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8 Download: 0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초등진로교육프로그램이 자기이해지능 발달에 주는 효과

Title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초등진로교육프로그램이 자기이해지능 발달에 주는 효과
Other Titles
Effect of Elementary Career Education Program Grounded i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on Intrapersonal Intelligence Development
Authors
김선경
Issue Date
2007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n elementary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in a bid to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school children's career-related intrapersonal intelligence, which was viewed as one of major psychological elements to recognize and develop one's own potentials. Nowadays the number of highly educated yet unemployed people is on the rise, and many don't know what to do as they aren't aware of their own aptitude or interest. This phenomenon takes a huge toll on not only individuals but the nation, and eventually justifies the absolut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So it's attempted to apply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o care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regards human intelligence as being composed of eight different kinds of intelligence, not a single kind of one, which included linguistic intelligence,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spatial intelligence,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music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naturalist intelligence. And that is very encouraging in that according to it, every kind of intelligence could properly be developed to some extent. Kim Ju-hyeon(2005)'s Secondary School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was modified in this study to suit elementary schoolers, and how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that was grounded in the multiple-intelligence theory affected the develop- ment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part of the multiple intelligence, in elementary school was checked.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secondary school was converted into one for elementary school after the major concept of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relevant earlier studies were reviewed. The kind of intelligence that was used in career-related situations or in relation to career-related problems was defined as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 the study, and the focus of the study was placed on developing this intelligence. Second, the elementary career education program grounded in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was offered to sixth graders who could understand themselves and explore career in terms of career development and whose potentials were stimulated academically in terms of the development of the multiple intelligence. After 58 boys and girls who were enrolled in two different sixth-year classes of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selected,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 elementary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provided only to the experimental group from November 1 through December 5, 2006. The 15-session program was designed flexibly to be conducted during regular classroom hours or creative optional and extracurricular hours according to the 7th national curricula. A pretest and posttest were implemented in the first and final sessions respectively. Third, the instrument used in the pretest and posttest was Kim Ju- hyeon(2005)'s career introspection inventory for middle school that was based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his inventory was modified to be appropriate at elementary school level and aimed at assessing the development of career-related intrapersonal intelligence, part of the multiple intelligence, in three different segments: introspecting, balancing and building up the foundation. Seven questions each were included in the segments, and the inventory was composed of 21 questions in total, which respectively resulted in an one to five rating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given answer choices. The scores of the students were added up in each category. When the test results were analyzed, it's found that whether th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lementary career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made a difference to their posttest mark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was exposed to the program made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postte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between the control group's pretest and posttest scores. Therefore the program could be said to have a good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career-related intrapersonal intelligence. Moreover, the children got used to using terms related to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applied their knowledge into self-understanding and career exploration. The effort by this study to prove that the elementary career education program grounded in the multiple-intelligence theory expedited the development of the career-relate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the sixth graders was very meaningful, since few earlier studies had ever focused on elementary career education programs in association with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he advantage of the elementary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that it could be applied during regular classroom hours or optional and extracurricular hours without any modification. But the findings of the study might have been affected by Hawthorne effect, as just two classes took part in the study, and they might have depended on the qualities and zeal of the teachers who conducted the program as well. Hence there might be doubt about whether the effect of the program was attributed to the method of experiment or its own internal consistency. To acquire more accurate information, control group should be added to experimental design in the future. And the selection of a wider variety of samples, variables and evaluation tools and the control of external variables will make it possible to produce more generalizable results.;본 연구는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초등진로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자신의 잠재능력을 인식하고 이를 발휘·계발하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데 중요한 심리적 요인으로 여겨지는 진로관련 자기이해지능의 발달을 목적으로 한다. 나날이 고학력 실업자가 늘어가고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몰라 무엇을 해야할 지 모르는 사람들이 너무 많은데, 그것은 개인적 손실뿐 아니라, 국가적으로도 손실이 크다. 그러므로 진로교육은 꼭 필요한데, 초등학교 진로교육의 한 방법으로 다중지능이론을 적용하였다. 다중지능이론에서는 인간의 지능을 단순히 한 가지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지 않고, 언어지능, 논리수학지능, 공간지능, 신체운동지능, 음악지능, 대인관계지능, 자기이해지능, 자연관찰지능의 8가지 지능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본다. 그리고 모든 사람의 각각의 지능은 적절한 방법을 통해 어느 정도의 수준까지 개발가능하다는 희망적인 지능이론이다. 본 연구에서는 김주현(2005)이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하여 개발한 중등용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초등학교 6학년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초등학교에서도 다중지능에 기초한 진로교육프로그램이 다중지능 중 자기이해지능의 발달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지능이론의 주요 개념 및 다중지능이론적 접근의 선행 연구들의 검토를 기초로 기존의 중등용 진로교육프로그램을 초등용으로 수정·보완하여 만들었다. 특히 다중지능 중 진로와 관련된 문제와 상황 속에서 발휘되는 능력은 자기이해지능이라고 보고, 이 지능을 발달시키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하였다. 둘째, 진로발달상으로도 현실적인 자기이해와 진로탐색이 가능하고 다중지능발달 상으로도 잠재능력이 학문적 관심으로 표출되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초등진로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서울시에 위치한 S초등학교 6학년 두 학급의 남녀 58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설정한 후, 2006년 11월 1일 ~ 2006년 12월 5일에 걸쳐 실험집단에만 초등진로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7차 교육과정 내에서 교과시간,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 특별활동 시간에 실행될 수 있도록 매 회기 40~80분 단위의 총 15회기로 융통성 있게 구성하였다. 이 중 첫 회기와 마지막 회기는 사전·사후 검사 시간으로 하였다. 셋째, 본 프로그램에 사용된 측정도구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쓰인 ‘진로성찰검사’이다. 김주현(2005)이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하여 제작한 도구로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검사지를 초등 수준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진로성찰검사’는 다중지능 중 진로관련 자기이해지능의 발달 정도를 측정하는 도구로 성찰, 균형화, 토대화의 세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각 영역별 문항은 7문항씩이고, 총 21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검사의 채점방법은 각 문항에 응답한 것이 1번이면 1점, 2번이면 2점, 3번이면 3점, 4번이면 4점, 5번이면 5점으로 점수를 부여하여 영역별로 합산한다. 검사 결과를 통계 분석한 결과,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초등진로교육프로그램의 실시 여부에 따라서 집단 간 사후검사 결과의 차이가 난다. 즉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사후검사 점수는 유의미하게 향상되지만, 통제집단의 경우에는 사전검사 점수와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그러므로 본 프로그램은 진로관련 자기이해지능 발달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실시 후, 아동들은 자연스럽게 다중지능이론과 관련된 용어를 쓰며 자신을 이해하고 직업을 탐색하는데 지식을 적용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중지능이론과 관련된 초등진로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선행연구가 없는 상태에서,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초등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진로관련 자기이해지능의 발달을 돕는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프로그램은 7차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학교 교과시간, 재량시간, 특별활동 시간에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초등진로교육프로그램이라 곧바로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전 학급이 아니라, 두 학급만 실험에 참가하였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연구 대상의 태도로 인한 호손 효과,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교수자의 자질이나 열정 등이 효과에 미칠 가능성이 있다. 즉 이러한 효과가 처치 때문인지 아니면 내적 타당도 때문인지 알 수 없다는 비판이 제기될 수 있다.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추후 연구에서 비교집단을 설계에 추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 결과와 관련하여 좀 더 광범위한 표본들과 다양한 변인들을 사용하고 외부 변인들의 효과를 통제하며, 집단의 크기·평가도구를 좀 더 다양하게 적용한다면 연구의 효과에 대한 일반화가 가능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