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중학교 과학과 '대기와 물의 순환' 단원에 대한 평가 문항 분석 및 평가 실태 조사

Title
중학교 과학과 '대기와 물의 순환' 단원에 대한 평가 문항 분석 및 평가 실태 조사
Authors
정수임
Issue Date
199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지구과학교육전공
Keywords
중학교과학과지구과학평가문항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학교 현장의 평가 실태를 교사·학생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고, 중학교 '대기와 물의 순환'단원과 관련된 실제 평가 문항들을 내용, 행동, 상황의 '3차원적 평가틀'로 분석하여 과학과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인 지역 20개교의 중간과 기말고사 519문항을 내용, 행동, 상황 차원으로 분석하였고, 같은 지역 27개교의 교사 105명, 학생 3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교사 설문에서는 전반적 평가 실태, 과학과 목표 인식 및 견해, 평가 반영 요인이, 그리고 학생 설문에서는 과학학습과 방법, 총괄평가에 대한 인식이 조사되었다. 교사 설문의 전반적 평가 실태 조사에서 형성평가는 학습 활동의 과정 및 수단으로써 활용되고 있어 총괄평가와 선발에 치우친 평가 관행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식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총괄평가 문항 제작에 주로 이용되는 교과서와 문제집이 실생활 중심의 통합적 소재를 다룰 때, 현장 평가에 보다 적절한 문항을 개발할 수 있었다. 중학교 '대기와 물의 순환'단원의 현장 평가 문항이 '3차원적 평가틀'로 분석된 결과, 내용면에서 '기압과 바람'(22.1%), '우리나라의 날씨'(2.5%)와 같이 일부분에 치중하거나 소홀히 다루고 있어서 학생들에 의한 선택적인 학습을 유도할 가능성이 있다. 행동면에서 지식과 탐구가 비슷한 비율로 평가되고 있으나, 제시된 자료의 제한성으로 실제로 지식을 측정하는 문항이 많았다. 상황면에서는 평가 문항의 79.8%가 지구 상황에서 분석되어 실생활 소재 관련 문항의 비율이 상당히 적었다. 교사들의 과학과 목표 및 평가 인식이 과학학습에 반영된 실태를 설문조사한 결과, 교사들은 탐구 능력 배양과 과학적 기본 개념 및 자연 현상의 이해를 목표로 생각하고 있었으나, 이러한 목표는 평가와 연결되지 못하고 있었다. 설문조사한 결과, 평가에 대한 교사들의 선입견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한편, 학생들의 평가 인식을 알아보는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학교 평가에 대비한 과학학습 전략을 세워서 학습 방법을 선택하므로, 출제자는 학생들의 학습 방법의 개선을 위하여 평가 문항 제작 및 자료 개발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우리나라 과학과 학생 평가가 과거에 학생의 선발과 분류에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학습방법과 고차원적인 사고력을 증진하고 교육과정을 개선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위하여 현장 평가 개선의 필요성이 요구된다.;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of the education evaluation in science learning by both teacher and student questionnaires, and analyzes school questions based on the chapter -- 'circulation of Atmosphere and Water' utilizing three dimensional assessment framework in science education. The framework is composed of the content, behavior and context domain. 519 questions of the mid- term and final examinations from twenty schools in the Seoul and Kyongin regions have been analyzed by the framework. In addition, the investigation has been done by questionnaires to the 105 teachers and 346 students in the same regions. The teachers are required to respond to general current evaluation status, opinions about goals in science education, and factors affected on making question. The students have replied to their science learning and opinions on their examination. In the states survey, the formative evaluation is effectively used in the learning process, and contributed to get out of weighting summative evaluation and grading. Also, when the contents in the text and reference books include intergrated material for practical issues in our surroundings, school questions are found to be more appropriate. Analyzing school questions by three dimensional framework, in the aspect of content, some portions, for instance, 'Pressure and Wind', are too much emphasized(22.1%), but some other portions 'Our Weather' are almost neglected(2.5%). This result is lead students to selective learning. In the aspect of behavior, school questions have mainly emphasized on knowledge. In the aspects of context they have a small portion of real-world issues. In the survey of teachers' opinions about the educational goal and evaluation, they have principally considered understanding of nature, but have not applied the goal to the student evaluation for interaction of teachers' preconceptions. In the students' survey, students have had their own learning strategies for examinations and chosen their method of learning. Thus, teachers make more efforts of designing questions and developing learning items. Student evaluation in science has been mainly used as a tool of grading and the judgement of achievement. However, the improvement for school evaluation is required to promote advanced thinking and the method of learning, and for comprehensive curriculum including the feedback with evalu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구과학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