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5 Download: 0

학부모 자원 봉사에 대한 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Title
학부모 자원 봉사에 대한 실태 및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ality & teachers' and parents' cognitions of the parents' class-assisting volunteer in public kindergarten in seoul
Authors
정성숙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Keywords
학부모자원봉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ality and teachers' and parents' cognitions of the parents' class-assisting volunteer in public kindergarten in Seoul and also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cognition. Th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is purpose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reality of parents' class-assisting volunteer participation in public kindergarten? 2. What is the teachers' and parents' cognitions concerning the parents' class-assistant volunteer in public kindergarten? The subject in this study were 229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750 parents whose children go to public kindergarten in Seoul. The methods of this study were two kinds of questionnaires. Both were developed by the researcher. One was to examine teachers' cognitions and the others was to examine parents' cogni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ies and percentiles and X^(2)-test were calcula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dividual variable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Considering the reality in public kindergarten in Seoul, 96.5% of the teachers utilized parents' class-assisting volunteers and let them apply in early March and participate voluntarily afterward. and such as security guidance during the field program, not very positive activity was the main activity. Second, Comparing the cognition between the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and parents whose children go to the public kindergarten in Seoul and who had the volunteer experience, the similar cognition was founded for the necessity and cognition based upon the class sized of the volunteer activity, cognition for the pre-training, preference activities, the expected effects from the activity, and satisfaction. Third, There was big cognitive difference between the parent and the teacher: In case of the working time as a volunteer, the parents preferred later time to that of teacher wanted. And the teacher preferred more frequency volunteer activity but less number of volunteer. In case of the volunteer activity, security guidance was the 1st rate and cleaning classroom and making educational environment was the 2nd, and the 1st and 2nd are the sam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n their cognition which the teachers preferred on the side of management but the parents preferred on the side of infant education and sanitary.;본 연구는 서울 공립유치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학부모 자원 봉사의 실태 및 이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을 분석하고, 이들의 인식간의 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공립 유치원의 학부모 자원 봉사 활용 실태는 어떠한가? 2. 공립 유치원의 학부모 자원 봉사 활용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공립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 229명과 서울 공립유치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 750명이다. 연구방법은 서울 공립유치원의 학부모 자원 봉사 활용 실태와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교사용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서울 공립유치원의 학부모 자원 봉사 활용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학부모용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서 x^2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에 소재한 공립유치원의 활용 실태를 살펴보면, 96.5%의 교사가 학부모 자원 봉사를 활용하였으며, 모집 방법으로는 유치원에서 안내통지서를 배부하여 신청서를 받아 자발적으로 참여하도록 한 방법이 45.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부모 회의를 통해서도 28.1%로 그 다음으로 많은 참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반해 교사나 동료 학부모의 권유로 자원하는 경우는 적게 나타났다. 모집과정에서 교사가 사용하는 권유방법으로는 유치원 활동 이해라는 측면을 많이 부각시켜 사용하였고, 자녀 교육에 도움이 되는 측면도 강조하였다. 자원 봉사활동 내용으로는 현장학습 시 안전지도, 교실 청소, 환경 구성, 각종 행사준비 등 소극적인 참여활동으로 이루어졌다. 둘째, 서울 공립유치원에 재직 중이며 학부모 자원 봉사 실시 경험이 있는 교사와 이곳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로서 자원 봉사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부모의 인식을 비교해보면, 자원 봉사의 필요성과 학급크기에 따른 자원 봉사 필요성 인식, 모집방법, 사전교육의 필요성 인식, 선호하는 활동내용, 활동에서 기대하는 효과, 만족도에서는 전반적으로 비슷한 인식의 결과를 보였다. 그 결과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점에서 교사와 학부모 모두 인식을 같이 하였다. 먼저, 필요성은 90%이상으로 높이 인식하고 있었으며, 지원자에 의한 자발적 모집방법을 선호하였고, 사전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60%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선호하는 활동내용으로는 안전지도, 교실 청소 등과 같은 소극적 참여를 원했다. 기대효과로는 유아교육에 대한 이해와 가정과의 연계를 통한 일관성 있는 교육이 이루어지리라고 보았고, 자원 봉사 활동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다. 셋째, 다음과 같은 활용 방법적인 면에서 교사와 학부모간에 가장 많은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먼저, 활동 시간대를 보면 교사는 오전 10시 - 11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부모는 오전 11시 - 12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부모가 교사보다 조금 늦은 시간대를 선호하였다. 활동회수는 교사는 1년 동안 24회 이상 - 48회 미만을 선호하였고, 학부모는 1년 동안 6회 이상 - 12회 미만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가 학부모보다 더 많이 선호하는 결과를 보였다. 참여 봉사자수로는 교사는 1명 이상 - 3명 미만을 선호하였고, 학부모는 20명 이상을 선호하여, 교사보다 학부모가 좀더 많게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봉사활동을 살펴보면, 안전지도와 교실 청소 및 환경 구성을 각각 1순위와 2순위로 응답해 인식이 일치했으나, 3순위로 응답한 결과에서 약간의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교사는 각종 행사 준비와 같은 운영적인 측면에서, 학부모는 간식 및 급식 보조와 같은 유아의 교육 및 위생적인 측면에서 선호하는 활동내용이 약간 달랐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