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민주적인 경험이 시민성의 태도 및 실천 영역에 미치는 영향

Title
민주적인 경험이 시민성의 태도 및 실천 영역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Citizenship with Attitude and Practice upon the Democratic Experiences
Authors
류혜영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Democracy is one of the most idealistic, admirable philosophies and systems, and ways of life. Therefore, each citizen who form community should have fine qualities of democratic citizen in order to realize democracy in their actual life and these can be attained by education. The education can be spreaded with schools, homes, and the mass media; we can never emphasize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 enough because it is very important. Thus it is the social studies that is aiming at citizenship education to develop citizenship. However, the existing social studies has not fostered the citizens who have all the qualities such as knowledge, value, attitude and practice but those who lean toward only knowledge part. It should cultivate the citizens who can adapt themselves and cope with social changes actively and who can have abilities in decision-making that can make them be able to judge and find solutions to social problems. In order to settle these problems the education in social studies has suggested various kinds of solutions and one of them is Active Learning that has developing students' citizenship for its object by providing democratic experiences.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verify Active Learning's importance and effects on the realizing of attitude and practice among qualities of citizenship that provides democratic experiences other than knowledge-focused education for citizenship education and its instillment. Its importance will be examined and based on the effectiveness of Active Learning. In order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this thesis analyzed tenth grade's social studies textbook and drew five subordinates(participation, economics, democratic attitude, the dignity of man and the protection of the weak, globalization and environmentalism). Based on these five items, I made a survey of eleventh graders who had already received citizenship education. The questions fall into several divisions which are knowledge, value, attitude and practice part. This survey is to know the changes of five subordinates of citizenship that are affected by especially whether students have democratic experiences or not. Collected data are analyzed with SPSS WIN 2.0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escribed using frequency analysis, a percentage, averages and the standard deviation according to the studies. I also use T-Test, One Way Anova to analyz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citizenship. In short, first, when citizenship education is divided into knowledge, value, attitude and practice parts, knowledge part's score is 73.06, value part is 65.25, attitude and practice part is 64 out of a possible 100. Therefore, the education in knowledge part is relatively effective, but value, attitude and practice parts are insufficient in comparison with knowledge part. Second, among the elements that influence citizenship education, students' grade and where they live are meaningful statistically(p<.05), but gender and whether students choose social studies as their intensive courses are not. I can prove that particularly the higher their grades are, the more positive responses to attitude and practice part as well as knowledge part they make. Third, the results about the influence of whether they have democratic experiences over on attitude and practice part which is insufficient shows that those who have democratic experiences respond very positively compared with those who do not. Besides,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eacher-guided politics(the comparison of pledges of candidates in a local election) responded very positively in citizenship's five subordinates(participation, economics, democratic attitude, the dignity of man and the protection of the weak, globalization and environmentalism) and produced a meaningful statistics(p<.05, p<.01, P<.001). Same results were deduced from the limited number of students from U High School which I am employed at present. This is the important fact that Active Learning which provides democratic experiences can improve the weak part of citizenship that is attitude and practice. According to the results, I can figure out that democratic experiences can cultivate attitude and practice part among the qualities of citizenship and using Active Learning which provides democratic experiences is desirable in order to harmonize all the qualities of citizenship. Thus we should present students citizenship education using Active Learning which provides democratic experiences to develop their citizenship in a positive and harmonious way. This idea is able to assume various kinds of forms such as in-school or out-school activities, indoor or outdoor activities, regular or irregular classes, the activities require students' high or low participation, and high-level or simple, low-level activities. By using these activities we should not educate students under the existing exam-oriented teaching environments but we should educate our students to be able to have democratic and active experiences in their real life. Then they will improve their qualities of democratic citizenship including reasonable decision-making abilities and eventually they will contribute to the social growth.;민주주의는 인간이 만든 문명 중에서 가장 이상적이고 바람직한 이념이고 제도이며 생활양식이다. 따라서 이러한 민주주의가 제대로 생활 속에서 실현되려면 사회를 구성하는 시민 하나하나가 민주시민의 자질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러한 민주시민은 교육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교육은 학교, 가정, 매스미디어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학교에서의 시민성 교육은 매우 중요하여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시민성 교육을 교과의 목표로 하여 존재하고 있는 교과가 바로 사회과이다. 그러나 사회과는 사회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하고 대처하며 사회 문제에 대해 합리적으로 판단하고 해결하려는 의사결정능력을 가진 시민을 양성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사회과는 시민성의 지식 영역, 가치 영역, 태도 및 실천 영역을 고루 갖춘 균형있는 시민을 기르지 못하고 지식 측면에 치우친 시민을 길러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사회과교육에서는 여러 가지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학생들에게 민주적인 경험을 제공하여 학생들의 시민성을 함양하고자 하는 활동중심학습(Active Learning)이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은 시민성 교육과 그것을 내재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지식 중심의 교육 이외의 민주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활동중심학습(Active Learning)이 시민성의 영역 중 태도 및 실천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및 검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활동중심학습(Active Learning)의 중요성을 검토해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 본 논문은 먼저 고등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를 분석하여 시민성을 5가지(참여의식, 경제의식, 민주적인 태도, 인간의 존엄성 및 약자에 대한 보호, 세계화 및 환경의식) 하위 영역으로 추출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지금 현재 고등학교에서 시민교육을 경험한 수도권의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시민교육에 대한 내용을 설문조사 하였다. 설문의 내용은 시민성을 지식영역, 가치영역, 태도 및 실천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특히 민주적인 경험 여부에 따라 시민성에 미치는 영향을 5가지 하위영역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도록 설문을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설문의 결과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백분위, 평균과 표준편차 등을 이용하여 기술하였으며, 시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T-test,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시민교육의 영역을 지식, 가치, 태도 및 실천 영역으로 나누어 그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면, 시민교육의 지식 영역의 평균 점수는 73.06점이고, 가치 영역의 평균 점수는 65.25점, 태도 및 실천 영역의 점수는 64점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따라서 지식 영역의 교육 효과는 어느 정도 있다고 할 수 있으나, 가치 영역과 태도 및 실천 영역은 지식 영역과 비교하여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시민교육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성적, 지역, 성별, 사회과 심화선택과목의 선택 유무 등 여러 가지로 조사해 본 결과, 성적과 지역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으나(p<.05), 성별과 사회과 심화선택과목의 선택 유무는 통계적으로 그리 큰 의미가 없음이 나타났다. 특히 성적이 높을수록 지식 영역뿐만 아니라 태도 및 실천 영역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민주적인 경험 여부가 시민성 영역의 취약한 부분인 태도 및 실천 영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결과는, 민주적인 경험이 있는 학생이 민주적인 경험이 없는 학생과 비교하여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으며, 또한 학교 선생님의 지도로 정치 참여(지방 선거에서의 후보자의 공약 비교 경험)를 한 경우는 시민성의 5가지 하위 영역(참여의식, 경제의식, 민주적인 태도, 인간의 존엄성과 약자에 대한 보호, 세계화와 환경의식)에 있어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p<.05, p<.01, p<.001). 또한 연구자 본인이 근무하는 U고등학교 학생들로 한정시킨 결과에 의해서도 긍정적인 반응과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민주적인 경험을 제공하는 활동중심학습(Active Learning)이 시민성의 취약한 영역인 태도 및 실천 영역의 시민성을 함양하는 중요한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민주적인 경험이 시민성의 영역 중 태도 및 실천 영역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시민성의 지식, 가치, 태도 및 실천 영역이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민주적인 경험을 학생들에게 제공해주는 활동중심학습(Active Learning)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시민성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조화롭게 발달하기 위하여 민주적인 경험을 제공해 주는 활동중심학습(Active Learning)을 활용한 시민교육방안을 학생들에게 제시해 주어야 한다. 이 방안은 크게 학교 내 활동과 학교 외 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외 실내 활동과 실외 활동, 정규 수업과 비정규 수업, 학생의 활동 정도가 높은 방법과 낮은 방법, 그리고 복잡하고 난이도가 높은 활동과 단순하고 난이도 낮은 활동으로 구분하여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활용하여 기존의 입시 위주의 교육환경 및 제도 하에서 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 사회에서 민주적이고 능동적인 경험과 체험을 할 수 있는 학생으로 교육하여, 합리적 의사결정을 비롯한 민주 시민의 자질을 키우고 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