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유진-
dc.creator김유진-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9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9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2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0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244-
dc.description.abstract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cademic Aptitude Test (AAT)greatly affects overall educational process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Korean history questions in the test in terms of reliability, objectivity, and validity, which are the major criteria in assessing tests. Amid increased importance of the discipline of histor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education and assessment and propose the directions for future assessment. With the necessity in mind, this study carried out the following tasks. Before analyzing questions, the basic directions of the seventh social studies program were analyzed. Then, the method of setting questions in the AAT was analyzed and the current status of students taking history section of the aptitude test was reviewed. Analysis of test items was carried out by analyzing statist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est item patterns and content characteristics of test items. In the analysis of statistical characteristics, test item patterns, speculation factors in test items, and the types of materials used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assessment in the analysis of content characteristics for verification of the validity of assessment, goals of Korean history education and assessment goals of the aptitude test were compared to evaluate goal validity and sampling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ontent was analyzed to verify content validit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ll questions in the Korean history test were of multiple-choice type. Therefore, the degree of objectivity was high. Absence of grader subjectivity in assessment and efficient testing of a large number of test takers are the strengths of this type of testing. However, reliability of the test was harmed by a large percentage of negative questions and a sizable number of questions that reveal speculation factors. The goals of Korean history education and those of the AAT should be more closely linked. The six behavioral areas of the Social Studies section of the test are not proportionately represented in test items as some areas were over-represented. Therefore, discussions for more balanced representation of the areas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domain of contents, disproportionate representation of units (epochs and disciplines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culture, etc.) was apparent. However, content validity was improved as more recent tests were more proportionate than older tests. Analysis of integrated test questions that showed that integration of epochs was low whereas integration of disciplines was very high. Integration with other disciplines tended to decrease more and more. Because test takers can choose up to four disciplines among 11 social studies disciplines, the number of integrated questions was reduced to prevent advantage to test takers who chose specific disciplines. Based on the principles of evaluation presented above,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Academic Aptitude Test to reveal its weaknesses and strengths and to propose new directions. In analyzing and classifying questions, test item creation guidelines provided by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were used. The limi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Subjective judgment of persons who carried out classification may have affected analysis. Research on students’ response was not carried out, and directions of change, based on the results from analyses, were proposed but specific proposals for setting of questions were not made.;본 연구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이 교육과정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다는 사실을 전제로 수능 국사 문항을 평가의 기본 원리인 신뢰도·객관도·타당도의 기준에서 분석하였다. 역사과의 비중이 커지고 있는 현재, 교육과정과 평가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앞으로 진행될 새로운 평가 방향을 모색한다는 취지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문항 분석에 앞서, 먼저 교육과정과의 관계를 살피기 위해 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을 살펴보았다. 그 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출제 방향을 알아보고 국사 영역의 응시 현황을 파악하였다. 문항 분석은 문항 형태와 관련된 통계적 특성과 문항 내용에 관련된 내용적 특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통계적 특성에서는 평가의 객관도 ·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문항의 유형과 문항 속에 드러난 추측 요인, 활용한 자료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내용적 특성에서는 평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국사 교육 목표와 수능의 평가 목표를 비교하여 목표타당도를 살펴보았고, 교육 내용의 표집성을 분석하여 내용타당도를 확인해 보았다. 이 같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사 문항의 유형은 모두 선다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높은 객관도를 보였다. 이러한 평가 방식은 채점자의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없고 많은 수의 응시자를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부정형 문항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추측 요인이 드러난 문항도 적지 않아 신뢰도를 다소 떨어뜨리고 있었다. 국사 교육 목표와 수능의 평가 목표는 더 긴밀한 연계가 요구되고 있었다. 사회탐구 6가지 행동영역별 출제 비율이 고르지 못하고, 일정 영역에 치우지는 경향을 보여 적절한 출제 비율에 대한 논의가 요구되었다. 내용 영역 차원에서는 단원(시대별·분야별)에 따른 출제 편중 경향이 나타나지만, 예전에 비해서는 비교적 완화되어 긍정적인 내용타당도를 보였다. 통합 문항을 분석한 결과, 교과 내 통합에서 시대별 통합은 저조하지만, 분야별 통합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타 교과와의 통합은 갈수록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이는 사회탐구 11개 영역 중, 최소 1과목에서 최대 4과목을 선택하여 응시하게 되었기 때문에, 특정 과목을 선택한 학생에게 유리하지 않도록 과목 통합 문항이 줄어든 것이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이 평가의 원리를 통해 현 수능 체제를 분석함으로써 현 평가 체제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지향점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문항 분석 및 분류 시, 평가원에서 제시한 올바른 문항 제작 지침을 준거로 하였지만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되어 분류자에 따라 분석 결과가 약간의 차이를 보일 수 있는 점과 학생반응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지지 못한 점, 분석 결과를 토대로 바람직한 변화 방향만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세부 출제 방안에 대해서는 제시하지 못한 점이 한계점으로 남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5 Ⅱ. 7차 교육과정 수능 국사 문항 분석의 기본적 배경 = 7 A. 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교육방향과 국사 과목의 편제 = 7 B.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사회탐구 영역 출제 방향 = 10 C. 수능 국사 영역의 응시 현황 = 13 Ⅲ. 수능「국사」문항의 통계적 특성 = 16 A. 문항의 유형별 분석 = 17 B. 추측 요인에 의한 분석 = 23 C. 자료 유형에 의한 분석 = 28 Ⅳ. 수능「국사」문항의 내용적 특성 = 35 A. 국사 교육 목표와의 관련성 = 35 B. 교육 내용의 표집성 = 45 Ⅴ. 결론 및 제언 = 58 Ⅵ. 참고문헌 = 61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266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907-
dc.title7차 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의「국사」문항 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Seventh Curriculum-Based Korean History Questions in the Academic Aptitude Test-
dc.creator.othernameKim, Yu Jin-
dc.format.pageⅳ, 6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역사교육전공-
dc.date.awarded200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역사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