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8 Download: 0

중학생의 성별과 공격성 유형에 따른 자기애 및 지배성의 차이

Title
중학생의 성별과 공격성 유형에 따른 자기애 및 지배성의 차이
Other Titles
Comparing and Contrasting Middle School Students' Narcissistic Propensity and Dominance Depending On Gender Differences and Aggression Type
Authors
장유진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최근 사회적인 문제가 되고 있는 청소년들의 공격성을 표현 양식에 따라 외현적 공격성과 관계지향 공격성, 외현적·관계지향 공격성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나타나는 공격성 유형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각 공격성 유형에 따라 자기애와 지배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3개 중학교의 2학년 남학생 234명, 여학생 193명으로 총 427명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을 공격성 유형에 따라 구분하기 위해 이경희(1998)가 번안, 수정한 Crick(1995)의 공격성 척도를 사용하여 유형별 공격성 점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자기애의 측정은 자기보고형 검사로 개발한 척도 중 자기애적 성격장애에 관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지배성을 측정하기 위해 변창진, 진위교가 중앙 적성연구소에서 제작한 성격진단검사 문항 중 지배성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박정민(1998)이 제작한 것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응답자의 성별에 따른 공격성 유형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p)를 실시하고, 응답자의 성별과 공격성향에 따른 자기애와 지배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차이 검증인 t검증(t-test)와 이원변량분석(Two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격성 유형 중 외현적·관계지향적 공격성향 또는 외현적 공격성향은 주로 남학생에게 많이 나타났다. 반면 여학생의 경우 남학생에 비해 전체적인 공격성 점수는 낮은 편이나 타 유형에 비해 관계지향 공격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자기애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공격성 유형에 따라 주로 관계지향적 공격성을 나타내는 집단이 외현적 공격성집단과 비공격적 집단에 비하여 자기애 성향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외현적·관계지향적 공격성 집단이 비공격적 집단에 비해 자기애 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성별에 따른 지배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공격성 유형에 따라 외현적· 관계지향적 공격성을 나타내는 집단은 외현적 공격집단과 비공격적 집단에 비하여 지배성이 높게 나타났다.;In this study, aggression of teenagers which is making an issue these days is divided into overt aggress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according to manners of their presentation.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contrasts of aggression type related to gender differences and whether aggression type influences on narcissistic propensity and dominanc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are 427 students, 234 second grade boy students and 193 second grade girl students from three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Kyoungki Provice. In the research, Crick's aggression gauge, translated and modified by Lee Kyoung Hee, was used to classify the subjects according to aggression type and to calculate the aggression score. Among gauges for self-report inventory, a gauge for narcissistic character disorder was used to measure the narcissistic propensity. Among personality inventory questions, developed by Byoun Chang Jin and Jin Wi Gyo in ChungAng Aptitude Institution, personality inventory about dominance was used to measure the dominance. (p)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ap of groups related to respondents' gender differences and T-test and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narcissistic propensity and dominance of respondents. This research is summed up by followings. First, much more boys show overt aggress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than girls. In contrast, girls generally show low aggression compared to boys but they present higher relational aggression than boys. Second, dramatic differences of narcissistic propensity are not presented related to gender differences. But a group with relational aggression shows higher narcissistic propensity than one with overt aggression. Third, similarly to narcissistic propensity, remarkable contrasts of dominance are not presented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But a group presenting overt aggression and relational aggression at the same time show higher rate of dominance than one presenting overt aggression and non-aggr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