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류희정-
dc.creator류희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30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30Z-
dc.date.issued2001-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3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2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315-
dc.description.abstract교육과정의 변화는 사회적 여건이나 현대 과학 기술의 발달의 영향으로 계속 적인 변화를 겪어왔다. 단순한 지식의 습득이 아니라 필요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과정, 즉 탐구 활동을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을 요구하게된 것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탐구 활동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며 중요한 도구인 교과서의 탐구 활동을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제7차 중학교 과학 교과서 7종을 대상으로, 생물 영역의 탐구 활동을 분석하여 교사의 실제 수업에 도움을 주고, 학생들의 탐구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 스스로 문제 해결력과 창의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실험·관찰의 탐구 활동이 이미 형성된 개념과 새롭게 형성될 개념 사이에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Vee Diagram을 이용하여 각 단원에서 실험 별로 선택하여 분석해 보았다. 중학교 1학년 검인정 7종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검인정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의 생물 영역에서 각 교과서 별 탐구 활동의 내용이나 횟수는 비슷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주제 별 탐구 활동에서 배설에 관한 실험은 특정 교과서에만 나타나있어 각 교과서별로 다양하게 구성되어져야 할 것이다. 2. 검인정 7종 교과서 대부분이 실험 목적(focus question)과 지식주장(knowledge claim)이 맞지 않게 조직되어 있거나, 실험 목적이 탐구 내용보다 너무 광범위하게 나타나 있다. 따라서 각 실험에 맞는 적절한 실험 목적이 제시되어야 실험과정(event)을 통한 지식주장(knowledge claim)이 제대로 이루어질 것이다. 3. 학생들이 탐구 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실험 전에 충분한 사전지식(principle)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실험을 통해 알아낸 지식주장(knowledge claim)과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개념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The educational curriculum has been changed by social conditions and influence of development of todays science and technology. Therefore, the process of learning necessary knowledge teaching students investigation is required rather than learning simple knowledge. Learners already have background knowledge in their knowledge system, so they can harmonize them with new knowledge, finally they can make it meaningful study. In our research, we analyzed how research activities of experiment and observation, that are effective in improving problem-solving techniques and originality, interact between the established concepts and building-up concepts. The following is the analysis of 7 kinds of authorized textbooks of the first grade in middle school. 1. In biological area of science books following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each book has similar forms of details and number of experiment activities. But C textbook has less researching activities below average-, each textbook must be composed in proper rate. 2. Most of 7 kinds of authorized textbooks are not organized well in focus questions and knowledge claim, or they are wide-ranging. Therefore, suitable object must be shown in each experiment event to attain right knowledge claim through experiment event. 3. When students perform experiment, since there arent enough principles in textbooks, the interaction between principles and knowledge claim discovered by experiment isnt achieved effectively, and its also difficult to build up general idea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의 내용 = 2 C.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우리 나라의 교육 과정 = 4 1. 우리 나라의 교육과정의 변천 = 4 2. 제7차 과학과 교육 과정의 개정 방향 = 8 3. 제7차 교육 과정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 = 9 4. 제7차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중 생물교과 내용 = 10 B. 탐구학습 = 11 1. 탐구 및 탐구학습의 정의 = 11 2. 탐구 학습의 장·단점 = 13 C. Vee Diagram = 13 1. Gowin의 Vee Diagram 개발 = 13 2. Vee Diagram의 구성 = 15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19 A. 연구 자료 = 19 B. 연구 방법 = 19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1 A. 생물단원에서의 실험·관찰의 구성 = 21 B. 제7차 검인정 교과서 별 Vee Diagram에 의한 실험·관찰의 분석 = 28 1.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실험 = 28 2. 세포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관찰 = 38 3. 영양소의 검출에 대한 실험 = 51 4. 침의 작용에 대한 실험 = 60 5. 혈액 속의 혈구 관찰 실험 = 68 6. 호흡 운등에 관한 실험 = 78 7. 배설에 관한 실험 = 89 Ⅴ. 결론 및 제언 = 91 참고문헌 = 93 abstract =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8394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Vee Diagram-
dc.subject제7차 교육과정-
dc.subject과학 교과서-
dc.subject중학교 1학년-
dc.titleVee Diagram을 이용한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 탐구 활동 비교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생물 영역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of the Middle School one Science Textbook by Using Vee Diagram : Biology field-
dc.format.pageix, 9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생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