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성희-
dc.creator이성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13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13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99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19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991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structures of urban unit content in primary, junior and high school geography textbooks. It is also to search for the changes in urban unit contents by comparing the textbooks of high schools geography which were published in 1968 and 1979. The last purpose is to compare the urban unit contents in a high school geography textbook which is now being used with urban geography books. It will be used in studing what is needed to be newly added in the contents of urban unit in high school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s(1963, 1975), geography textbook(1968-83), the atlas for students(1968-83) are used in this study. Contents of textbooks in high school are compared with those of 6 urban geography books, and analyzed in terms of content, structure, geographic terms, names of places, illustrations including graphs and maps. The resul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high school, urban geography units and atlas(1979-83) are compared with those in old ones (1968-78). It is significant that urban units of new books are increasing in volume. That is to say, internal structure, regional differentiation, central place theory are newly dealt with, while urban distribution and location are reduced. This fact reflects a progressive trend of recent urban geography. 2. The contents which should be newly added in high school geography textbooks are population and traffic problems in urban area. 3. Form primary school geography textbooks to high school ones, geographic terms, case study and names of places are loosely related with each other. But systemic contents of nation and human geography in high school are organized similarly and the contents of 3rd grade primary school geography textbook systemic in dealing with city function so they are well connected The contents of 4th grade primary school geography textbook and those of junior high school are related, for Korean cities are dealt in regional geography. 4. As is formerly described, in 4th and 1st grade of primary and junior high school geography textbooks, most of urban study is achieved in regional geography part. So frequency of names of places is higher than that in any other step. Especi ally in junior high school geography textbooks, systemic approach on urban study are relatively low compared with that in the other geography textbooks.;都市가 成長하고 都市人口가 증가됨에 따라 도시는 重要한 人間活動의 무대가 됨과 동시에 많은 새로운 現象의 出現과 함께 다양한 問題를 지니게 되어 도시에 대한 地理敎育도 重要性을 띠게 되었다. 이에 本 硏究는 우리나라 도시에 대한 지리교육의 現況을 把握하기 위해 現在 初·中·高校에서 쓰여지는 地理敎科書의 都市部分을 검토하여 그 構成과 각 단계별 連繫性 등을 살펴보고 또 現·舊敎科書 및 社會科附圖를 比較, 그 變化의 方向을 알아보며 이를 평가하여 보다 바람직한 都市 地理 敎育의 內容을 설정하고자 함을 目的으로 한다. 硏究方法 및 資料는 現 初·中·高校 地理敎科書 7권과 社會科附圖 5권, 舊 敎科書 10권, 社會科附圖 6권 등이며 그 외에 國內外 都市 地理學 專門書籍 6권이 分析 對象이 되었고 이들 資料는 必要한 項目에 따라 분석·정리된 후 대부분 표로 요약되었다. 本 硏究過程에서 現 地理敎科書와 社會科附圖는 前에 比해 그 量과 比重은 물론 用語·地名·事例面에서 풍부해졌으며 內容에서는 理論 中心的이고 具體的 事實에 근거한 最近 都市 地理學의 흐름을 反映하고 있다는 사실이 나타났다. 또 現 국민학교 3학년의 都市單元과 고등학교 단계는 系統的인 점에서, 국민학교 4학년과 중학교는 地誌中心的인 입장이라는 점에서 相互 연결되고 있다. 地名에 있어서 국민학교 4학년과 중학교 과정에서 過多하다고 판단될 만큼 급증하는 現象을 보인다. 위에서 언급한 本 硏究의 目的에 비추어 結論을 요약하면 첫째, 우리의 都市 地理 敎育 內容과 連繫性의 경우 국민학교 3학년에서 처음 도시가 소개되고 4학년에서 실제 우리의 都市名과 位置가 학습되며 이는 중학교 단계까지 연결되어 도시를 대부분 地方 地理內에서 취급하게 되어있으나 고등학교에서는 도시가 體系的이고 理論的으로 다루어져 都市 地理學의 主要內容이 대부분 언급되므로 중학교와 고등학교 간의 정도에 큰 差異가 나타난다. 또 초·중·고교간의 체계적인 連繫性 與否를 확인할 만한 증거를 찾지 못하였다. 중학교가 중학교육과정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은 주지의 사실이나 都市單元에서는 都市에 대한 중점적인 槪念導入이 미비하므로 이에 대한 補完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둘째, 都市 地理 敎育 內容의 變化를 人文系 高校 中心으로 보면 舊 敎科書 및 社會科附圖에 비해 현재 사용중인 것은 그 量과 內容이 풍부해졌고, 특히 內容에 있어서 都市의 分布·立地部分이 간결해지는 반면에 內部構造·地域分化·中心地理論 등이 새롭게 도입되어 最近 都市地理學의 發達方向과 一致된다고 보아 그 變化는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現 敎科書 內容에는 都市 地理學의 全 內容이 反映되었으나 都市人口問題 및 交通問題가 現 敎科書에서 취급되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補完이 必要하다고 생각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 ⅶ Ⅰ. 序論 = 1 A. 硏究目的 = 1 B. 硏究方法과 資料 = 1 Ⅱ. 本論 = 3 A. 敎育課程의 變遷과 主要 地理 槪念 = 3 1. 敎育課程의 變遷 = 3 2. 都市部分에서의 地理學의 主要 槪念 = 3 B. 初ㆍ中ㆍ高校 現 敎料書 都市部分 內容分析 = 4 1. 初ㆍ中ㆍ高敎 現 敎料書 都市部分 內容分析 = 4 2. 杜會科附圖의 都市部分 內容分析 = 12 C. 初ㆍ中ㆍ高校 現 地理 敎科書 都市部分間의 連繫性 = 16 1. 初ㆍ中ㆍ高敎 都市部分의 分野 (系統ㆍ地誌)別 分析 = 16 2 . 初ㆍ中ㆍ高敎 都市部分 項目別 分析 = 17 D. 敎育課程의 變遷에 의한 現ㆍ舊 敎科書 都市單元의 內容變化 = 18 1. 現ㆍ舊 都市單元 敎育目標 比較 = 18 2. 現ㆍ舊 敎科書 都市單元의 內容比較 = 19 3. 現ㆍ舊 杜會科附圖의 都市部分 內容比較 = 23 4. 都市 地理學의 學問的인 內容과 現 敎科書 都市單元 內容間의 比較 = 28 Ⅲ. 結論 = 30 참고문헌 = 34 ABSTRACT = 38 附錄 = 4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066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초중고등학교-
dc.subject지리교과서-
dc.subject도시단원-
dc.subject지리교육-
dc.title初·中·高等學校 地理 敎科書의 分析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都市單元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Geography Textbook and Manuals of Primary School, Junior High School and High School : A Case of Urban Unit-
dc.format.pageviii,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회과교육전공지리교육분야-
dc.date.awarded198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지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