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5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숙희-
dc.creator유숙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2: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2:08:57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2683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50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683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the peer group in the relation with friends. And it is selected the social skill and hostility as personal characteristics through the literature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pattern that the adolescences are accepted to the peer group. In this study, I chose 1005 students at the middle school in Seoul district as an object of research. In this survey, it was classified with the accepted pattern to the peer group with a percentage by three groups using a self-report type questionnaire, and it was investigated it with the SSRS(Social Skills Rating Scale) and the BDHI(Buss-Durkee Hostility Inventory) to examine the social skill and hostility of each group. The research question presented on this study and the result according to that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social skill factor and hostility factor each in the Wangttaoiettolie group means withdrawn adolescents rejected by peer group, Oiettolie group means withdrawn adolescents without peers and non-Oiettolie group. As for the social skill, the non-Oiettolie group was presented significantly the highest in all the region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among three groups. But as for the hostility reg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ree groups. Second, in the relation among the Oiettolie score, the Wangttaoiettolie score, social skill and hostility score, both the Oiettolie group score and Wangtta score present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all the sub-scales of social skill.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Oiettolie score in the hostility score, but there was significant and positive correlation in the Wangtta score. Third, as a result of sub-factors of social skill and hostility affecting the Oiettolie score and Wangtta score, predicting the Oiettolie score mostly is assertion of social skill. And in case of hostility, it presented that linguistic hostility has most of the quantity of explanation. In case of the Wangtta score, the quantity of explanation of social skill was little compared with the Oiettolie score, and the hostility presented the quantity of explanation more than the social skill factor.;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친구관계에서 또래집단에 수용되는 유형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또래를 왕따외톨이, 외톨이 및 비외틀이의 세 집단으로 분류하여 또래집단 수용에 영향을 주는 개인의 심리적 특성 변인 중에서 사회적 기술과 공격성을 선정하여 청소년이 또래 집단에 수용되는 유형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의 중학생 1005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자기보고식 질문지인 왕따 질문지와 외톨이 질문지로 또래집단에 수용되는 유형을 세 집단으로 분류하고, 각 집단의 사회적 기술과 공격성을 사회적 기술 척도 질문지(SSRS)와 공격성 척도 질문지(BDHI)로 조사하여 또래 수용 유형인 세 집단간의 사회적 기술과 공격성의 차이를 알아보고 왕따외톨이와 외틀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연구문제와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또래 집단에 수용되는 유형인 왕따외톨이, 외톨이, 비외톨이 집단은 각각 사회적 기술요인과 공격성 요인에서 차이가 있는가? 연구 결과 사회적 기술은 모든 영역에서 비외톨이 집단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세 집단간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공격성 영역은 전체점수에서는 세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그 하위척도에서는 왕따외톨이 집단과 외톨이 집단간, 왕따외톨이와 비외톨이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특히 죄의식과 의심 요인에서 왕따외톨이 집단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외톨이 점수, 왕따외톨이 점수와 사회적 기술 및 공격성 점수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외톨이 점수와 왕따외톨이 점수 모두 사회적 기술의 모든 하위척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공격성에서는 외톨이 점수와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지만 왕따외톨이 점수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것은 앞선 결과와 같이 친구로부터 소외당하는 경우 사회적 기술이 부족하기 때문이며 특히, 공격성의 표현은 친구로부터 적극적으로 따돌림을 당하는 왕따외톨이가 될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외톨이와 왕따외톨이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기술과 공격성의 하위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가? 연구 결과 외틀이를 가장 잘 예측하는 것은 사회적 기술의 주장성이며, 공격성의 경우 언어적 공격성이 가장 큰 설명량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기술과 공격성의 모든 하위 척도를 포함한 분석 결과는 주장성, 의심, 언어적 공격성, 죄의식, 공감성, 폭행이 유의미한 예언변인으로 나타났다. 왕따외톨이의 경우 사회적 기술의 설명력은 외톨이에 비해 매우 작고 공격성은 사회적 기술 요인보다 더 큰설명력을 보인다. 이 같은 결과는 사회적 기술이 외톨이를 더 잘 설명하는데 비해 공격성 요인은 왕따외톨이를 좀 더 잘 설명한다고 볼 수 있다. 하위 요인 중 의심과 공감성, 언어적 공격성, 죄의식, 폭행이 왕따외톨이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갖는 예언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들은 친구들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의 하위 유형 중에서 외톨이 집단은 주장성과 같은 사회적 기술의 부족이 큰 원인이 되고, 적극적으로 배척 당하는 왕따외톨이 집단은 공격성의 표현에 의해 스스로 친구들로부터의 따돌림을 야기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적극적으로 따돌림을 당하지는 않지만 친구가 없어 혼자 지내는 외톨이 집단을 자기보고식 질문지의 사용으로 신뢰롭고 타당하게 분류하고, 왕따외톨이 집단과 구별되는 심리적 특성을 밝혀 이를 토대로 친구관계에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에게 특성에 맞는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B. 연구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또래관계 = 5 1. 또래관계의 유형 = 8 2. 또래집단 수용 위치와 심리사회적 적응 = 10 B. 친구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 14 1. 사회적 기술 = 16 2. 공격성 = 18 Ⅲ. 연구방법 = 22 A. 연구 대상 및 절차 = 22 B. 측정 도구 = 23 1. 또래집단에 수용되는 유형 구별 질문지 = 23 1) 외톨이 질문지 = 23 2) 왕따 질문지 = 24 2. 사회적 기술 질문지 = 25 3. 공격성 척도 질문지 = 26 C. 자료 분석 = 27 Ⅳ. 결과 = 29 A. 왕따외톨이, 외톨이 및 비외톨이 집단의 분포 = 29 B. 왕따외톨이, 외톨이 및 비외톨이 집단의 사회적 기술과 공격성의 차이 비교 = 30 C. 외톨이 점수 및 왕따 외톨이 점수와 사회적 기술 및 공격성과의 상관관계 = 33 D. 외톨이와 왕따외톨이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기술 요인과 공격성 요인 = 35 Ⅴ. 결론 및 논의 = 41 참고문헌 = 48 부록 = 53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4377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청소년-
dc.subject또래집단-
dc.subject사회기술-
dc.subject공격성-
dc.title청소년의 또래집단 수용 유형과 사회기술 및 공격성과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olescence Accepted Pattern in the Peer Group and Social skill and Hostility-
dc.format.pagevii,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상담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