서 서양음악 전공 프로그램과 관련된 시설 및 설비에 대한 것만을 다루었다. 따라서 국악 또는 한국음악 관련학과의 시설과 설비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음악대학에서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22가지의 시설과 45가지의 설비로 분류하여 총 67개의 문항을 유/무와 수량 등으로 보유현황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말하는 시설이란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유도하기 위한 교육공간을 말하는데, 그 중에 특히 음악대학에서의 시설이란 기본시설이라고 할 수 있는 교수 레슨실, 연습실, 연주홀(Recital Hall), 음악감상실 등으로 제한하여 적용하였다. 음악대학에서의 설비란 음악 학습을 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건반악기, 현악기, 목관악기, 금관악기, 타악기와 현대 기계 장치로는 컴퓨터(Computers), 강의실의 녹음 재생 시스템(Classroom Playback Systems), 비디오 모니터와 스크린(Video Monitors and Screens) 등을 말하고 그밖에 중앙 냉난방 시스템, 엘리베이터 등의 음악교육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설비를 의미한다. 실태조사 결과, 거의 모든 음악대학의 교육시설은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시설과 설비만을 갖추었다. 대부분의 음악대학들은 기어데스가 제시하는 시설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시설이라고 할 수 있는 교수레슨실, 강사실, 강의실, 연습실 등 필수적으로 있어야 할 시설들을 모두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음악교육의 특수성을 살릴 수 있는 클래스 피아노실, 디지탈 피아노실, 합창실, 악기수리실 등은 음악대학들이 갖추고 있지 않았다. 또한 설비의 보유현황도 시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음악대학에서 가장 기본적이라고 할 수 있는 건반악기인 피아노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었다. 그밖에 현악기를 비롯한 목관악기, 금관악기, 타악기 및 전자 기계장치는 여러 종류의 필요한 설비가 있지만. 이러한 설비를 충분히 갖춘 대학은 거의 없었다. 또한 음악대학에서 보유하고 있는 숫자 및 종류와 보유하고 있지 않은 숫자 및 종류가 대학마다 차이가 있었으며 그 명칭도 달랐다. 음악교육 시설 및 설비에 대한 기준은 절실히 필요하다. 이런 기준에 의하여 시설 및 설비를 정비하고 투자한다면, 효율적이고 성공적인 음악교육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효율적인 음악교육을 위해서는 전문적인 음악 행정가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전문적인 음악 행정가의 양성은 반드시 필요하다. 이상과 같이 제시된 음악대학 시설 및 설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앞으로 우리 나라 음악대학의 음악교육을 위한 시설의 개선, 나아가서 시설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하여 바람직한 시설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Music facilities and equipment are very important for effective music education.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in music education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in other general education. Therefore, investment and study for music administration facilities are needed in music education. Investment in facilities and equipment of music at the college level where professional musicians are training has been accomplished by need. Since standards for facilities are. not made, and there has not been much studies on it, it is a mandatory course to conduct a research on the present state of facilities and equipment at the college level as a former step of setting these standards. Accordingly, this study has a purpose to provide standards by investigating the present condition of music facilities and equipment at the music colleges and suggest desirable standards for the improvement of music education and the promotion of investment in these area. School administrators provide learning environment and various physical conditions for successful learning. Educational facilities and equipments indicat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school for better learning of achieving goals efficiently. By visiting 8 music colleges in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he writer conducted a research on the present situation of facilities and equipment in each college through questionnaires. According to Music Facilities : Building, Equipping, and Renovating.(1987). written by Harold P. Geerdes.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s are divided into facilities and equipment thought to be basic in music college and they have 67 questions with yes/no and numbers. Facilities in this study menas educational space for inducing the effect of efficient educational program, and they are limited to the vere basics such as professor's studio, orchestral rehearsal room, practice room, recital hall, and listening room. Equipments in music college means teaching tools used for music learning and includes keyboard, stringed, Woodwind, brass, percussion instrument, and modern electronic devices such as computers, classroom playback systems, video monitors and screens, and other equipment for music education program supports such as central cooling / warming system and elevators. As the result of the study, many music colleges have very basic and essential facilities and equipment. However, many of them do not have choir rehearsal room, class piano room, and instrument repair room which spare peculiarities of music education. Also, the actual state of equipment shows that music colleges have pianos most. There are various kinds of equipment needed for string, woodwind, brass, percussion instruments and electronic devices, but few of the eight colleges have this equipment. Also, the number and kind of equipment is different in each college. A standards for music education facilities and equipment are very in need. Maintenance and investment in facilities and equipment following these standards will make effective and successful music education possible. It is hoped tha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music college facilities, equipments and improvement plans would help to supply the basic material for desirable facilities for the improvement and investment of facilities and equipment in the music colle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5 C. 연구의 제한점 = 5 D. 용어의 정의 = 6 Ⅱ. 교육시설 및 설비에 대한 개념 = 8 A. 교육시설 및 설비의 목적 = 9 B. 교육시설 및 설비의 특수성 = 10 C. 교육시설 및 설비의 요건 = 11 Ⅲ. 음악대학 시설 및 설비 = 17 A. 시설(facilities) 기준에 따른 분류 = 20 B. 설비(Equipment) 기준에 따른 분류 = 29 Ⅳ. 서울 소재 8개 종합대학의 음악대학 시설 및 설비 실태 조사 = 37 A. 시설 보유 현황 = 38 B. 설비 보유 현황 = 45 Ⅴ. 결론 및 제언 = 55 참고문헌 = 59 ABSTRACT = 62 부록 = 6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372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음악대학-
dc.subject시설-
dc.subject설비-
dc.subject서울-
dc.title음악대학 시설 및 설비에 대한 실태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 8개 음악대학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Quantitative Analysis on Music Facilities and Equipment at the College Level in Seoul Area-
dc.format.pageviii,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